• Title/Summary/Keyword: 예측 기간

Search Result 2,194,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Projection of Climate Change Impact on Water Environment in Multipurpose Dam Reservoir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다목적댐 저수지의 수환경 취약성 전망)

  • Kang, Boo-Sik;Kim, Seong-Joon;Chung, Se-Woong;Kim, Young-Do;Shin, Jae-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47-247
    • /
    • 2012
  • 기후변화로 나타나게 될 댐 저수지의 수질 및 생태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은 국가 수자원관리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대비해야할 중요한 문제로써, 수자원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 및 활용하기 위해서 기후변화로 인한 댐 저수지의 수환경 변화의 정확한 분석과 취약성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시나리오 분석, 댐 유역의 오염물질 유출을 시 공간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유역 모델과 댐저수지로 유입된 이후 오염물질 거동 분석을 위한 저수지 모델이 필요하며, 특히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하에서의 미래 전망과 발생가능한 취약성을 예측 및 평가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과 저수지에 대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신뢰성이 있는 영향평가를 위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상세화를 통한 상세지역의 기후예측, 댐 유역 모형에서의 유출, 토사 및 오염물질예측과 저수지모형을 통한 미래의 저수지내 오염/영양물질순환 및 분포예측을 통해 기후변화에 의한 다목적댐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총 7개의 다목적댐 유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적용에 따른 유출변화 및 하천수질 전망을 위해 인공신경망 방법에 의해 상세화된 기후자료를 검보정된 SWAT 모형에 적용하였다. 이때, 기준년에 해당하는 Baseline 기간은 인공신경망 학습기간(1990-2010)과 동일하게 모의하였으며, 미래 분석기간 역시 마찬가지로 2011-2040, 2041-2070, 2071-2100의 3개 기간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미래 전망결과에 대한 분석은 각 30년 일별 모의결과에 대한 월 평균, 계절 평균으로 분석하였다. 유출변화 전망은 댐유역별 월별 총유입량 변화와 함께 유황분석을 통해 미래 댐유입량에 대한 규모 및 변동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하천수질 변화 전망을 위해 호소유입 하천의 Sediment, TN, TP 월별 오염부하량 변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댐유입 총량에 대한 변동성을 분석한 후, 저수지수질모델의 입력경계조건에 해당하는 각 댐저수지 유입 하천의 미래 유출량 및 수질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Predicting Construction Project Cost using Sensitivity Analysis in Stochastic Project Scheduling Simulation (SPSS) (확률 통계적 일정 시뮬레이선 -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최종 공사비 예측)

  • Lee Dong-Eun;Park Chan-S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6 no.4 s.26
    • /
    • pp.80-90
    • /
    • 2005
  • Activity durations retain probabilistic and stochastic natures due to diverse factors causing the delay or acceleration of activity completion. These natures make the final project duration to be a random variable. These factors are the major source of financial risk. Extending the Stochastic Project Scheduling Simulation system (SPSS) developed in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presents a method to estimate how the final project duration behaves when activity durations change randomly. The final project cost is estimated by considering the fluctuation of indirect cost, which occurs due to the delay or acceleration of activity completion, along with direct cost assigned to an activity. The final project cost is estimated by considering how indirect cost behaves when activity duration change. The method quantifies the amount of contingency to cover the expected delay of project delivery. It i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to obtain the descriptive statistics from the simulation outputs (final project durations). Existing deterministic scheduling method apply an arbitrary figures to the amount of delay contingency with uncertainty. However, the stochastic method developed in this research allows computing the amount of delay contingency with certainty and certain degree of confidence. An example project is used to illustrate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using simulation. When the statistical location and shape of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defining activity durations change, how the final project duration and cost behave are ascertained using automated sensitivity analysis method

Evaluation of Beef Freshness Using Visible-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a (가시광선-근적외선 반사스펙트럼을 이용한 쇠고기의 신선도 평가)

  • Choi, Chang-Hyun;Kim, Jong-Hun;Kim, Yong-Joo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31 no.1
    • /
    • pp.115-121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odels to predict freshness factors (total viable counts (TVC), pH,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rimethylamine (TMA), and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s) and the storage period in beef using a visible and near-infrared (NIR) spectroscopic technique. A total of 216 beef spectra were collected during the storage period from 0 to 14 d at a $10^{\circ}C$ storage. A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measure reflectance spectra from beef samples, and beef freshness spectra were divided into a calibration set and a validation set. Multi-linear regression (MLR) models using the stepwise method were developed to predict the factors. The MLR results showed that beef freshness had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and measured factors using the selected wavelength. The correlation of determination ($r^2$), standard error of prediction (SEP), and ratio of standard deviation to SEP (RPD) of the prediction set for TVC was 0.74, 0.64, and 2.75 Log CFU/$cm^2$, respectively. The $r^2$, SEP, and RPD values for pH were 0.43, 0.10, and 1.10; those for VBN were 0.73, 1.45, and 2.00 mg%; those for TMA were 0.70, 0.19, and 2.58 mg%; those for TBA values were 0.73, 0.13, and 2.77 mg MA/kg; and those for storage period were 0.77, 1.94, and 2.53 d,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visible and NIR spectroscopy can predict beef freshness during storage.

MARYBLYT Study for Potential Spread and Prediction of Future Infection Risk of Fire Blight on Blossom of Singo Pear in Korea (우리나라 신고배 화상병 꽃감염 확산 가능성 및 미래 감염위험 예측을 위한 MARYBLYT 연구)

  • Kim, Min-Sun;Yun, Sung-Chul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24 no.3
    • /
    • pp.182-192
    • /
    • 2018
  • Since fire blight (Erwinia amylovora) firstly broke out at mid-Korea in 2015,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potential spread of the invasive pathogen. To speculate environmental factors of fireblight epidemic based on disease triangle, a fire blight predicting program, MARYBLYT, was run with the measured meteorological data in 2014-2017 and the projecting future data under RCP8.5 scenario for 2020-2100. After calculating blossom period of Singo pear from phenology, MARYBLYT was run for blossom blight during the blossom period. MARYBLYT warned "Infection" blossom blight in 2014-15 at Anseong and Cheonan as well as Pyungtak and Asan. In addition, it warned "Infection" in 2016-17 at Naju. More than 80% of Korean areas were covered "Infection" or "High", therefore Korea was suitable for fire blight recently. Blossom blight for 2020-2100 was predicted to be highly fluctuate depending on the year. For 80 years of the future, 20 years were serious with "Infection" covered more than 50% of areas in Korea, whereas 8 years were not serious covered less than 10%. By comparisons between 50% and 10% of the year, temperature and amount of precipit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formative for policy makers to manage the alien pathogen.

Configuration Design of a WDM Mesh Backbone Network (Mesh 구조의 WDM 기간망 구조 설계)

  • 정노선;안기석;홍상기;홍종일;강철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5B
    • /
    • pp.889-898
    • /
    • 2000
  • In order to support various broadband multimedia servies in the future, we designed a well balanced WDM backbone network. In Korean network traffic environment, six regional centers are selected, link capacities between the regional centers are estimated from the PDI traffic model, and the overall network configuration is designed for the all-optical backbone network. Also, we designed a basic configuration to be able to protect minimum communication capability against link failure. A simulation study is carried out to verify the desired performance of the designed WDM backbone network.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erformance of the backbone network is well balanced to support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in Korea in the mid 2000s

  • PDF

An Analysis of the KOMPSAT-1 Operational Orbit Evolution Over 3 Years (아리랑 1호 임무기간 3년 동안의 궤도변화 분석)

  • Kim,Hae-Dong;Choe,Hae-Jin;Kim,Eun-G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10
    • /
    • pp.40-50
    • /
    • 2003
  • The operational orbit evolution of the KOMPSAT-l over 3 years was analyzed. During LEOP, four orbit maneuver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optimized orbit and eight safe-hold modes happened. The effects of unpredictable occurrence of the safe-hold mode and the highest solar activity on the orbit evolution during the mission life were analyzed. The comparison of orbital elements between long-term predicted orbit and determined orbit from observed data was also performed. The operational orbit started from the optimized one was evolved within the boundary of the designed mission orbit except altitude and it was verified the sun-synchronous orbit was successfully maintained.

Study on the Precipitation utilization for Drought Determination of Dam & Agricultural Reservoirs (댐·저수지 가뭄 판단을 위한 강수량 활용방안 연구)

  • Son, KyungHwan;Oh, ChangYeol;Lee, JunHo;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9-379
    • /
    • 2019
  • 환경부 홍수통제소에서는 효율적인 수재해 관리 및 안정적 용수공급을 위해 댐 보 연계운영협의회를 운영 중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다목적댐, 용수댐, 농업용저수지 및 다기능보 등 다양한 시설물 운영현황을 관리하고 있다. 그 중, 강수량은 각 시설물들의 운영에 근간이 되고 수재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에 따라 가장 우선시 관리되는 항목이다. 그러나 시설물별 강수량 활용 기준이 상이하여 가뭄 상황 시 많은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섬진강유역에 가뭄이 발생하였고 그 원인으로 A댐 운영자가 해당일로부터 과거 30일 평년대비 강수량, B저수지 운영자가 당년 1월부터 현재까지 누적강수량의 평년대비 강수량을 제시하는데 가용자료 기간이 달라 가뭄에 기여한 강수상황을 구체적으로 인지하기가 어렵다. 한편, 기상청에서는 수문기상가뭄정보시스템 개발을 통해 우리나라 전역에 기상학적 가뭄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다만 다양한 가용자료 기간 구분에 따라 많은 지수들이 제공되고 있어(예: SPI3, 6, 9 등) 가뭄판단 및 예측에 있어 많은 혼돈이 야기되고 있다. 결국, 수자원관리자는 다양한 기상학적 가뭄정보들 중에서 관할 유역 및 시설물에 적합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댐과 농업용저수지 가뭄판단을 위한 강수량 활용 적정 지속기간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시설물 상류에 위치한 강수량자료를 수집하고, 유역평균강수량을 계산하였다. 강수량을 30일 단위로 720일까지 매일 누적기간 강수량자료를 예년대비 값으로 변환하였고, 댐과 농업용저수지는 일 단위 예년대비 저수량 값을 활용하였다. 적정 지속기간 분석을 위해 상관성 분석 및 ROC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여름철에는 지속기간 1~3개월 강수량, 나머지 기간에서는 지속기간 9개월 강수량 활용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시설물 가뭄관리(운영 및 예측)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Flood Estimation Using MAPLE Forecasted Precipitation Data (MAPLE 강우예보자료를 활용한 유출량 예측)

  • 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84-984
    • /
    • 2012
  •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전 지구적으로 이상홍수, 이상가뭄, 한파와 같은 이상기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 추석 광화문 침수사태와 2011년 우면산 산사태와 같은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시기나 양적인 측면에서 대부분 장마기간에 국한되었던 강우집중현상이 과거와 달리 특정기간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단기성, 국지성을 지닌 호우의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등 국내 강우의 특성이 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강우예측과 유출량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강우예측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기상청에서는 단기예보를 목적으로 전지구 통합모델과 지역 통합모델을 연계한 동네예보를 수행하고 있으며, 초단기 예보를 위한 목적으로 VSRF, SCAN, VDRAS, MAPLE 등의 예보를 수행하고 있다. 홍수량 예측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물리적 기반의 모형에 레이더강우와 같은 격자형 강우자료를 사용하여 정확성을 높이거나, 기존의 집중형 모형을 분포형 모형으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모형 구축이 간편하고 예측 정확도가 우수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신경회로망이나 퍼지추론기법 등을 사용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분야에 산재한 불확실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수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이론인 퍼지이론에 신경망 이론을 도입한 neuro-fuzzy 기법을 사용하여 홍수량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로는 관측된 강우자료와 유출량자료 및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MAPLE(McGill Algorithm for Precipitation Nowcasting by Lagrangian Extrapolation) 강우예측자료를 사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해보았다.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유역을 충주댐 상류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10년 2011년 홍수기의 충주댐 유입량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를 변경하여 입력자료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비교하였고, clustering 반경의 변화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모형의 정확도는 평균제곱근오차와 첨두수위오차를 통해 비교하였으며, 비교결과 전반적으로 lead time이 길어질수록 MAPLE 사용 시 예측 정확도가 우수하였고, clustering 반경은 0.5일 때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Monthly Rainfall for Low Flow Management (갈수관리 활용을 위한 월강수량 가뭄빈도분석)

  • Moon, Jang-Won;Kim, Jeong-Yup;Cho, Hyo-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15-415
    • /
    • 2018
  • 갈수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천유량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천유량 예측을 위해서는 강수량에 대한 예측 값을 활용하는 방안이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나 강수량 예측에 대한 불확실성은 하천유량 예측의 정확도 확보에 있어 한계로 작용하고 있다. 강수량 예측에 대한 불확실성 극복을 위해서는 다양한 강수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으며, 유량 예측을 하고자 하는 유역에 대해 과거 발생했던 강수량이 반복된다는 가정 하에 유량 예측을 제한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강수 시나리오의 다양성 확보 차원에서 하천유량을 예측하고자 하는 유역에 대해 가뭄빈도 강수량을 사전에 산정한 후 유량 예측 과정에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는 방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6년 수립된 수자원장기종합계획(국토교통부, 2016)에서 제시된 중 권역별 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중권역별로 월 강수량을 산정한 후 월별 가뭄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1966~2015년까지의 기간에 대한 월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월별로 가뭄빈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빈도분석 방법으로는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이용하여 적정 분포형 결정 및 갈수빈도별 강수량을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이때 빈도 강수량의 재현기간은 총 7가지 빈도(2년, 5년, 10년, 20년, 50년, 80년, 100년)를 고려하였다. 산정된 빈도 강수량을 이용하여 월 유출모형에 적용함으로써 월 유출 전망 자료 생산이 가능하며, 금강수계의 용담댐유역에 시범 적용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중권역별로 산정된 월별 가뭄빈도 강수량을 활용한 하천유량 예측 방법은 갈수예보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hort-term Predictive Models for Influenza-like Illness in Korea: Using Weekly ILI Surveillance Data and Web Search Queries (한국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단기 예측 모형 개발: 주간 ILI 감시 자료와 웹 검색 정보의 활용)

  • Jung, Jae 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9
    • /
    • pp.147-157
    • /
    • 2018
  • Since Google launched a prediction service for influenza-like illness(ILI), studies on ILI prediction based on web search data have proliferated worldwide.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build short-term predictive models for ILI in Korea using ILI and web search data and measure the performance of the said models. In these proposed ILI predictive models specific to Korea, ILI surveillance data of Korea CDC and Korean web search data of Google and Naver were used along with the ARIMA model. Model 1 used only ILI data. Models 2 and 3 added Google and Naver search data to the data of Model 1, respectively. Model 4 included a common query used in Models 2 and 3 in addition to the data used in Model 1. In the training period, the goodness of fit of all predictive models was higher than 95% ($R^2$). In predictive periods 1 and 2, Model 1 yielded the best predictions (99.98% and 96.94%, respectively). Models 3(a), 4(b), and 4(c) achieved stable predictability higher than 90% in all predictive periods, but their performances were not better than that of Model 1. The proposed models that yielded accurate and stable predictions can be applied to early warning systems for the influenza pandemic in Korea, with supplementary studies on improving their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