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계산식

Search Result 74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Weibull Diameter Distribution Yield Prediction System for Loblolly Pine Plantations (테다소나무 조림지(造林地)에 대한 Weibull 직경분포(直經分布) 수확예측(收穫豫測) 시스템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Young-Jin;Hong, Sung-Ch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0 no.2
    • /
    • pp.176-183
    • /
    • 2001
  • Loblolly pine (Pinus taeda L.) is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timber producing species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predicting diameter distributions for the solution of multiple-product yield estimates. The three-parameter Weibull diameter distribution yield prediction systems were developed for loblolly pine plantations. A parameter recovery procedure for the Weibull distribution function based on four percentile equations was applied to develop diameter distribution yield prediction models. Four percentiles (0th, 25th, 50th, 95th) of the cumulative diameter distribution were predicted as a function of quadratic mean diameter. Individual tree height prediction equations were developed for the calculation of yields by diameter class. By using individual tree content prediction equations, expected yield by diameter class can be computed. To reduce rounding-off errors, the Weibull cumulative upper bound limit difference procedure applied in this study shows slightly better results compared with upper and lower bound procedure applied in the past studies. To evaluate this system, the predicted diameter distributions were tested against the observed diameter distributions using the Kolmogorov-Smirnov two sample test at the ${\alpha}$=0.05 level to check if any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based on the data from 516 evaluation data sets. This diameter distribution yield prediction system will be useful in loblolly pine stand structure modeling, in updating forest inventories, and in evaluating investment opportunities.

  • PDF

Spectral Weighted-Sum-of-Gray-Gases Modeling of Narrow Band for Prediction of Radiative Heat Transfer Induced from Liquid Engine Plume (액체 엔진 플룸 복사 열전달 예측을 위한 파장별 회체가스 중합법의 좁은밴드 적용)

  • Ko, Ju-Yong;kim, In-Su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8 no.1
    • /
    • pp.17-25
    • /
    • 2009
  • The precise calculation of gas absorption coefficient in the radiative transfer equation is very important to the prediction of radiative heat transfer induced from liquid engine plume in view of base insulation design. For this purpose, the WNB model for gas absorption coefficient is described with the selection of important parameters and then the calcul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SNB model for validation. Total emissivity, narrow band averaged intensity and total intensity are calculated and compared to the results of SNB model. As results, the total emissivity and the total intensity are well matched within 3.1% and roughly 5 % error, respectively. Moreover, the gas modeling database is constructed with estimation of the combustion gas composition of $CO_2$ and $H_2O$ for liquid engine plume.

  • PDF

Vibration Control of Semi-active Suspension Considering the Modal Coupling Effect (모드 연성효과를 고려한 반능동형 현가장치의 진동제어)

  • 오재응;이정윤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6 no.3
    • /
    • pp.430-44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의 여러 모드 사이에 존재하는 연성항의 비연성을 위한 능동 제어력을 계산하여 연성항이 승차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연성항을 비 연성화하기 위한 제어력을 계산하였으며, 현가장치의 반능동 제어에 적용하였다. 또 한 새로운 민감도 이론식을 제안하여 7자유도 현가계에 적용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특성변화예측을 하였다.

An Experimental Runoff Formula in Building Roof Area for On-site Rainwater Management (On-site 방식 빗물관리를 위한 건축물 지붕면의 유출특성 경험식 수립)

  • Kim, Young-Jin;Han, Moo-Young;Kim, Yong-Ha;Mun, J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2
    • /
    • pp.171-176
    • /
    • 2009
  • This study proposes an experimental formula for cumulative runoff analysis in building roof for on-site rainwater management. We can not find an appropriate method for roof runoff analysis because of its small area scale. A new runoff equation formula for rainfall depth(D) and cumulative runoff volume(V) is developed on roof runoff conditions. Reliability of the formula is verified with field experimental runoff monitoring for two years in two buildings of rainwater management system. This experimental runoff formula can root the cumulative runoff volume from roof area and rainfall depth, then develop reasonable inflow condition for rainwater retention tank design.

Determination of Flash Point for n-Octane+n-Nonane and n-Nonane+n-Decane Systems by Seta flash Apparatus (Seta flash 장치에 의한 n-Octane + n-Nonane계 및 n-Nonane + n-Decane계의 인화점 결정)

  • Ha, Dong-Myeong;Lee, S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4 no.6
    • /
    • pp.11-17
    • /
    • 2020
  • In order to guarantee saf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a flammable liquid solution,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its flash point information. In this paper, flash points of n-octane+n-nonane system and n-nonane+n-decane system were measured by Seta flash apparatus and an empirical equation is proposed for the accurate estimation of flash point. Empirical equation is used to predict flash point of n-octane+n-nonane system and n-nonane+n-decane system, which were also compared to Unifac-based model. Absolute average errors of flash point data predicted by Unifac-based model are 0.7℃ and 0.6℃ for n-octane+n-nonane system and n-nonane+n-decane system, respectively. Absolute average errors of flash point data predicted by empirical equation are 0.2℃ and 0.4℃ for n-octane+n-nonane system and n-nonane+n-decane system, respectively. In conclusion, empirical equation proposed in this paper, presented the most satisfactory.

건식저장 용기내 PWR 사용후핵연료 열전달 해석

  • In, Wang-Gi;Sin, Chang-Hwan;Yang, Yong-Sik;Jeon, Tae-Hyeon;Song, Geun-U;Choe,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475-476
    • /
    • 2009
  • CFD 방법을 이용하여 건식저장 용기내 사용후핵연료 열전달 해석을 수행한 결과 연료봉의 붕괴열에 의한 내부 유체의 자연대류 현상과 상세 핵연료 온도분포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에는 다양한 시험조건에서 복사열전달을 포함한 정밀한 CFD 계산을 수행하여 피복관 온도분포의 예측치를 실험결과와 비교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Flash Points of Flammable Substances- 1. Pure Substances and A Mixture of Binary System - (가연성물질의 인화점에 관한 연구- 1. 순수성분 및 2성분계 혼합물-)

  • 하동명;목연수;최재욱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3 no.1
    • /
    • pp.11-19
    • /
    • 1999
  • The flash point is generally used as a hazardous index of fire and explosion of a flammable liquid. A classification of the flash points is important for the safe handling of flammable liquids such as solvent mixtures. The flash points of pure substances and solvent mixtures can be c calculated with the appropriate use of the fundamental laws of Raoult, Dalton, Le Chatelier and a activity coefficient models. In this study, experimentally determined lower and upper flash points w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values by using Raoult's law and van Laar equation. The flash points of pure substances were in agreement with the calculated values by vapor pressure and e explosive limits. Also, the lower flash points of M.E.K(methylethylketone)-toluene system were i in agreement with the predicted values by Raoult’s law, and the upper flash points were in a agreement with the predicted values by van Laar equation. By means of this methodology, it is possible to evaluate reliability of expermental data of the flash points of the flammable mixtures.

  • PDF

A Study on the Flight Initiation Wind Speed of Wind-Borne Debris (강풍에 의한 비산물의 비행 시작 풍속에 관한 연구)

  • Jeong, Houigab;Lee, Seungho;Park, Junhee;Kwon, Soon-duc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0 no.1
    • /
    • pp.105-110
    • /
    • 2020
  • This study provides a method and data for predicting the flight initiation wind speed of wind-borne debris. From the force equilibrium acting on debris including aerodynamic and inertia forces, the equation for predicting the flight initiation wind speeds are presented. Wind tunnel tests were carried out to provide necessary aerodynamic data in the equation for the debris with various aspect ratios. The proposed equation for flight initiation wind speeds was validated from free flying tests in the wind tunnel. The flights of debris were mostly initiated by slip when width to thickness was less than 10, otherwise overturning were dominant. The actual flight initiation speeds were lower than that of the computed ones. The surface boundary layer flow and the gap between the debris and surface might affect the prediction error.

Development of a flood warning technologies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

  • Cheong, Tae Sung;Choi, Changwon;Ye,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2-102
    • /
    • 2022
  • 소하천의 홍수 예측은 대부분 수치모형을 직접 활용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한 경험식을 활용한다. 수치모형과 그 결과를 홍수 예·경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계측자료에 기반하여 변수를 최적화하는 등의 수치모형 검증 절차가 매우 중요하다. 소하천은 국가, 지방하천에 비해 계측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으로 소하천의 홍수 모의를 위해서 주로 국가, 지방하천에서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이렇게 검증된 소하천 수치모형은 국가 혹은 지방하천 유역 전체를 모의하여야 하므로 모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1시간내에 홍수유출이 이루어지는 소하천 홍수 모의에는 적절치 않다. 또한 소하천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빨라 실시간 홍수모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소하천의 홍수 예측 방법으로 수치모형 보다는 계측자료에 기반한 추정삭이 보다 더 효율적이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17년부터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하여 자동유량계측기술을 소하천에 확대적용하고 실시간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CCTV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구하고 동시에 계측된 수위와 단면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유량을 계측하는 기술이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저비용, 저노동, 고효율의 유량계측기술로써 부족한 계측인력과 계측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소하천에 적합한 계측기솔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25년 까지 전국 소하천의 10%인 2,230개 소하천에 자동유량계측기술을 확대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수리량 자료를 걔측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계측자료와 AI 등 첨단기술에 기반한 홍수 예측기술 개발하고자 한다. 예측기술은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을 구분하며, 계측유역에 대해서는 계측자료를 이용하고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는 단위도법과 CES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유량 노모그래프와 수위-유량 관계식을 개발한다. 이때 노모그래프는 토양수분조건을 고려하여 개발하며, 미계측 소하천의 예측결과는 소하천을 그룹화하고 동일 그룹내에 포함된 소하천의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개발된 홍수 예측기술은 소하천 홍수 예·경보시스템에 적용되며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소하천의 인명피해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a flood warning technologies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

  • Cheong, Tae Sung;Choi, Changwon;Ye, Su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07-107
    • /
    • 2022
  • 소하천의 홍수 예측은 대부분 수치모형을 직접 활용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수치모의를 수행하고 계산된 결과를 이용하여 추정한 경험식을 활용한다. 수치모형과 그 결과를 홍수 예·경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계측자료에 기반하여 변수를 최적화하는 등의 수치모형 검증절차가 매우 중요하다. 소하천은 국가, 지방하천에 비해 계측자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형편으로 소하천의 홍수 모의를 위해서 주로 국가, 지방하천에서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이렇게 검증된 소하천 수치모형은 국가 혹은 지방하천 유역 전체를 모의하여야 하므로 모의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1시간내에 홍수유출이 이루어지는 소하천 홍수 모의에는 적절치 않다. 또한 소하천은 하천경사가 급하고 유속이 빨라 실시간 홍수모의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소하천의 홍수 예측방법으로 수치모형 보다는 계측자료에 기반한 추정삭이 보다 더 효율적이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17년부터 소하천 홍수 예측기술 개발을 위하여 자동유량계측기술을 소하천에 확대적용하고 실시간 수리량 자료를 계측하고 있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CCTV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구하고 동시에 계측된 수위와 단면자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유량을 계측하는 기술이다. 자동유량계측기술은 저비용, 저노동, 고효율의 유량계측기술로써 부족한 계측인력과 계측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소하천에 적합한 계측기솔이라고 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2025년 까지 전국 소하천의 10%인 2,230개 소하천에 자동유량계측기술을 확대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수리량 자료를 걔측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계측자료와 AI 등 첨단기술에 기반한 홍수 예측기술 개발하고자 한다. 예측기술은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을 구분하며, 계측유역에 대해서는 계측자료를 이용하고 미계측 유역에 대해서는 단위도법과 CES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를 이용하여 강우-유량 노모그래프와 수위-유량 관계식을 개발한다. 이때 노모그래프는 토양수분조건을 고려하여 개발하며, 미계측 소하천의 예측결과는 소하천을 그룹화하고 동일 그룹내에 포함된 소하천의 계측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다. 개발된 홍수 예측기술은 소하천 홍수 예·경보시스템에 적용되며 이렇게 개발된 시스템은 소하천의 인명피해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