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양 인자

검색결과 932건 처리시간 0.027초

영양보충제 복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서울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Nutrient Supplements Usage and Related Factors in Seoul Korea)

  • 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3호
    • /
    • pp.264-274
    • /
    • 1992
  • The tendency o taking supplements as the means of promoting health status has been increasing.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reveal the influence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health-consciousness on taking-supplements and to reveal that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factors. The data were obtained by self-administering questionnaire and study population was adults aged 18-81 years living in Soul(N=1300) The overall response rate was 70%(N=91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 substantial percentage(82.5%) of the subjects used some kinds of nutrient supplements Forth nine percent of respondents used both drug type supplements and food type supplements 2) The main reasons for taking supplements were ; to prevent illness and to treat illness' and ' to recover from fatigue and to give me energy' The main reason for not-taking was 'Because I am Healthy' 3) The factors influencing on taking supplements were sex marital status disease exercise recognition of knowledge and health-consciousness. When the confounders of health-conscious-ness recognition of knowledge and self-estimated score were controlled threr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ealth-consciousness and taking-supplements.

  • PDF

염증가설에 근거한 비만성 질환제어 (Modulation of Obesity-Related Pathologies Based on Inflammation Theory)

  • 유리나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10권3호
    • /
    • pp.5-9
    • /
    • 2005
  • 비만은 제2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그리고 암을 비롯해 각종 질병의 위험인자로 작용한다. 비만은 낮은 수준의 전신성 염증상태로 간주되며, 비만시 증가하는 염증성 분자는 제2형 당뇨병 또는 동맥경화등의 비만성 질병 발생과정에 깊이 관여한다. 따라서, 염증제어는 비만성 질환제어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지방세포 비대에 따른 지방세포 기능이상은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 이상을 초래하고, 비만성 질환의 발생 및 촉진자로 작용한다. 비만환자에게서의 MCP-1과 같은 염증성 아디포사이토카인의 분비 제어는 비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또는 질병 발생 및 진행을 지연시키는 전략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세포가 분비하는 케모카인 가운데 MCP-1은 비대한 지방조직내로의 대식세포의 침윤 및 활성화를 유도하며, 특히 비대한 지방조직에서의 염증반응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MCP-1은 내 장지 방조직에서 특히 그 분비량이 높았고, 따라서, 복부비만 관련 질환의 타겟분자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MCP-1 작용을 저해하는 항염증성 phytochemical은 비만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의 발생을 지연시키거나, 즉 예방적인 차원에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강 페이스트 모형액의 비효소적 갈색화 억제인자 및 반응속도 (Inhibiting Factors and Kinetics of Nonenzymatic Browning in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oe) Paste Model System)

  • 조길석;장영상;신효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135-1139
    • /
    • 1997
  • Major factors inhibiting nonenzymatic browning in stored ginger paste were investigated using aqueous model systems with temperature, water activity, pH and sulfur compounds. Browning index and total gingerols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The rate of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s showed a strong depencence on temperature and pH and a negligible influence on water activity. It was also reduced by the addition of 0.04% N-actyl-L-cysteine(NAcCys), effectively. Activation energies for aqueous ginger model systems with and without 0.04% NAcCys were 29.0 and 25.8kcal/mole, respectively.

  • PDF

Diazotized Chitin에 고정된 $\beta$-glucosidase의 생물반응기에서의 특성, 물질전달계수 및 효율인자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Mass Transfer Coefficient and Effectiveness Factor of $\beta$-glucosidase Immobilized on the Diazotized Chitin in Bioreactors)

  • 김종덕;이경희;서석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94-502
    • /
    • 1991
  • Diazotized chitin(CHITN) as supports of immobilized enzyme, which was obtained by alkaline hydrolysed chitin with NaN3 and HCI was employed to produce CHITN-Gase with glutaraldehyde as bifunctional reagent. Activities of CHITN-Gase were determined with reaction of p-nitro-pheol-$\beta$-D-glucopyranoside(PNG) in plug flow reactor as a reference of CHITA-Gase. Their optimum temperature, pH, Km and Vmax, mass transfer coefficient (h), effctiveness factor(η)were plotted with variation of flow rate and H/D. Mass transfer coefficient(h) of those enzymes increased because of their flux, as flow rates were increased and controlled by reaction rate. Effectiveness factor(η) of both enzymes were nearly 1.0.

  • PDF

고령소비자의 맞춤형 식품개발을 위한 조리과학적 접근

  • 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47
    • /
    • 2003
  • 노인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양적인 수명연장 뿐만 아니라 노후생활의 질적향상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삶의 질을 결정하는 데는 건강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식생활은 노인건강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노인의 건강 생활에는 적절한 영양섭취가 필수적이며 이에는 여러 가지 환경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핵가족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노인 부부가구 및 독신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중략)

  • PDF

양액재배시 바닷물 첨가에 의한 토마토 품질향상 (The improvement of tomato fruit quality by adding seawater under the hydroponics condition)

  • 김용덕;문정수;박용봉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4-108
    • /
    • 2000
  • 토마토의 내적품질 요인에는 당, 산, 풍미, 영양, 미네랄 등 많은 인자들이 영향을 끼치나 당, 산, 풍 미등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당한 정도의 부정적 영향없이 근권이나, 잎에 고농도 염류에 견디는 식물의 유전적 요인이 크다고 알려져 있으나(Shannon and Grieve, 1999), 그 정도는 상대습도, 온도, 복사량, 공기오염등 환경적 요인도 작용한다(Shannon et al., 1994). (중략)

  • PDF

신경영양성 인자와 역할 (Neurotrophic Factors and Their Roles)

  • 김식현;남기원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1권2호
    • /
    • pp.131-137
    • /
    • 1999
  • Neurotrophic factors control the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in developing neurons, Furthermore, nut evidence suggests that neurotrophic factors promote the axonal growth and synaptic plasticity In the CNS. Research is currently being undertaken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members of the neurotrophic factor family have potential therapeutic roles in preventing and/or reducing the neuronal cell death and atrophy. This review summarizes the current knowledge of characterized neurotrophic factors including NGF, BDNF, NT-3, and NT-4/5.

  • PDF

특집 - 당뇨망막병증 주원인 - 황반부종 -

  • 곽형우
    • 월간당뇨
    • /
    • 통권216호
    • /
    • pp.36-38
    • /
    • 2007
  • 당뇨가 오래되면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여러 가지 합병증들이 오게 되는데 그 중에서 시력을 위협하는 제일 심각한 합병증은 당뇨망막병증으로 이는 망막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진행성 질환이다. 당뇨망막병증의 발생빈도는 당뇨의 유병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당뇨로 진단받고 5$\sim$10년이 지나면 25$\sim$50%가 망막병증이 생기고 15년이 지나면 거의 90%환자가 망막병증이 생긴다. 이밖에도 고혈압, 임신, 신장질환, 고지혈증과 같은 위험인자들이 있으며 어린이나 사춘기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조기에 망막병증의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다.

  • PDF

여성 노인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환자균형식 두유 섭취 전과 후의 영양상태 및 혈액 인자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Blood Factors Before and After Consumption of Balanced Soymilk in Elderly Female Patients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 신경옥;황효정;정재일;전광진;송중화;문대균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9권2호
    • /
    • pp.100-113
    • /
    • 2023
  • This was a clinical trial study to aid the recovery of elderly female alcoholic liver disease patients by providing a balanced nutritional supplement comprising soymilk. All patients gave their consent before enrolling. The average demographics of the subjects were age 81.57 years, height 150.43 cm, weight 52.67 kg, and body mass index 24.15 kg/m2. An increase in the daily consumption of fruits and fruit juice was observed after the patients had started taking the balanced meal as compared to before. Intakes of vitamin A, vitamin C, vitamin E, and cholesterol decreased after consuming soymilk, whereas vitamin B12, niacin, folic acid, and dietary fiber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Blood cholesterol and BUN levels showed a decreasing tendency. Our results indicate that consuming soymilk in a balanced diet for female patients afflicted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helps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by increasing the nutrients lacking in the body.

대두추출물을 처리한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은 RANKL에 의해 유도된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 (Conditioned Medium of Soybean Extract Treated Osteoblasts Inhibits RANKL Induce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 박경호;주원철;여주홍;이광길;조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64-70
    • /
    • 2010
  • 본 연구는 MC3T3-E1 조골 전구세포에 대두추출물을 처리 후 그 조건배양액에서 파골세포분화 관련 국소인자 중파골세포분화 촉진인자(IL-$\beta$, IL-6, RANKL, TNF-$\alpha$, M-CSF) 및 파골세포로의 분화억제에 관여하는 국소인자인 OPG의 발현변화를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에서 살펴보았으며, 이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을 RAW264.7 파골전구세포에 처리 시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정도를 TRAP 염색 및 관련 분화 지표의 발현을 통해 알아보았다. 대두추출물 처리한 조골세포 조건배양액에서 OPG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강력한 파골세포 분화촉진인자로 알려진 IL-1$\beta$의 발현 역시 고농도의 대두추출물 처리 시 현저히 증가하여 고농도의 대두추출물을 처리한 CM 처리 시 TRAP 염색된 일부 파골세포를 확인하였고, 파골세포분화 관련지표인 MMP-9의 발현 또한 저농도 대두 추출물을 처리한 CM 처리에 비해 증가하였다. 이는 저농도의 대두추출물이 고농도의 대두추출물에 비해 파골세포분화억제에 효과적임을 의미하나, 추후 파골세포수준에서 분화억제 관련 기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