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모형

Search Result 1,06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pplicability of the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in Nam-River Basin (남강 유역에서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적용성 검증)

  • Kim, Ki-Pil;Ham, Gye-Un;Jang, Dae-Jeong;Yoon, Suk-Min;Lee, Tae-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6-306
    • /
    • 2011
  • 대상유역의 합리적인 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풍부한 홍수자료를 바탕으로 직접적인 빈도해석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정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국내의 대부분 유역은 관측된 홍수 자료가 제한적이고, 미계측 유역이므로 빈도해석을 통한 홍수량의 산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에서는 홍수량 산정에 대한 대안으로 강우-유출관계의 선형성을 가정한 집중형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집중형 강우-유출모형은 경험적인 공식에 의해 결정되는 수문매개변수의 비합리성 및 유역분할, 유역 하도추적의 구축방식에 따라 상이한 홍수량이 산정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경험적이고 개념적인 집중형 유출모형을 지양하고, 격자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남강 유역에서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적용성 검증에 있다. 따라서 남강 유역 내에 발생한 4개의 호우사상을 선정한 후 강우 레이더 영상인 CAPPI영상 및 C-Max영상을 이용하여 면적강우량을 산정하였다. C-Max 영상을 이용하여 산정된 면적강우량은 지점강우를 이용한 면적강우량과 비교해 130%이상 과대 산정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CAPPI 영상을 이용하여 산정된 면적강우량은 10%이하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APPI 영상을 분포형 유출 모형인 VfloTM에 입력하여 유출을 모의 하였다. 모의된 유출곡선과 관측된 유출곡선을 비교 검토한 결과 80%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낸 반면 첨두유출량 오차는 30%이상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강우보정기법인 G/R보정 기법을 적용한 후에는 첨두유출량 오차가 10%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강 유역에 분포형 유출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강우 사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Correction Algorithm of Swayed Images for LSIV (LSIV를 위한 흔들리는 영상의 보정 알고리듬의 개발)

  • Yu, Kwon-Kyu;Yoon, Byung-Man;Kim, Ju-W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494-499
    • /
    • 2006
  • LSIV (Large Scale Image Velocimetry)는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수표면의 유속을 측정하는 장비이다. 처리가 용이한 좋은 LSIV의 영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높은 고도에서 내려다 보며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이를 위해 트럭에 장착된 기중기를 이용하는 이동용 LSIV를 개발하고 있다. 이 때 기중기의 흔들림에 따라 획득된 영상이 흔들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여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알고리듬이 필요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PTV(Particle Tracking Velocimetry)의 입자 추적 알고리듬과 LSIV의 좌표 변환 알고리듬, LSIV의 유속 산정 알고리듬을 조합하여 흔들리는 영상에서 표면 유속을 측정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하였다. 입자 추적 알고리듬은 비디오 카메라로 촬영된 연속 영상의 참조점들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카메라의 위치 변동을 파악한다. 영상 분석된 결과들을 이러한 참조점들을 기준으로 변환하였다. 개발된 알고리듬의 검증을 위해서 실험 수로에서 동일한 흐름에 대해 흔들리지 않은 영상과 흔들리는 영상의 두 가지 영상을 만들었다. 흔들림이 없는 영상의 처리결과를 기준으로 삼아, 흔들림이 있는 영상의 처리 결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흔들림이 지나치게 커서 참조점들의 추적이 불가능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두 자료의 처리 결과는 거의 동일하였으며, 유속 측정의 최대 오차는 약 5 % 내외로 나타났다. 이 오차는 흔들림 때문에 생기는 영상의 열화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알고리듬은 이동용 LSIV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비용적 측면이나 생태 보존적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one)을 설치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저수지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저수지 내부의 탁도 거동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추후 동수역학 및 열역학에 기초한 3차원 수치모형 연구와 성층흐름에 정밀한 밀도류 실험연구 및 이에 대한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함으로써 정보의 질적보장과 정보전환의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는 정보분석시스템이다.이용,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특성에 따른 4개의 평가기준과 26개의 평가속성으로 이루어진 2단계 기술가치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2개의 개별기술에 대한 시범적용을 실행하였다.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

  • PDF

Asymmetric Diffusion Model for Protein Spot Matching in 2-DE Image (2차원 전기영동 영상의 단백질 반점 정합을 위한 비대칭 확산 모형)

  • Choi, Kwan-Deok;Yoon, Young-W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5B no.6
    • /
    • pp.561-574
    • /
    • 2008
  • The spot detection phase of the 2-DE image analysis program segments a gel image into spot regions by an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and fits the spot regions to a spot shape model and quantifies the spot informations for the next phases. Currently the watershed algorithm is generally used as the segmentation algorithm and there are the Gaussian model and the diffusion model for the shape model. The diffusion model is closer to real spot shapes than the Gaussian model however spots have very various shapes and especially an asymmetric formation in x-coordinate and y-coordinate. The reason for asymmetric formation of spots is known that a protein could not be diffused completely because the 2-DE could not be processed under the ideal environment usually. Accordingly we propose an asymmetric diffusion model in this paper. The asymmetric diffusion model assumes that a protein spot is diffused from a disc at initial time of diffusing process, but is diffused asymmetrically for x-axis and y-axis respectively as time goes on. In experiments we processed spot matching for 19 gel images by using three models respectively and evaluated averages of SNR for comparing three models. As averages of SNR we got 14.22dB for the Gaussian model, 20.72dB for the diffusion model and 22.85dB for the asymmetric diffusion model. By experimental results we could confirm the asymmetric diffusion model is more efficient and more adequate for spot matching than the Gaussian model and the diffusion model.

Computational Modeling and Analysis of Ablative Composites Using Micro-tomographic Images (미세 단층 영상을 이용한 삭마 복합재료의 전산 모델링 및 해석)

  • Cheon, Jae Hee;Roh, Kyung Uk;Shin, Eui Su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7 no.9
    • /
    • pp.642-648
    • /
    • 2019
  • In this study, Image-based computational analysis using the developed model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degradation of effective properties by ablation. The ablation tests of carbon/phenolic composites were performed using a 0.4 MW arc-heated wind tunnel. The carbon/phenolic composite samples were scanned using the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to analyze the abl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duration time of the ablation test. By calibrating the scanned images, computational models were developed that reflect the actual microstructure of the ablation composites. Also, nine computational models that reflect the actual pore shape were developed using the created cross-sectional images. Image-based computational analysis using the developed model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degradation of effective properties by ablation and the decrease of effective properties was confirmed with increase of porosity.

Extraction of Water Area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rom Satellite Imagery and DEM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위성영상과 DEM으로부터의 수계지역 추출)

  • Sohn, Hong-Gyoo;Jung, Won-Jo;Yoo, Hwan-Hee;Song, Yeong-Su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51-57
    • /
    • 2002
  • 국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는 매핑, 환경관리, 시설물 관리 등에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날씨나 태양의 제약을 받지 않는 RADARSAT SAR 영상의 수계지역을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하고자 하였다. RADARSAT은 경사관측을 통하여 영상을 취득하며 지형의 기복에 의한 음영효과(Shadow effect)로 인하여 수계지역 분류시 정확도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RADARSAT SAR 영상의 역산란계수를 계산하고 음영효과에 의한 분류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치고도모형을 사용하였다. 지형의 기복이 작은 평지와 지형의 기복이 심한 산악지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여 각 지역별로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로 역산란계수를 신경망기법의 단일 입력 자료로 사용한 경우보다 수치고도모형을 같이 사용한 것이 분류 정확도가 높았다. 또한, 수치고도모형을 역산란계수와 함께 입력 자료로 이용할 경우 평지보다 산악지에서 효율적이었다. 산악지역이 많은 국내에서는 SAR영상의 수계지역 추출을 신경망 기법으로 할 경우에는 수치고도모형을 함께 이용함으로써 분류정확도 향상을 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Parameter Estimation of Auto-Binomial Model using Selectionist Relaxation for Segmentation of Texture Images (유전자적 완화법에 의한 자기이항모형의 파라미터 추정과 질감 영상분할)

  • Lee, Seung-U;Kim, Hwang-Su;Park, Yeong-Cheo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3
    • /
    • pp.298-304
    • /
    • 2001
  • Markov 랜덤 필드(MRF)를 이용한 질감 영상의 영역분할을 각 영역을 기술해줄 수 있는 제대로 된 파라미터들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종래에는 입력영상의 질감 영역의 수와 그 형태 등을 초기에 적당히 가정하여 파라미터를 찾는 방법을 써왔는데 실제 영상에는 잘 맞지 않았다. 최근에 완화법(Relaxation)을 이용하여 MRF의 파라미터를 찾는 방법이 제안[8]되었는데 오직 일반화된 Ising 모형에서만 사용가능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자연영상에 적합한 자기이항 모형(Auto-binomial Model)에 변형된 완화법을 적용시켜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질감 영상을 분할해 보았다. 그 결과 이전의 Ising 모형으로는 어려웠던 자연영산의 분할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Feature-Point Extraction by Dynamic Linking Model bas Wavelets and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Gabor 웨이브렛과 FCM 군집화 알고리즘에 기반한 동적 연결모형에 의한 얼굴표정에서 특징점 추출)

  • 신영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4 no.1
    • /
    • pp.11-16
    • /
    • 2003
  • This Paper extracts the edge of main components of face with Gator wavelets transformation in facial expression images. FCM(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then extracts the representative feature points of low dimensionality from the edge extracted in neutral face. The feature-points of the neutral face is used as a template to extract the feature-points of facial expression images. To match point to Point feature points on an expression face against each feature point on a neutral face, it consists of two steps using a dynamic linking model, which are called the coarse mapping and the fine mapping.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ic extraction of feature-points by dynamic linking model based on Gabor wavelets and fuzzy C-means(FCM) algorithm.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pplied to extract features automatically in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based on dimension[1].

  • PDF

A Phantom study of Displacement of Three Dimensional Volume Rendering for Clinical Application in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방사선치료계획의 임상적용을 위한 3차원 볼륨렌더링영상 체적변화의 모형연구)

  • Goo, Eun-Hoe;Lee, Jae-Seung;Lim, Cheong-Hw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1
    • /
    • pp.280-288
    • /
    • 2009
  • This study is to design and produce a detailed model for volume variety of three dimensional reconstruction images and to evaluate the changes of volume, area and the length of the model in the process of the reconstruction of RTP system. CT simulation was operated at the thickness of 1.25, 2.5, 5, 10mm and average, standard deviation of scan direction(X), thickness(Y), table movement direction(Z), area(A), and volume(V) of the three dimensional volume rendering,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ickness of the phantoms. As a result, at the thickness of 1.25, 2.5min, the phantom's shape decreased maximum 0.13cm(p<0.05) to the direction of X, Y, Z and length, area, volume decreased 0.1cm, $0.8cm^2$, $3.99cm^3$ which led to an approximate image of the phantoms. However, at the thickness of 5, 10mm, the phantom of the original form decreased maximum 0.58cm(p<0.05) and volume, area, length decreased maximum 0.45cm, $8.21cm^2$, $11.03cm^3$. Volume varieties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phantoms have occurred diversely, when CT simulation was operated, and it is considered that a clinically appropriate volume rendering can be obtained only when the thickness is below 3mm.

Region-Based Reconstruction Method for Resolution Enhancement of Low-Resolution Facial Image (저해상도 얼굴 영상의 해상도 개선을 위한 영역 기반 복원 방법)

  • Park, Jeong-Seo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4 no.5
    • /
    • pp.476-486
    • /
    • 2007
  • This paper proposes a resolution enhancement method which can reconstruct high-resolution facial images from single-frame, low-resolution facial images. The proposed method is derived from example-based reconstruction methods and the morphable face model.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xample-based reconstruction, we propose the region-based re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maintai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facial regions. Also, in order to use the capability of the morphable face model to face resolution enhancement problems, we define the extended morphable face model in which an extended face is composed of a low-resolution face, its interpolated high-resolution face, and the high-resolution equivalent, and then an extended face is separated by an extended shape vector and an extended texture vector. The encouraging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s can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face recognition systems, particularly to enhance the resolution of facial images captured from visual surveillance systems.

Impacts of Parameter Changes According to Landuse Changes on Hydrologic Simulation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매개변수 변화가 수문모형의 수문 해석에 미치는 영향 분석)

  • Hwang, Soonho;Kim, Gye Woong;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6-336
    • /
    • 2018
  • 수문 모형에서 토지이용 자료는 수문해석에서 중요한 환경변수라고 할 수 있으며, 토지이용 자료의 정확도 및 해상도에 따라서도 수문해석 결과가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SWAT 모형은 수문해석을 위한 알고리즘에서 고려하는 토지이용 관련 매개변수가 다양하며, 수문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토지이용 관련 매개변수를 정확하게 추정하는 것이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문 모형의 검보정을 위해서는 각 년도에 맞는 토지이용자료를 이용하여야 하고, 각 년도별 매개변수를 달리하여 검보정을 실시하여야 하지만 토지이용 자료의 부족함과 수문모형 검보정의 편의성을 위해 특정년도의 토지이용 자료를 이용하여 고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고 있다. 특히, 장래 수문변화를 고려하는 연구에서는 장래 토지이용 변화를 고려하여,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매개변수를 고려하고 있으나 장래 수문해석에 있어 모든 매개변수를 토지이용 자료로만 추정할 수 없기 때문에 기 검보정에 사용한 매개변수를 일부 수용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모형의 검보정에 있어 고정된 매개변수를 사용한 경우 (a)와 토지이용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토지이용 특성과 매개변수 간의 상호 관계를 이용한 경우 (b)를 비교하여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매개변수 변화를 고려한 경우의 수문 모형의 수문모형 해석 결과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도별 토지이용 자료를 생산하기 위해서 무료로 공개하는 위성영상 중 자료의 공간해상도와 분광해상도가 상대적으로 좋은 Landsat 위성영상 자료와 Sentinel 위성영상을 고려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지는 토지이용 변화를 뚜렷이 확인할 수 있고 유역 말단 부분에 수문 모니터링 (혹은 유량 자료가 구축된 곳)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