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동지역

Search Result 41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for Prolific Open-Pollinated Progeny Stands of Pinus koraiensis by Environmental Factor (입지환경에 따른 잣나무 차대검정림 하층식생 구조의 특성)

  • 정동준;김홍률;신만용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5 no.3
    • /
    • pp.151-157
    • /
    • 200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bout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by chang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 prolific open-pollinated progeny forest in Pinus koraiensis stands. Stand slope of Kapyung area was slower than Youngdong area. On the other hand, contents rate of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in Kapyung was lower than Youngdong area. And relative intensity of light was higher Youngdong than Kapyung area. On the whole, growth of the Pinus koraiensis was more dominant Kapyung area than Youngdong. Analysis result of the relative density, - frequency, - coverage and importance value to shrub layer in each local stands,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acutissima were dominant species in Kapyung area. Dominant species In Youngdong area was Quercus acutissima. In Kapyung area, appearance species of the vegetation layer was consisted that live in moist soil and shaded lot. Youngdong area showed fewer species than Kpyung area. Species diversity of shrub and vegetation layer in Kapyung and Youngdong area was higher than Youngdong. This result was judged by slope difference between each areas. Kapyung area need enforce thinning and Youngdong area conduct tending management on shrub layer.

A Case Study of Snowfall Event over Yeongdong Region on March 1-2, 2021 (2021년 3월 1-2일 영동지역 강설 사례 연구)

  • Bo-Yeong Ahn;Byunghwan Lim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4 no.2
    • /
    • pp.119-134
    • /
    • 2023
  • The synoptic, thermodynamic,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nowfall event that occurred in the Yeongdong region on March 1-2, 2021, were investigated. Surface weather charts, ERA5 reanalysis data, rawinsonde data, GK-2A satellite data, and WISSDOM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snow depth, exceeding 10 cm, was observed at four weather stations during the analysis period. The maximum snow depth (37.4 cm) occurred at Bukgangneu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eather charts, old and dry air was trapped within relatively warm, humid air in the upper atmosphere over the East Sea and adjacent Yeongdong region. This caused unstable atmospheric conditions that led to developing convective clouds and snowfall over Bukgangneung. In particular, based on the thermodynamic and kinematic vertical analysis, we suggest that strong winds attributable to the vertical gradient of potential temperature in the low layer and the development of convective instability due to cold advectio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occurrence of snowfall in the Yeongdong region.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from the vertical analysis of the rawinsonde data.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Variables in the Leeward Side associated with the Downslope Windstorm over the Yeongdong Region (영동지역 지형성 강풍과 관련된 풍하측 기상요소의 특징)

  • Cho, Young-Jun;Kwon, Tae-Yong;Choi, Byou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6 no.4
    • /
    • pp.315-329
    • /
    • 2015
  •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conditions related to the strong downslope wind over the leeward side of the Taebaek Mountains during the period 2005~2010. The days showing the strong wind exceeding $14ms^{-1}$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as study cases. A total of 15 days of strong wind were observed at Sokcho, Gangneung, Donghae, and Taebaek located over the Yeongdong region. Seven cases related to tropical cyclone (3 cases) and heavy snowfall (2 cases) and heavy rainfall (2 cases) over the Yeongdong region were exclud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ing 8 cases, we used synoptic weather chart, Sokcho radiosonde, Gangneung wind profiler and numerical model. The cases showed no precipitation (or ${\leq}1mm\;day^{-1}$). From the surface and upper level weather chart, we found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southern high and northern low pattern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warm ridge over the Yeongdong region. Inversion layer (or stable layer) and warm ridge with strong wind were located in about 1~3 km (925~700 hPa) over mountains. The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indicated that warm core and temperature ridge with horizontal temperature gradient were $0.10{\sim}0.23^{\circ}C\;km^{-1}$ which were located on 850 hPa pressure level above mountaintop. These results were summarized as a forecasting guidance of downslope windstorm in the Yeongdong region.

수치모델 자료를 이용한 영동지방의 대설사례 특성 분석

  • Kim, Do-Wan;Jeong, Hyo-Sang;Ryu, Chan-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74-76
    • /
    • 2010
  • 영동지방은 서쪽으로는 태백산맥이 남북으로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 동해와 인접해 있는 지리적인 위치로 전 계절에 걸쳐 지역 특성에 따른 국지적인 기상 현상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대설은 영동지방의 기후 특징 중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대설 일수가 많고 강설량이 많은 영동지방의 강릉과 속초, 그리고 울릉도는 연 강수량에서 겨울철(12월~2월) 강수량이 각각 약 10%와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나라 다른 지역의 5% 내외에 비하면 매우 높은 것이다. 이 지역의 강설 특징은 좁은 지리적 범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좁고 강한 강수역과 지역적으로 커다란 변화를 보이는 적설량과 강설 일수이다. 해안선으로부터 산맥의 분수계까지의 거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복잡한 지역에서의 강설의 발생과 강설량의 분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설의 패턴을 분류하여 연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cP 확장 시 영동지방의 강설 패턴을 하층 대류권의 바람장에 따라 산악 강설 패턴, 한기-해안 강설 패턴, 난기-해안 강설 패턴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각 강설 패턴에 대한 종관적인 대기구조의 특성을 파악한 후 3차원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2008년 12월 21일부터 22일까지 영동지방에 내린 대설을 한기-해안 강설 패턴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ainfall and flood disaster information production technique using microwave precipitation observation station: case study of Samcheok area (전파강수관측소를 활용한 강우 및 홍수 재해정보 생산 기술 개발 연구: 삼척지역 사례연구)

  • Yoon, Seong Sim;Lim, Sanghun;Kim, Hyunjung;Jeong, Hyeon G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03-203
    • /
    • 2020
  • 동해안에 위치한 영동지역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지형적인 여건으로 지상강우관측망의 밀도가 낮으며, 지상관측소의 관측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 대형 레이더는 지형 차폐로 인해 영동지역에서는 정확한 강우정보를 관측하기 어렵다. 강우정보는 홍수예측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이므로,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홍수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영동지역에서는 관측공백의 해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동해안 지역에 2기의 전파강수관측소를 설치, 운영 중에 있다. 해당 관측소 자료는 30km 관측반경 범위 내에서 수 백 미터 이하의 격자 강우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파강수관측소의 자료를 강우 및 홍수 재해정보 생산에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영동지역에 위치한 삼척오십천으로 해당 지역은 친수적으로 조성되어 강우로 인한 시민의 인명피해가 위험이 존재하는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설치된 삼척 전파강수관측소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격자 및 유역평균강우정보를 생산하고,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강우정보 기반으로 하천홍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는 하천흐름계산도표를 개발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생산된 고해상도 격자 강우자료는 70m 격자 해상도를 갖으며, 분포형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하여 추정된 강우정보이다. 유역평균강우는 삼척오십천 유역과 삼척시 동단위 행정구역별로 산출된다. 또한 하천흐름계산도표는 삼척오십천 유역의 현장답사를 통해 시민의 접근성, 하천수위 급상승으로 인한 피해가능성을 고려하여 6개 지점을 선정하여 개발하고, 전파강수관측소 관측강우정보를 활용하여 홍수예측정보로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racteristics in the Youngdong Region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 I : Case study on O-sip cheon Basin in Samcheok -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영동지방의 유출특성 분석 - I : 삼척오십천 유역을 대상으로 -)

  • Noh, Hui-Seong;Jeung, Se-Jin;Lim, Joo-Ho;Choi, Jong-In;Kim, B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43-943
    • /
    • 2012
  • 태백산맥의 중심부인 중앙산맥을 경계로 하여 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영동지방은 서쪽으로 태백산맥이, 동쪽으로는 동해바다와 바로 인접해 있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지역적 특성이 매우 강하며, 이에 따라 국지적 기상현상이 계절적 변화와 함께 빈번히 발생하는 지역이다. 2002년 태풍 루사가 영동지방을 강타했을 때 영동지방의 대표도시인 강릉지방에서는 기록적인 폭우(일최다 강수량 870.5mm)가 내렸으며, 그 다음해인 2003년 매미 뿐 아니라 최근발생하고 있는 국지적인 호우로 인한 영동지방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수문학적 관점에서의 홍수유출 및 강우특성에 대한 분석 및 연구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것은 대상지역인 영동지방 특히 삼척오십천 유역내의 강우 및 수위 관측소가 간헐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강우 및 수위(유량)자료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강릉 기상레이더(2010.5 동해기상레이더 교체 이전)의 레이더강우자료와 지상강우 및 수위(유량)자료를 활용하고, 집중형 모형에 비해 더 정확한 강우-유출 현상 모의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 분포형 모형(Vflo$^{T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영동지역 중 첫번째로 삼척오십천유역에 대한 유출분석을 하였으며, 과거 큰 홍수피해를 준 태풍 루사 매미 및 최근의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삼척오십천유역에 대한 유출특성 분석을 시작으로, 양양남대천 강릉남대천에 대한 유출특성에 대한 연구를 추가로 수행된다면, 영동지방의 국지적 기상현상(집중호우 및 태풍)으로 인한 홍수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재측면에서의 홍수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내용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climate disaster vulnerability of Gangwon-do based on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 기반 강원도 기후 재난취약성 평가)

  • Lee, Hyeon Ji;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35-335
    • /
    • 2022
  • 남한상세 기후변화 전망보고서(2021)는 2100년대 강원도 강수량이 현재보다 19% 증가하고, 평균기온이 현재보다 6.5℃ 상승할 것으로 공표했다. 강원도는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분리돼 기후 차이가 분명하다. 기상청 ASOS 데이터(1986~2020)를 이용해 기후 특성을 확인한 결과 영동지역 강수량은 1,463mm, 평균기온은 10.5℃, 상대습도는 66%로 분석됐고, 영서지역 강수량은 1,307mm, 평균기온은 11℃, 상대습도는 68%로 분석됐다. 영동지역 강수량이 영서지역 강수량보다 약 156mm 더 많으며, 이는 영동지역에서 큰 규모의 우심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강원도 평년 우심 피해 현황을 살펴본 결과 영동지역은 5회(피해액: 62억 원), 영서지역은 24회(피해액: 62억원)가 발생했다. 이는 미래로 갈수록 더 심해질 것으로 판단되며, 이런 기상 재난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강원도 기후 재난취약성을 평가했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 위험성, 기후변화 민감도,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를 활용해 기후변화 취약성 지표를 선정했다. 기후변화 위험성 지표는 홍수(CWD, Rx5day, R30mm), 가뭄(CDD, SU, TX90p), 폭염(SU, TR, TN90p), 한파(ID, TX10p, FD)로 RCP 8.5 기후변화시나리오를 ETCCDI 지수에 적용했다. 기후변화 민감도와 기후변화 적응능력 지표는 국가통계포털, 강원통계정보, WAMIS에서 자료를 수집해 선정했다. 또한 재난취약성 지표를 4단계(Very Low, Low, High, Very High)로 구분했다. 홍수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원주시, 춘천시, 횡성군이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가뭄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이 Very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폭염 취약성 평가 결과 2090년대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이 Very Low에서 Very High로 단계가 격상됐다. 한파 취약성 평가 결과 삼척시, 태백시, 영월군이 High에서 Very Low로 단계가 격하됐다. 고로 강원도는 기후 재난취약성 평가 결과에 따른 미래 기후변화를 대비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는 복원력 관점 기후 재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Cold Tolerance of the Grape Cuttings at Different Locations and Dormant Periods (포도나무가지의 휴면 시기 및 지역별 저온 내성에 관하여)

  • Cheong, Sam-Taek;Lyu, Hwan-Myun;Seo, Jeong-H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16
    • /
    • pp.55-63
    • /
    • 1998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know tolerance to cold temperature of the grape shoots collected at different locations and dormant periods in 1996 to 1997.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among locations in their electric conductance of Campbell Early cultivar, in Dec. 1996. But the least damage was shown at Kyung Joo while severe at Young Dong district in Jan. 1997. (2) Electric conductance of Sheridan cultivar was showing the same tendency as Campbell Early. (3) Early dormant period(December) affected severe bud browning at Young Dong than that of January. The grape shoot collected at Kyung San and Kyung Joo Showed a little influence on bud browning during December and January. (4) Likewise, bark browning of the grape shoot collected at Young Dong showed the same tendency with bud browning test. (5) The bud of grape shoot was bursted even at $-20^{\circ}C$. But rate of bud bursting was lower at Young Dong than the other districts at $-15^{\circ}C$ and $-20^{\circ}C$. From these results, the authors believe that we must introduce and test for suitable cultivation area and temperature before selection of permanent cultivating location.

  • PDF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 홍현철;홍충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38
    • /
    • pp.39-45
    • /
    • 1994
  • 영월군은 강원도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의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속한다. 철도교통은 태백선과 영동선으로 연결되며 서울에서 3시간 30분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로는 새말에서 장평 평창을 지나 영월에 이르게 되며 수도권에서 3시간 정도로 도달할 수 있다. 즉 영월은 중원권인 충청도지방과 수도권인 경기지방 그리고 동해안지역인 영동지방등의 결절지역에 해당되는 교통요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태백산맥 서사면의 산간오지로 산세가 수려하고 한적한 비경인 관계로 조선시대 단종의 유배지로 정해졌던 고장이다.(중략)

  • PDF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 홍현철;홍충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90-90
    • /
    • 1994
  • 영월군은 강원도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의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속한다. 철도교통은 태백선과 영동선으로 연결되며 서울에서 3시간 30분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로는 새말에서 장평 평창을 지나 영월에 이르게 되며 수도권에서 3시간 정도로 도달할 수 있다. 즉 영월은 중원권인 충청도지방과 수도권인 경기지방 그리고 동해안지역인 영동지방등의 결절지역에 해당되는 교통요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태백산맥 서사면의 산간오지로 산세가 수려하고 한적한 비경인 관계로 조선시대 단종의 유배지로 정해졌던 고장이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