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직문화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4초

현대 패션에 나타난 홀치기염 디자인 연구

  • 최경희
    • 복식문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복식문화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7-98
    • /
    • 2003
  • 현대 의상에서의 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과거 공예적 성격을 띠고 있던 염직의 개념이 디자이너들의 자유로운 창작욕구를 표현하는 새로운 장르로 대두되면서 지금까지 사용된 재료와 표현방식에 국한되지 않으며 혁신적 재료의 사용과 개발을 통해 새로운 표현기법이 끊임없이 추구되고 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되어온 전통적인 기법인 홀치기염은 단지 실용성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조형예술로서 그 가치를 추구하는 작가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새로운 재료와 기법이 개발되고 그 표현 양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중략)

  • PDF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점문양 복식의 염직 연구

  • 양경애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9-19
    • /
    • 2003
  • 服飾文化의 일부분으로 染色과 織造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크지만 染織 실물이 없는 현 상황에서 고대 한국의 染織文化를 이해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지금까지 고구려 복식문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古墳壁畵에 표현된 극히 한정된 시각자료를 통해 형태적 측면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염색이나 직물에 관한 것은 그림 자료의 한계로 인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고대 복식에 대한 공백을 메워주는 중요한 자료로서의 역할을 해온 고분벽화 복식은 해석 여하에 따라 오히려 왜곡된 사실을 강화해 온 듯하다.

  • PDF

고구려 고분벽화에 표현된 점문양 복식의 염색 연구 (A Study on the Dyeing Method of the Dot-Patterned Costumes on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 양경애
    • 복식
    • /
    • 제54권7호
    • /
    • pp.55-62
    • /
    • 2004
  • Research into the ancient dyeing and weaving culture is of critical importance to the fact that they constitute an integral part of the Korean costume. Due to the absence of the originals reflecting ancient costume cultures,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what the dyeing and weaving culture was like in ancient times. Because of limited visual materials available from the wall paintings of ancient tombs, studies conducted so far concerning the costume culture for the Goguryeo have focused on visual elements such as shape, structure, and type. As a result, research into ancient Korean dyeing and weaving cultures hasn't been properly made. Thanks to the presence of both some dyeing fabric originals from Goguryeo's neighboring countries and some visual materials like the wall paintings of the Goguryeo, it may be possible to obtain some clues to the dyeing and weaving culture. The dotted Pattern costumes were selected such as Muyongchong, No. 1 Jangcheon Tomb, Gakjeochong, Samsilchong, Ssangyeongchong, Susanri Tomb. According to a book titled ‘Hanwon’, the Goguryeo people manufactured fabrics in such a way that resist-dyed spots produced elaborate patterns over the purple fabric. It can be safely said that such dot patterns were produced by means of dyeing rather than weaving, because identical patterns aren’t well produced by means of painting and embroidery. Considering Goguryeo’s natural features, the dot patterns mentioned in historical literatures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using animal’s skin. However, there is highest possibility that the dot Patterns were Produced using tie-resist dyeing or wax-resist dyeing techniques. With respect to the dyeing and weaving culture for the Goguryeo, one must refer to neighboring countries’ dyeing and weaving environments, given that the Goguryeo had engaged substantial cultural exchanges with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