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염수

Search Result 65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mpacts of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Development in Sungsan Watershed, Jeju Island (제주도 성산유역의 담수와 염수 지하수 개발의 영향)

  • Park, Namsik;Koh, Byoung-Ryoun;Lim, Youngduc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7
    • /
    • pp.783-794
    • /
    • 2013
  • Saline groundwater, in addition to fresh groundwater, is actively developed for inland aqua culture in Jeju Island where groundwater is practically the only source of freshwater. In this work we analyzed impacts of saline and fresh groundwater development on groundwater systems in Sungsan subwatershed in Jeju. A sharp-interface model was used to simulate fresh and saline groundwater flows. Withdrawal of freshwater imparted adverse impacts by lowering groundwater level and inducing saltwater encroachment. Withdrawal of saline water imparted mixed results: on one hand it lowered groundwater level, on the other hand it reduced saltwater encroachments. However, freshwater development lowered groundwater level much more than salinewater development did. Modified Ghyben-Herzberg ratio was developed for a transition zone with finite width. Comparison against observed data resulted in fair agreement.

A Study for Reducing Sea Water Intrusion in the Ground Water Dam Operation (지하댐 운영시 발생하는 염수침입 저감기법에 관한 연구)

  • Yun, Sang-Hoon;Park, Jae-Hyeon;Park, Chang-K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2
    • /
    • pp.97-108
    • /
    • 2004
  • Recently the ground-water development using the ground-water dam was proposed for the efficient use of the limited water resources especially for islands or seaside area. But in operating the ground-water dam adjacent to seaside an excessive pumping causes the sea-water intrusion which is caused by the drawdown of ground-water level.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recharging well method to reduce the sea-water intrusion was evaluated, and was applied to the downstream of the Ssangcheon ground-water dam site. The SUTRA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salinity transport in the unsaturated and saturated zone. As the results, the effect of recharging method on the downstream of the ground-water dam was proven to be very efficient to reduce the salinity in the pumping well, and especially the best result was shown at the case that the recharging well is located at 40∼60m from the cutoff wall and the recharging rate is up to 6∼7%.

During Demonstration Test of the Estuary Bank, Vertical Profiling Measurement in a saline groundwater (하굿둑 실증시험 시 염지하수의 연직 프로파일링 관측)

  • Kim, Byung-Woo;Choi, Doo H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7-447
    • /
    • 2022
  • 하굿둑 실증시험 및 개방 시 하굿둑으로부터 해안지역 대수층의 지하수 내 염분침투를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해서 담수(freshwater)와 염수(saltwater)의 경계면 변동 및 분포를 추적하기 위해 지화학적·물리적 접근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해안 및 하굿둑 주변지역의 담·염수 경계면 특성에 관한 조사 및 분석은 직·간접적 관측방법으로 이뤄진다. 직접 관측방법에는 심도별 전기전도도(Electrical condutivity, EC) 측정 방법으로 1개 정밀센서(CTD-Diver)를 와이어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측정하는 방식과 자동 관측센서(CTD-Diver)를 공내 여러 관심심도에 이격거리에 따른 관측센서를 여러 개 설치하여 특정 관심심도별 연속적인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간접 관측방법에는 관심심도별 또는 특정 심도의 지하수 수질을 채취하여 지화학 분석하는 방법이 있다. 직·간접적 관측방법에는 관심심도별 구간의 이격거리와의 공백과 조사시기에 대수층의 해수침투를 파악할 수 있으나 연속적 관측과 예측은 매우 어렵다. 직접적 관측방법 중 1개 정밀센서와 와이어를 이용한 특정 시·공간에 대한 연직 프로파일링 관측은 가능하나, 연속적 관측과 예측 또한 매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리적 방법을 기반으로, 하굿둑 인근의 담수(freshwater)와 염수(saltwater)와의 경계면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는 하굿둑 실증시험 시 지하수 내 염분침투에 따른 지하수 환경 등에 대한 전반적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하구언 일대의 지하수 내 염분침투 및 지하수 오염관리를 위해 실증실험 등 인위적인 요소와 강우, 태풍, 가뭄 등 자연적인 요소에 의해 여러 형태의 분포특성을 보이는 담수와 염수의 분포 및 혼합대의 특성에 따른 담염수의 경계면 형태별 분석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해수침투의 예방과 지하수 오염 방지를 위해 심도별 자동 수질측정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염지하수의 프로파일링 감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PDF

부산 동남부 지역의 해수침입 범위 연구

  • 심병완;정상용;이민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143-14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 동남부 해안지역의 대수층에서 염수화에 미치는 조건들을 파악하고 해수침투 범위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Tidal damping method와 SUTRA 모델링을 실시하고 대수층의 특성 및 염수화가능성을 파악하였으며, 모델링 결과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하였다. Tidal damping method에 의한 시간지연과 조석효율효과를 계산하여 대수층의 저류계수를 산출한 결과 시간지연 현상에 의한 방법이 적합하게 나타났다. SUTRA 모델링 결과, 건기인 5월에는 종분산 지수가 2.5m 일 때 500ppm의 TDS 등치선을 기준으로 해안에서 약 510m 내륙까지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기인 7월에는 강수로부터 다량의 지하수 함양에 의한 지하수위 상승을 고려하여, 평균수리경사를 0.008로 설정한 조건에서는 500ppm의 TDS 등치선을 기준으로 해안에서 약 410m 내륙까지 해수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다. 5월과 7월의 전기비저항 탐사결과를 비교하면 7월의 전기비저항 분포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6, 7월의 강수에 의한 지하수의 유입이 증가하여 침투된 염수의 농도가 다소 낮아졌기 때문이다.

  • PDF

Outdoor corrosion test와 Accelerated corrosion test의 상대적 비교

  • Jo, Ui-Yeol;Gwon, Gi-Bong;Jo, D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4-124
    • /
    • 2012
  • 부식 현상은 산업과 실생활에서 경제적, 인간의 생활과 안전에서 손실을 일으키는 요인이다. 자동차 부품, 선박 부품 및 전자 부품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명 및 고장율 시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넓은 분야에서 염수분무시험을 적용하고 있지만, 실제 야외환경에서 발생하는 부식과의 상관관계가 확실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렇게 넓은 산업전반에서 적용하고 있는 염수분부시험 방법은 시료의 부식 저항성을 판단하기 위한 시험시간이 오래 걸리고 이런 이유로 적정한 시험시간을 설정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고내식성 시료의 부식평가가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식의 형태에서 균일부식 현상을 이용하여 옥외 노출 부식시험과 염수분무시험, 가속부식시험 환경에 노출된 시료의 무게 감량을 측정하여 가속계수 도출과 함께 부식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Effects of alloying elements(Cr, Mn) on corrosion properties of high manganese steel in 3.5% chloride environments and sour gas environment (염수 및 Sour gas환경에서 고 망간강의 내식성에 미치는 합금원소 Mn, Cr의 영향)

  • Kim, Hui-San;Hyeon, Yeong-Min;Lee, Sun-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5a
    • /
    • pp.39-42
    • /
    • 2013
  • 자동차 및 에너지 산업의 적용을 목표로 고망간강의 기계적 성질 향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반면 내식성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염수 환경 및 H2S 환경에서 4종의 고망간강의 내식성에 미치는 크롬 및 망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비교재로 사용된 탄소강 대비 실험재의 부식 속도는 침지 실험을 통해 얻어졌다. 또한 내식성 기구 고찰을 위하여 상평형 프로그램을 통하여 녹 층을 예측하고, 침지실험으로부터 얻어진 녹 층을 XRD, SEM-EDS 및 TEM-EDS로 분석하였다. 3.5% NaCl 용액에서 크롬 및 망간이 모두 내식성을 향상시킨 반면, synthetic seawater에서는 크롬만이 내식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이들 염수 환경과 달리 H2S 환경에서 크롬과 망간 모두 내식성을 향상시키지 못했다. 환경에 따라 강의 내식성에 미치는 합금 원소의 영향이 상이한 원인은 각각의 환경에서 형성된 녹층의 구성 물질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이에 대하여는 본문의 된 녹 층 분석 결과에서 자세히 설명되었다.

  • PDF

영광 해안지역 염수지하수의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특성연구

  • Ji, Se-Jeong;Jang, Ho-Wan;Kim, Nak-Hyeon;Kim, Tong-Gwon;Yun, Uk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3-107
    • /
    • 2003
  • 임해지역의 도시팽창과 산업화는 각종 용수공급을 위해 지하수의 양수할 경우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의 염수화를 야기 시켜, 지하수의 해수기원의 성분에 대하 농도변화에 의해 식수나 관개용수로의 지하수 사용에 부적합한 사례들이 이미 밝혀진 바 있다(Barker et at., 1998; Bear et al., 1999). 임해지역에서 해수침투의 영향에 대한 저감화를 위해 지하수의 수리지질학적 및 수리지구화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중략)

  • PDF

Study for the Geochemical Reaction of Feldspar with Supercritical $CO_2$ in the Brine Aquifer for $CO_2$ Sequestration (이산화탄소의 지중저장 대염수층에서 과임계이산화탄소에 의한 장석의 지화학적 변화 규명)

  • Choi, Won-Woo;Kang, Hyun-Min;Kim, Jae-Jung;Lee, Ji-Young;Lee, Min-He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2 no.5
    • /
    • pp.403-412
    • /
    • 200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change of feldspar minerals by supercritical $CO_2$, which exists at $CO_2$ sequestration sites. High pressurized cell system (100 bar and $50^{\circ}C$) was designed to create supercritical $CO_2$ in the cell and the surface change and the dissolution of plagioclase and orthoclase were observed when the mineral surface reacted with supercritical $CO_2$ and water (or without water) for 30 days. The polished slab surface of feldspar was contacted with supercritical $CO_2$ and an artificial brine water (pH 8) in the experiments. The experiments for the reaction of feldspar with only supercritical $CO_2$ (without brine water) were also conducted. Results from the first experiment showed that the average roughness value of the plagioclase surface was 0.118 nm before the reaction, but it considerably increased to 2.493 nm after 30 days. For the orthoclase, the average roughness increased from 0.246 nm to 1.916 nm, suggesting that the dissolution of feldspar occurs in active when the feldspars contact with supercritical $CO_2$ and brine water at $CO_2$ sequestration site. The dissolution of $Ca^{2+}$ and $Na^+$ from the plagioclase occurred and a certain part of them precipitated inside of the high pressurized cell as the form of amorphous silicate mineral. For the orthoclase, $Al^{3+}$, $K^+$, and $Si^{+4}$ were dissolved in order and the kaolinite was precipitated. In the experiments without water, the change of the average roughness value and the dissolution of feldspar scarcely occurred, suggesting that the geochemical reaction of feldspars contacted with supercritical $CO_2$ at the environment without the brine water is not active.

Development of the Efficiency-Evaluation Model for the Mechanism of CO2 Sequestration in a Deep Saline Aquifer (심부 대염수층 CO2 격리 메커니즘에 관한 효율성 평가 모델 개발)

  • Kim, Jung-Gyun;Lee, Young-Soo;Lee, Je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6 no.6
    • /
    • pp.55-66
    • /
    • 2012
  • The practical way to minimize the greenhouse gas is to reduce the emission of carbon dioxide. For this reason,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 technology, which could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 has risen as a realistic alternative in recent years. In addition, the researcher is recently working into ways of applying CCS technologies with deep saline aquifer.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model on the feasibility of $CO_2$ sequestration in the deep saline aquifer using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developed. In order to develop the efficiency-evaluation model, basic model was created in the deep saline aquifer and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aquifer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the commercial simulator of GEM. Based on the sensitivity analysis, the factors and ranges affecting $CO_2$ sequestration in the deep saline aquifer were chosen. The result from ANN training scenario were confirmed $CO_2$ sequestration by solubility trapping and residual trapping mechanism. The result from ANN model evaluation indicated there is the increase of correlation coefficient up to 0.99.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model can be utilized in feasibility of $CO_2$ sequestration at deep saline aquifer.

Effects of Preparation Methods and Aging Temperatures on the Properties of Rice-doenjang (전처리 방법 및 숙성온도 변화에 따른 쌀된장의 특성 변화)

  • Kim, Young-Soo;Chung, Kun-Sub;Jung, Sung-W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8 no.1
    • /
    • pp.83-89
    • /
    • 1995
  • Changes in physical,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rice-doenjang prepared with two different methods with or without soak treatment were investigated during 60 days of aging at $32^{\circ}C$ and $15^{\circ}C$. The pH of soak-treated rice-doenjang decreased slowly, but that of nonsoak-treated rice-doenjang decreased rapidly at the initial aging stage with the aging temperature of $32^{\circ}C$, resulting in pH 5.1 after the 60 days of aging time. Reducing sugar contents increased up to the $30{\sim}50$ days of aging time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contents of soluble nitrogen, formol nitrogen, ammoniacal nitrogen and amino nitrogen were more affected by preparation methods than by aging temperatures. Color values depended not only on preparation methods but also on aging tempera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cterial counts of rice-doenjang, while apparent differences in the yeast and mold counts by aging temperatures were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roperties of soak-treated rice-doenjang were less changed than those of nonsoak-treated rice-doenjang by aging time and temperature. And, with a view point of nitrogen compounds, aging time could be reduced by soak trea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