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린 공간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1초

Coop Himmelblau의 ‘열린 공간’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Open space' in Coop Himmelblau's)

  • 윤재은;이규홍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0호
    • /
    • pp.34-41
    • /
    • 2003
  • A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a concept of 'Open Space', realization of a deconstruction, presented in his works, based on a deconstruction and surrealism Coop Himmelblau's philosophical contemplation and to look into how this concept is interpreted in spaces. A concept of 'Open Space' is functioned as not a singular meaning but a multiple meaning accompanied with other formative ingredient and contemplation, scientific paradigm and a realation with a surroundings. The concept of 'Open Space' in their architentural space is applied. First, the space openness that represents to the extreme a concept 'Open Space', as a 3D designing ways that demolishes a structure and outgrows an ex siting thinking pattern, represents multiple grade spaces and an anti-gravity space. In a material, using glass and iron provides a spacial transparency and through this, visibly liberal sense that an interior and exterior is felt as an unification. Second, an non-expressive box pattern repulses to a spatial rank nature, outgrowing an uniform geometrical system, through demolishing a geometrical system, an edge and fold pattern. This is, as an anti-gravity, dynamic a typical structure, outgrowing an orthogonal system, interpreted as a composite meaning without division in spatial area. Third, the collage is used to represent a complexity and pluralism in representing 'Open space'. The collage that forms a image through combining a fragmentary elements into being a space change, composite constitution and spatial amusement. Thus, It is worthwhile to study how the collage that forms a diverse shape will be developed making what impact as an age and surroundings changed. As we contemplate in former part, Coop Himmelblou has deployed 'deconstruction beyond deconstruction' realm as just their midterm concept in their works like the words 'The architecture must climb', the deconstructive architect. A studying for their works reflecting the 'Open Space' concept based on deconstruction must be lasted and this enables us to comprehend space concept containing a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신월정수장을 재활용한 서서울호수공원 설계 (Design of West Seoul Lake Park in Reusing the Sin-Wol Filtration Plant)

  • 최신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4-30
    • /
    • 2009
  • 일반인들의 접근이 통제되며 도시의 기반시설의 역할을 하던 신월정수장은 서남권의 대표적인 테마체험형 공원으로 조성된다. 도시민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정수장이라는 특수한 기존 성격을 공원 조성에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재활용함으로써 도시공원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주변 도시구조와의 단절로 인한 밀집된 주거지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없는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도시속의 섬처럼 떠다니고 있다. 중요한 자원 요소인 숲을 공원의 한 요소로 생각하고 적극적으로 주변 도시구조와 연결하였으며, 도시 공원의 경계를 열고 확장하여 도시민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고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공원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장소와 재료를 활용한 계획으로는 기존의 침전조는 몬드리안 정원으로 여과조는 문화센터로 기존연못은 생태적 연못과 소리분수로 기존관사지역은 열린풀밭(Open Green Field)으로 설계하였다.

열린 공간으로서 현대패션에 나타난 트임의 경향과 미적가치 - 2006S/S~2012S/S를 중심으로 - (Trend and Aesthetic Value of Slit as Open Space Shown in Contemporary Fashion - Focused on the period from 2006S/S to 2012S/S -)

  • 김선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3-181
    • /
    • 2013
  • This research analyzed the expression trend about the slit which composes the open space by the visual concept and then introduced the imbedded aesthetic value in it. Based on it, this work aims at showing the evidence on the slit as a utilizing tool for various design applications and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in order to develop the creative design production in the fashion area in the future. Specifically,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slit and its chronological changes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For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slit, a total of 226 designs with its application were analyzed from collection pieces in the four major collections including Paris, Milan, New York, and London from 2006S/S to 2012S/S. As a result of analysis, types of slit appeared as a slash, opening, slit, or a mix of them. These were applied to many different items of clothing, and among which, one-piece or dress was adopted most for application. In regard to space form, perpendicularity was used most frequently. But other various forms like cross and geometrical pattern were also used as well as curve, oblique line and horizontality. As to the arrangement of slit, single type was most frequently used. However, in addition to it, other types were also applied, producing both the functionality and the decorative detail such as bilateral symmetry, free irregularity, and a combination of regular and repeated layout which makes an effect of single pattern. Aesthetic values imbedded in slit were revealed as functionality, sensuality, spatiality, and decorativeness.

초등학교 이용공간에 관한 연구 -속초시 소재 초등학교의 이용공간 종류 및 면적 분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ing space of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type and distribution of using space of the Elementary School-)

  • 김학철;조진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권1호
    • /
    • pp.17-2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the usable space and its areal distribution for the sake of analogizing the planning criteria to be established when the elementary school is renovated. This study has been progressed with reference to the analysis of the drawings, situation analysis through the visiting, and materials of each elementary schools. As a result, the types of the usable space and its areal distribution of each school are different. So, it is an urgent problem what criteria are established on the types of the usable space and its areal distribution when the elementary school is renovated.

  • PDF

WWW을 이용한 이동로봇의 원격제어 (Teleoperation of a Mobile Robot using World Wide Web(WWW))

  • 박창욱;박병훈;이상형;이석규;이달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G
    • /
    • pp.3033-3035
    • /
    • 1999
  • 일반적으로 시스템은 제한된 공간내에 제어되고 있으나, 특수한 상황에서는 원격제어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하여 공간적인 제한을 극복하는 열린 공간상에서 이동로봇을 제어함으로써 원격제어 시스템 설계와 구현에 관해 논한다. 구현된 원격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인 웹서버(Web Server)를 사용하였고, 원격자와 이동로봇간의 정보를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서버(Control Server)를 제작하였다. 이동로봇과 제어서버간의 정보 교환은 시리얼 통신으로 구현하였으며 위와 같은 전체 적인 시스템을 실제로 제작 구현하여 실험을 함으로써 제안된 원격제어 시스템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 PDF

전시공간 내 최적의 O2O 서비스 배치를 위한 기계학습 기반평가 모델 (Evaluation Model Based on Machine Learning for Optimal O2O Services Layout(Placement) in Exhibition-space)

  • 이준엽;김용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91-300
    • /
    • 2016
  • 스마트 디바이스와 사물 인터넷의 등장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무는 O2O 서비스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이는 오프라인 시장에 온라인 서비스의 강점이 덧붙여지면서 오프라인 공간이 디지털화가 됨을 의미하며, 오프라인 산업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이러한 오프라인 시장의 변화 양상과는 다르게 전시 산업은 오프라인 산업에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시 산업 또한 O2O 서비스와의 접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본 논문은 코엑스에서 열린 '2015 서울 디자인 페스티벌'에서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공간 구조에 대한 분석 용도 및 기계학습을 위한 데이터 세트를 생성하는데 사용되었다. 본 논문은 기존의 공간 구조에 대한 분석연구가 가진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간 구조에 대한 새로운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생성된 데이터 세트를 기반으로 기계학습을 진행하여 전시 공간 내 O2O 서비스 배치를 위한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제주도 한라산 나비군집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Butterfly Communities inhabited of Mt. Hallasan, Jeju island, Korea)

  • 김도성;박성준;김동순;조영복;이영돈;안능호;김기경;서홍렬;차진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7-704
    • /
    • 2014
  • 제주도 한라산은 나비 학자들로부터 주요 관심의 대상지로 남방계와 북방계의 나비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월별로 선조사법으로 모니터링하여 각 구간별 나비군집과 유사도를 분석하고 과거 기록과 비교하여 고도분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5과 26종 3,397개체의 나비류가 조사되었다. 이중 상위 4종(가락지나비, 산굴뚝나비, 먹그늘나비, 조흰뱀눈나비)가 2,578개체(75.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한라산의 나비는 초지대에서 서식하는 특정종의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나비 유사도는 교목층의 수관부와 열린 초지대와 같은 단일경관지역보다는 수관부와 열린 초지 공간이 함께 있는 지역에서 유사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도별 나비분포는 해발 1,665~1,700m에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관찰되어 한라산 백록담 아래에 형성된 열린 초지공간이 주요 서식지로 나타났다. 또한 아고산대에 서식하던 종들은 고도가 좀 더 높은 쪽으로 이동하고 낮은 지역에 서식하던 종들이 새롭게 아고산대에서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심리상담카페를 중심으로 (A Geographical Study on Healing Spaces in Daily Life Centering on Psychological Counselling Caf$\acute{e}$s)

  • 박수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46-56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 지리학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었던 치유(healing)에 관한 지리적 접근을 검토하고, 심리상담카페의 운영자의 시선을 통해 일상적 삶에서의 치유의 공간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에 드러난 정신과, 심리상담센터 등과 같은 곳은 일종의 문화적 낙인(cultural stigma)의 공간으로 인식되지만, 심리상담카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심리적 거부감 내지 거리감을 낮춤으로서 치유가 필요한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통하고 있다. 둘째, 현대인들에게 요구되는 치유란 짧은 시간이나마 현실에서 도피할 수 있는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점에 있어서 인스턴트식으로, 기대하지 않았던 공간에서의 치유 활동은 심리상담카페의 이용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으로 다가오며, 부담스럽지 않은 선에서 반복적이며, 지속적인 치유 경험이 가능한 곳이 된다. 셋째, 심리상담카페는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인 카페로 재탄생함으로서 우리의 일상적 삶에 더 깊숙이 침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PDF

마돈나 의상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정체성없음 (A Study on the Postmodern Identity in Madonna Costume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 김주영;양숙희
    • 복식
    • /
    • 제51권8호
    • /
    • pp.123-139
    • /
    • 2001
  • 본고는 공간, 시간, 계급, 종교 등 하위문화 텍스트의 병행인용 즉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통해, 20세기 대중 문화의 상징 마돈나 뮤직 비디오와 공연 등의 인체, 의상, 이미지 등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정체성을 연구함으로써, 현대 미디어 문화를 관통하는 주체적 여성 정체성과 미적 주관성을 이해하고자한다. 첫째, 상호공간텍스트성 복식은 스패니쉬룩. 태국룩. 게이샤룩, 테크노펑크룩, 테크노 카우걸룩 등의 동서양의 지리적 소외감을 통해 비권위적 다양한 시선을 제시함으로써, 다국적 자본주의와 함께 확장된 미적 체험을 하게 한다.; 둘째, 상호시간텍스트성 복식은 중세 엠파이어 드레스, 18세기 로코코시대의 robe'a la francaise, 미래적 제 3의 종 룩 등 동시적 몽환적 이미지를 통해 유희적 유토피아를 지향하였다.; 셋째, 상호계급텍스트성 복식은 그라피티룩, 펑크룩, 키치룩, 먼로 룩, 보깅(voguing), 에비타 룩 등 상하류층, 하위문화, 빈부, 권력의 유무를 병행인용하여, 좋은/나쁜 취향, 창녀/성녀 이분법을 해체하고 반부르조아적 저항과 물질주의를 찬양하는 탈계급적, 양면적 정체성을 구축하였다. ; 넷째, 상호종교텍스트성 복식은 상징적 가부장인 카톨릭교 텍스트를 인용하여 펑키크리스찬 룩, 에로틱 크리스찬 룩 등의 선/악, 신성성/관능성, 미추, 정숙성/비정숙성의 이분법, 비장미를 해체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 무의식이 강조된 쾌락주의적, 반권위주의적 정체성을 주장한다. 섹슈얼리티에 있어, 시선, 권력, 쾌락의 주체가 됨으로써, 미적 범주에 있어 선악, 미추, 정숙성과 비정숙성의 이분법을 해체함으로써, 유동적 자아를 구성한 마돈나 의상의 포스트모던 정체성은 여성에게 확대된 가능성을 제공하며 내부로부터 해체된 열린 복식을 지향한다.

  • PDF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한 3차원 지형 렌더링 (3D Terrain Rendering using Contour Line Data)

  • 김성수;김경호;이종훈;양영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B)
    • /
    • pp.625-627
    • /
    • 2001
  • 기존의 종이지도를 수치지도 처리과정으로 얻어진 등고선(contour line) 데이터는 원격탐사(Remote Sensing)와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응용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데이터이다. 이러한 등고선은 해당 지역의 DTM(Digital Terrain Model) 데이터 생성을 위해 보간(interpolation)하여 생성하는 데 연구가 집중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DEM(Digital levation Model)으로부터 얻어진 등고선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3차원으로 가시화 해 줄 수 있는 기법을 소개한다. 등고선 추출을 위한 방법으로는 기존의 소개되어진 Marching Square 알고리즘을 적용하였고, 지역적인 최고점(local minimum)과 최소점(maximum)을 구하기 위해 등고선을 열린 등고선(open contour)과 닫힌 등고선(closed contour)으로 분류하게 된다. 지역적 최고, 최소점을 찾기 위한 탐색공간을 줄이기 위해 닫힌 등고선만을 닫힌 등고만을 대상으로 등고선 트리를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트리의 리프노드에 대해서 최고, 최소점에 대한 근사(approximation)를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구해진 근사된 장점들과 등고선 데이털 입력으로 하여 제한된 딜로니 삼각분할(Constrained Delaunay Triangulation)을 수행함으로써, 3차원 지형을 재구성할 수 있다. 실험에서 간단한 그리드 샘플데이터와 USGS로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속도 측정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저장공간 측면에서 적은 량의 데이터를 가지면서 등고선을 표현할 수 있는 3차원 지형을 랜더링할 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