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경화성 수지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33초

철도차량용 폐 복합소재로부터 탄소섬유 회수 (The Recovery of Carbon Fiber from Carbon Fiber Reinforced Epoxy Composites Applied to Railway Vehicles)

  • 이석호;김정석;이철규;김용기;주창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059-1066
    • /
    • 2009
  • 근래에 와서 강화 플라스틱 복합재료의 생산과 함께 열경화성 수지 폐기물들의 양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지닌 유용한 열경화성 수지의 하나인 에폭시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처럼 용융되거나 재 성형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 차량용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수지 복합재로부터 에폭시 수지를 분해하여 탄소섬유를 회수하는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여러 분해공정들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분해 효율과 회수되는 탄소섬유의 기계적 물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회수되는 탄소섬유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각 복합재료 시편은 테플론 지지대로 고정시키고, 기계적인 교반을 가하지 않았다. 분해 생성물은 전자현미경(SEM), 기체 크로마토그라피 질량분석기(GC-MS) 및 만능재료시험기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질산 수용액을 사용하는 분해 공정과 액상 및 기상 열분해 공정에서는 탄소섬유가 완전하게 회수되었다. 회수된 탄소섬유의 인장강도 감소율은 4% 미만으로 미미하였다.

열경화성 수지의 온도에 따른 경화도와 비열(Cp) 변화 (The Change of Degree of Cure and Specific Heat Capacity According to Temperature of Thermoset Resin)

  • 신동우;황성순;이호성;김진원;최원종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99-103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복합재료 제조공정 중 온도에 따른 경화 반응을 이해하고 열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온도에 따른 수지의 경화도 및 비열의 변화를 수식화하였다. 온도에 따른 경화도와 비열은 DSC와 MDSC (Modulated DSC)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DSC와 MDSC 분석은 Isothermal과 Dynamic 조건으로 수행하여 Cure Kinetics, 유리전이온도 및 비열을 측정하고, 회기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물성거동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였다.

역탄도 기법을 이용한 탄소섬유/열경화성수지 복합재 그루브의 파단 특성 연구 (Study on Evaluation of Carbon Fiber Reinforced Composite Groove Using Inverse Ballistics Technology)

  • 최재호;박인서;송흥섭;박관진
    • Composites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5-20
    • /
    • 2004
  • 나사산을 가지는 구조재료는 높은 전단 응력을 한 방향으로 전달해 주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이를 응용하여 고속의 충격에너지나 전단하중에 견별 수 있는 기어 모양의 부품 등 항공 및 군수용 재료에 적용되어왔다. 최근에는 재료를 보다 경량화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기존의 금속재료를 섬유강화 고분자 수지계 복합재료로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열경화성 수지계 복합재를 사용하여 나사산(groove)을 가지는 시편을 제작한 뒤 역탄도 기법으로 고속변형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군수용 부품 재료로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섬유배향과 섬유함유량이 섬유강화 열가소성수지 복합재료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iber Orientation and Fiber Contents on the Tensile Strength in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Composites)

  • 김진우;이동기
    • Composites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13-19
    • /
    • 2007
  • 섬유강화 열가소성수지 복합재료는 열경화성수지 복합재료의 강도 수준에 근접할 뿐만 아니라 열경화성수지 복합재료의 취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생산성, 리사이클,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다. 일방향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강도계산을 위한 연구와 섬유배향상태를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연구하여 발표하였으나, 섬유함유율에 따른 섬유배향상태와 복합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예측을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되어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함유율에 따른 섬유배향상태를 변화시켜 섬유강화 열가소성수지 복합판재를 제작한 후, 섬유함유율 및 섬유배향상태가 복합판재의 인장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섬유강화 열경화성수지 복합재료의 $0^{\circ}$ 방향에서 인장강도 비는 등방성에서 이방성으로 갈수록 섬유배향함수와 섬유함유율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나타났으나, $90^{\circ}$ 방향에서 인장강도 비는 인장 하중이 강화섬유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작용했을 때 섬유필라멘트 분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Tung oil을 이용한 바이오 기반 열경화성 수지 합성 및 이의 열적·물리적 특성 연구 (Synthesis of tung oil-based thermoset resin and its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 김한얼;이종은;남병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4-30
    • /
    • 2018
  • 식물유는 자연 유래 물질로 낮은 가격 및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으로 최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식물유 내의 이중결합의 낮은 반응성으로 인해 고분자 합성의 기반 물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Tung oil은 ${\alpha}$-eleostearic acid를 주성분으로 하는데, 이 구조는 3개의 이중결합이 공명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다른 식물유와는 달리 높은 반응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ung oil을 styrene 및 divinylbenzene 등의 단량체와 양이온 중합을 통해 tung oil의 관능기 치환 과정이 없는 열경화성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각 단량체의 조성이 합성된 열경화성 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열적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ung oil-styrene-divinylbenzene 공중합체는 단일 Tg를 갖는 균일(homogeneous)한 열경화성 고분자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의 변화를 통해 tung oil 및 styrene은 soft segment로써 합성된 공중합체에 탄성(elasticity)을 부여하고, divinylbenzene은 hard segment로 작용하여 합성된 공중합체에 취성(brittleness)을 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적산온도법에 의한 경량 폴리머 모르터의 초기강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arly Strength Prediction of Lightweight Polymer Mortars by the Maturity Method)

  • 이윤수;대빈가언;연규석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91-202
    • /
    • 1998
  •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을 양생온도와 재령의 함수로 나타내는 적산온도 방법은 시멘트 콘크리트의 강도추정에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열경화성인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를 결합재로 한 경량 폴리머 모르터를 대상으로 하여 적산온도법에 의한 초기강도 추정방법을 구명하였다. 폴리머 모르터의 압축강도는 가사시간 및 강도발현성에 영향을 미치는 촉매 및 촉진제 첨가량을 변화시켜 실험하였으며, 또한 적산온도 이론식에 사용되는 기준온도를 산출하였다. 적산온도는 추정된 기준온도를 적용시킨 적산온도 이론식에의해 산출하였으며 경량폴리머 모르터의 압축강도는 적산온도-압축강도의 관계로부터 추정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적산온도법에 의한 경량 폴리머 모르터의 강도추정식은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각종 폴리머 모르터나 콘크리트에도 적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복합재료 중심인장선용 에폭시 물성 개선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poxy Property for Aluminum Conductor Composite Core)

  • 허석봉;강준영;윤영길;고문주;김남훈
    • Composites Research
    • /
    • 제32권6호
    • /
    • pp.349-354
    • /
    • 2019
  • 복합재료 중심인장선의 구성은 강화재로 사용되는 탄소섬유 및 유리섬유와 기지재로 사용되는 속경화 열경화성 에폭시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공송전선의 복합소재 중심인장선(ACCC)에 사용되는 에폭시 경화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다관능성 에폭시 중 4관능성 에폭시(PA 806)을 사용하고 MNAn, HHPA 두가지 경화제 및 경화 촉진제를 사용하여 에폭시 경화물을 만들고 이를 분석하였다. 경화제의 종류 및 경화 촉진제의 함량에 따른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발포 폴리스티렌 수지를 수축저감제로 이용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모르타르의 특성 (Properties of Unsaturated Polyester Mortar Using Expanded Polystyrene as a Shrinkage-Reducing Additive)

  • 조영국;최낙운;소양섭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0-3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열경화성인 UP 수지에 열가소성 스티렌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UP 수지의 경화기구 중 스티렌 수지가 수축보완 효과를 일으켜 UP 모르타르의 경화수축을 저감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역학적 성질의 변화를 함께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 폐 스티로폴 용해액을 첨가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점도는 EPS/PS비가 30% 미만일 경우는 PS/UP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시공성 면에서 EPS/PS비가 30%이내에서 적절하였다. 또한 휨 및 압축강도는 EPS/PS비보다는 PS/UP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PS/UP비 30%이하에서 감소 정도가 작았으며, EPS/PS비와 PS/UP비가 증가함에 따라서 경화수축은 전체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적절한 시공성과 휨 및 압축강도 특성 그리고 경화수축 시험의 종합적인 결과, EPS/PS비 30%, PS/UP비 30%일 때 최적의 배합 조건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폐 스티로폴을 UP 모르타르이 수축저감제로서 사용함에 있어 역학적 성질의 큰 변화 없이 경화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어 실제현장에서의 사용성이 기대되며,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스티렌 수지는 폐 발포 폴리스티렌을 스티렌 모노머에 액화시킨 것으로서 폐기물로 발생되는 폐 스티로폴의 자원재활용의 측면에도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열경화성 대전방지 코팅액의 개발 및 응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rmal-curing Anti-Static Coating Composition)

  • 이영종;하진욱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1-293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대전방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열경화형 반응성 대전방지제를 합성하여 그 응용성을 고찰하였다. 열경화성 대전방지제는 수용성 수지에 무게비로 $5\~20wt\%$범위로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코팅 도막 형성을 위하여 PVC인테리어필름에 코팅 후, $80\~150^{\circ}C$에서 2$\~$20분 경화시켰다. 코팅된 PVC 인테리어필름의 대전방지성을 고찰한 결과, 부착력, 대전방지성, 내오염성 둥이 우수하였으며 코팅막의 두께와 첨가량에 따라 대전성과 부착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