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감지기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3초

화재모델링을 위한 정온식 열감지기의 장치물성 측정 (Measurement of the Device Properties of Fixed Temperature Heat Detectors for the Fire Modeling)

  • 박희원;조재호;문선여;박충화;황철홍;김성찬;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37-43
    • /
    • 2014
  • 성능위주 소방설계(PBD)의 과정에서 화재 및 피난모델링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화재감지기 모델의 높은 예측성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화재모델인 FDS에 적용되고 있는 정온식 열감지기의 정확한 작동 개시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입력정보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화재감지기의 장치특성을 측정할 수 있는 Fire Detector Evaluator (FED)가 사용되었으며, 국내에서 적용되는 2개의 써미스터 방식(Thermistor types)과 1개의 바이메탈 방식(Bimetal type)의 스포트형 정온식 열감지기가 연구대상으로 고려되었다. 화재모델링을 위해 요구되는 감지기의 작동 개시온도 및 반응시간지수(Response Time Index)가 측정되었으며, 이때 RTI는 감지기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천장제트기류(Ceiling jet flow)와 수직제트기류(Vertical jet flow)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측정된 장치물성을 이용한 화재모델링 결과는 실규모 구획화재실험 결과와 비교 검증되었다. 그 결과 수치적으로 예측된 감지기의 작동 개시시간은 실험결과를 적절히 잘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공동주택 화재감지 및 소화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Fire Detector and Sprinkler Head in Apartment Houses)

  • 이채원;손봉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38-44
    • /
    • 2015
  •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 일반적으로 설치하는 열감지기와 스프링클러헤드의 작동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 대책을 제시한 연구이다. 2010년 인구주택 조사에 의하면, 공동주택은 전체 주거시설의 71.6%이며 최근 7년간 소방방재청의 화재통계 자료에 의하면, 매년 전체 화재의 약 25.0%, 인명피해는 46.4%가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에 대한 개선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화재원인과 특성을 파악하였고, 국내 공동주택의 대표적인 평형을 대상으로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가상화재시뮬레이션의 시나리오는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 최근에 설치가 요구되는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감지기의 작동시간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수행결과 기존 공동주택에 설치된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와 열감지기는 감지 및 작동시간이 늦어 조기화재진압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주거전용 스프링클러헤드와 연기 열복합형감지기로 교체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존 공동주택 중 스프링클러소화설비의 설치가 제외된 층에도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설치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공동주택 안전관리의 효율화를 위하여 선진국과 같이 원격으로 주거공간의 소방시설을 점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차동식 열감지기의 작동온도와 작동시간 (Operating Temperature and Time of Rate of Rise Heat Detector)

  • 류호철;이병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67
    • /
    • 1994
  • Rate of rise heat detectors that respond to the heat generated in fire plume and alarm when the temperature reaches a specified point, give a great influences to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according to their reaction sensitivity. In this study, simple equations were derived which can be predicted the response time and temperature of the rate of rise heat detector with the results of hot wind tunnel tests and compartment fire experiments.

  • PDF

도막상태에 따른 열감지기의 감온특성에 관한 시험, 연구 (A REPORT ON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 이복영;유인호
    • 방재기술
    • /
    • 통권14호
    • /
    • pp.18-33
    • /
    • 1993
  • This report is announced about thermal lag of painted heat detectors. Thermal lag is forecast result from painting the part of heat receiving. It is delayed responsive time to assume fire fighting, escape. Test is simulated that heat detector is painted by synthetic resin emulsion pain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installation. Painting method, number, thick etc is determined by research worker based on the popular idea.

  • PDF

인공 가속열화에 따른 차동식 스포트형 열감지기의 고장 원인분석 (Failure Analysis of the Rate of Rise Spot Type Heat Detector on Artificially Accelerated Aging)

  • 김찬영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48-55
    • /
    • 2011
  • 차동식 스포트형 공기 팽창식 열감지기를 인공 가속열화 시켰을 때 발생하는 고장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감지기에 고장이 발생하는 원인은 감열실 금속을 고정하는 접합재(binder)가 플라스틱 몰딩(moulding)에서 분리되어 발생하는 고장과, 감열실 금속과 다이어프램 금속을 고정하는 플라스틱 몰딩에 균열이 발생되는 고장으로 확인되었다.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감지기는 감열실 금속 및 다이어프램 금속이 플라스틱 몰딩에 접합재로 완전히 부착되어 있었다. 또한 2010G 감지기는 접합재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합재에 유리강화섬유가 추가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감지기 종류별에 따른 플라스틱과 접합재의 밀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감지기의 플라스틱에 대한 열중량분석(TGA) 결과, 제작년도는 같지만 제조회사가 다른 2005A와 2005B의 플라스틱 열적특성이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외 화재감지기 시험의 차이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omestic and Foreign Test Method of Fire Detectors)

  • 신승철;백동현;고은애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44-145
    • /
    • 2013
  •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화재감지기는 설치 환경, 위치, 전기적 및 기계적인 요인에 따라 그 성능의 신뢰성이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제조되고 있는 국내 화재감지기 성능 신뢰성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불꽃감지기 등의 성능시험 관한 각 기관별 주요 내용과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시험기관의 27종, 방재시험연구원 46종류, 국제 표준화기구 36종류를 대상으로 한바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하고 신뢰성 향상에 비중이 많았다. 감지기에서 발생하는 비화재보, 감지지연 및 기타 원인 불명등과 시험기준의 상호관계를 확인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CCTV를 이용한 디지털 비디오 연기감지 방식

  • 이상현
    • 방재와보험
    • /
    • 통권107호
    • /
    • pp.38-44
    • /
    • 2005
  • 기존 화재감지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지만, 이러한 기존 기술과 다른 자동식 연기감지 방식이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런한 혁신기술로 인하여 성장기의 화재를 감지하고 감지기에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화재와 관련된 데이터를 소방관계자에게 전송하는 방법이 계속 변화하고 있다. 기존 화재감지 방식의 예는 여러 가지 감열소자(열감지기), 광전식, 이온화식, 공기흡입형(연기감지기), 자외선.적외선(불꽃감지기)감지 방식이다. 감지기에서 데이터 분석의 형태로 연기농도를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화재조건을 전송하는 방법은 특정한 구성요소(발신기, 감지기 등)의 위치(어드레스), LCD, CRT 그래픽 표시장치에서 많은 발전이 있었다. 이러한 혁신 기술은 화재경보 설비 판매시장, 설치방법, 기술기준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개발된 디지털 비디오 연기감지 방식은 자동화재 감지 방식에 있어서 새롭고 급진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PDF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연기 및 화염의 조기 감지 최신 연구 동향 (Survey for Early Detection Techniques of Smoke and Flame using Camera Images)

  • 강성모;김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43-52
    • /
    • 2011
  • 시대가 발전함에 따라 초고층 건물들이 도처에 세워지고 밀집되어 있다. 이러한 건물에 화재가 발생되면 발화지점 근처로 불이번지면서 대형화재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한다. 따라서 이런 대형화재를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화재를 미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불꽃감지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감시 카메라에서 들어오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화염과 연기를 초기에 감지하는 화재감지 시스템의 최근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화염과 연기 감지 알고리즘들을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을 이용하여 구현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가연물에 따른 화재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for Fire Detector by Combustibles)

  • 최문수;홍성호;이상호;박상태;유송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14-517
    • /
    • 2011
  • 화재감지 및 경보시스템의 설계 목표는 화재발생 초기 단계에서 화재징후를 발견, 피난의 개시를 신속하게 통수하는 것이다. 화재감지기는 다양한 건물 및 환경에 설치되기 때문에 주위 온도 및 가연물의 종류 등 환경적 측면을 심층적으로 고려하지 않으면 적절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가연물 종류 등을 고려한 설계에 따라 설치된 화재감지기는 화재시 설계치 대로 조기에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 예방 및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화재시 조기에 화재를 감지기하여 건축물내 인명피난을 목적으로 설치되는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가연물을 발생시키고 화재감지기 종류별로 설치한 다음 각 화재감지기의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온식 열감지기는 열방출률이 적은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는 것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전식 연기감지기는 회색 계통의 목재류 화재성상에서 응답특성이 떨어졌고, 동일한 공간에서 화원의 수평거리와 동작시간이 비례한다고 볼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