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성기구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8초

단측성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개의 대퇴골 신연에 있어서 골수강내 K-강선 삽입의 효과 (Effects of Intramedullary K-wire Insertion on Femoral Lengthening in Canine with Monolateral External Fixator)

  • 황재민;김영기;진희택;석성훈;이희천;고필옥;장홍희;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91-299
    • /
    • 2006
  • During long bone lengthening,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including axial deviation, malalignment and re-fracture which are commonly encountered inspite of its proven abilities. To study the effects of intramedullary K-wire application on the lengthening of long bone, ten skeletally mature mongrel dogs were separated into two groups(Group I, II). Right femurs of group I(5 dogs) were fixed with only monolateral external fixator after subperiosteal osteotomy. Right femurs of group II(5 dogs) were fixed with mono lateral external fixator and intramedullary K-wire after subperiosteal osteotomy. Lengthening was started at 7 days after the surgery with the rate of 0.5 mm per day for 5 weeks and the dogs were sacrificed after 15 weeks postoperatively to examine histologic differences and evaluate bone mineral density. Radiographic examination at an interval of two weeks was done to evaluate the type of callus formed and to analyze complications including instability of external skeletal fixation and axial deviation. Bone mineral density at the lengthened area and contralateral nonlengthened area were measured using quantitative computerized tomograph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regenerated bone was performed using Masson's trichrome stain method. The radiographs demonstrated poor callus formation, higher incidence of axial deviation and screw loosening in the group I compared to the group II. The bone mineral density at the lengthened area in the group I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I(P<0.05). Histological examination showed that the new bone trabeculae in the group II were greater than that of the group I. In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monolateral external fixator and intramedullary K-wire can prevent pin loosening, axial deviation and reduce healing period in dogs.

복강경을 이용한 고양이의 난소 절제술에서 지혈기구인 $LigaSure^{TM}$와 양극 전기 응고 장치(bipolar)의 비교 (Comparison of $LigaSure^{TM}$ and Bipolar Vessel Sealing System for Laparoscopic Ovariectomy in Cats)

  • 진소영;이승용;박세진;김영기;석성훈;황재민;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77-4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복강경을 이용한 고양이의 난소절제술에서 지혈 장치로서 $LigaSure^{TM}$와 양극 전기 응고 장치(bipolar)의 효과를 수술시간, 부작용에 대하여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10마리의 고양이를 각각 5 마리씩 A군과 B군으로 무작위로 나누었고, A군은 좌측 난소는 $LigaSure^{TM}$로, 우측 난소는 양극 전기 응고 장치(bipolar)로 절제하였다. 반대로 B군은 좌측 난소는 양극 전기 응고 장치(bipolar)로, 우측 난소는 $LigaSure^{TM}$로 절제하였다. 수술은 three midline portals로 하였으며, 수술시간, Body Condition Score, ovarian pedicle fat과 부작용 등을 체크하였다. 그 결과, 총 수술시간은 평균 $24:18{\pm}6:36$분 이었으며, $LigaSure^{TM}$ ($1:24{\pm}0:59$ 분)가 양극 전기 응고 장치(bipolar) ($2:16{\pm}1:14$ 분, p = 0.021)에 비하여 난소절제에 유의적으로 더 짧은 시간이 걸렸다. BCS와 ovarian pedicle fat은 수술시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부작용으로는 미약한 출혈, 복벽 손상, smoke 발생 등이 있었는데 수술시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LigaSure^{TM}$가 비교적 고가의 수술장비라는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강경을 이용한 고양이의 난소절제술에 유용한 수술적 활용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기구축 공간정보를 활용한 건물객체 변화 탐지 연구 - 도로명주소건물DB 중심으로 - (A Study on Building Object Change Detec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 Building DB based on Road Name Address -)

  • 이인수;연성현;정호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1호
    • /
    • pp.105-118
    • /
    • 2022
  • 최근 메타버스, 스마트시티, 디지털트윈, 자율주행차, 도심항공모빌리티 등 분야에서 3D공간객체모델 관련 정보 요구는 증가될 것이다. 공간객체에 대한 3D모델 구축은 위성·항공·지상플랫폼과 같은 다양한 장비와 모델링·인공지능·영상정합 등의 기술로 가능하다. 하지만 갱신이 필요한 공간객체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DB화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공간정보(도형)과 속성을 기반으로 주소코드, 층수, 건물명, 면적 등의 매칭요소를 이용하여 건물융합DB와 변화탐지건물DB를 구축 지원할 수 있고 갱신이 필요한 객체선정의 적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건물융합DB 구축 시 일부 건물의 경우, 공간정보와 속성의 융합불가 및 실패 사례가 발생하여, 매칭율이 약 80%로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특별히 시범사업지역 내 많은 건물객체에 대한 속성정보가 누락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3D공간객체 모델의 신속한 갱신을 위한 효율적인 드론 촬영계획 수립을 지원하여 공간객체의 중복 및 불필요한 구축 등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객체 구축 절차 개선 및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우주폐기물과 지구 및 우주환경의 보호 (The Problem of Space Debris and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n Outer Space Law)

  • 이영진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5-237
    • /
    • 2014
  • 지난 반세기동안 세계 각국에서 쏘아올린 인공위성 등 각종 우주물체들로 인하여 우주환경을 오염시키는 우주폐기물이나 잔해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특히 지구궤도에 널린 수만개 이상의 고장난 위성과 파편, 쓰레기들은 우주 관측과 위성 송수신에 오류를 일으키거나 우주정거장이나 위성 등 우주비행체와 충돌위험을 야기하고 있다. 예컨대 지난 2009년 2월 기능정지된 위성들인 미국 이리듐사의 통신위성 이리듐 33호와 러시아의 코스모스 2251호의 충돌은 수많은 파편과 더불어 지구와 우주환경에 심각한 위협이 되었으며 또한 2007년 1월 중국에 의한 자국위성 파괴실험은 보다 커다란 우주의 남용 사례로서 우주의 안전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국제적인 비난을 불러 일으켰다. 실제로 우주환경이나 폐기물에 관한 문제들이 상당기간동안 과학적 연구와 논의의 대상이 되어온 것은 사실이나 주지하다시피 우주개발의 초기단계에서는 우주활동을 위한 기본 규칙제정을 위한 법적 성격의 규명이나 우주탐사와 이용에 필요한 기준을 마련하는데 주안점을 두어왔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우주활동과정에서 야기될지 모르는 환경훼손의 문제나 위험요소들은 국제우주법의 발전이라는 맥락에서도 우선순위에서 밀렸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까지 우주폐기물이 우주활동의 양적인 증가와 더불어 늘어났다는 시각외에도 임무실패나 상호 충돌 및 고의적인 파괴나 폭발 등으로 인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과거에는 뒷전에 밀렸던 우주폐기물 양산에 따른 안전 문제가 차츰 우선적 관심의 대상으로 부각되고 있는 바 이러한 추세는 최근의 UN의 페기물 경감 가이드라인이나 EU 행동규범 등 갖가지 국제협력과 규범화차원의 노력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가이드 라인이나 행동규범 등 연성법을 통해 각 회원국과 국제기구는 국제적 이행절차 및 각자의 고유한 집행절차에 따라 우주폐기물의 경감에 있어서 가능한 최대한 도로 이행하는 자발적 조치를 취하는 유통성을 부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관점에서 최근 중국에 의한 위성파괴와 관련한 적법성 여하와 국제사회의 우주폐기물에 대한 경감 등 대응 노력과 과제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