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구지원정책

Search Result 4,65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Policy Demand for Renewable Energy-IT Convergence based on Industry Life Cycle (에너지 산업 주기에 따른 신.재생에너지-IT융합 정책 수요에 관한 연구 : 산업 태동기 연료전지와 성장기 태양광을 중심으로)

  • Park, Soo-Kyung;Kim, Taisiya;Lee, Bong-Gyo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181-1184
    • /
    • 2011
  • 화석 에너지 고갈 및 지구 온난화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신 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신 재생에너지-IT 융합을 통한 산업 효율성 향상에 관한 정책적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각 신 재생에너지 산업은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에 이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각 특성을 고려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너지 산업 주기에 따라 각 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지원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산업 태동기인 연료전지와 성장기인 태양광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전문가 초점집단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실행하였다. 이를 현 지원정책과 비교함으로써 산업 활성화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지원정책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향후 신 재생에너지-IT융합 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에너지-IT융합 산업에서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Searching Role of Government for Promoting IoT Industry -Utilizing Importance of Individual Sub-Policies using AHP- (사물인터넷(IoT) 산업 진흥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 -AHP를 활용한 정책 중요도 분석을 중심으로-)

  • Lee, Yong-Kyu;Youn, Ku-H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5
    • /
    • pp.47-5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of various government support policy for IoT sector and survey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relative importance among 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is study surveyed experts in the field of IoT, utilizing Hierarchy Process Analysis method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spite of wide range of IoT-related policies, experts in the industry and academy are very limited, ; second, the order of policy satisfaction is primarily on Oversea Marketing, followed by R&D support, Venture support, Human resource education.; third, the order of importance is primarily Venture support, followed by R&D support, Human resource education. Also, it has been given the higher importance to the role of leader as R&D support, Oversea market pioneering, and industry university network, rather than the role of coordinator and supporter. However, expert group does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olicies related to the role of coordinator because these policies always have been conducted in major government projects.

The Impact of Korean SMEs' R&D Effort on Innovation -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s - (국내중소기업의 R&D 노력이 혁신에 미치는 영향 - 정부정책지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Kang, Seok-Mi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2 no.1
    • /
    • pp.1-18
    • /
    • 2013
  • Previous studies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innovation have focused on the role of R&D on innovation, and the empirical results have been not consistent. Although government policy supports have been considered a crucial factor to make innovation, it is true that there are little studies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innovation. The studies related with government policy supports mainly examined the direct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s on innovation. Using 2008 innovation activity table from STEP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R&D on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D and innov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contains 532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and information was collected over 3 years(2006-2008). The empirical results reports that R&D positively influences inno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policy on the relationshi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R&D is required to firms for innovation and government policy supports are needed for connecting the R&D and innovation.

  • PDF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on Companies' ICT-Convergence Cluster Participation (기업의 ICT융합 클러스터 참여 촉진 요인에 관한 연구)

  • Kim, Yong-Young;Kim, Mi-Hy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8
    • /
    • pp.151-161
    • /
    • 2016
  • ICT-convergence cluster is considered as critical policy means because it can create higher value-added products and services in the era of creative economy.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comprehensive ICT-convergence cluster strategy based on Porter's diamond model. This paper adopted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 model and investigated a specific domain of government supporting policies related to non-R&D support. For two weeks, we gathered and analyzed 181 data from companies located in Chungbuk province. The results showed that support fo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and participation conditions positively leads to companies' interest in ICT-convergence cluster, which, in turn, makes positive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it. It is significant that this paper verified AIDA model in the Government-to-Business(G2B) context.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adapt AIDA model to national projects.

Demand on Government Sponsored Loan and Successful Case Study on ICT SMEs : Focused on 'ICT Government Sponsored Loan Project' (ICT 중소기업 정책융자금 수요와 지원기업 성공사례 연구 : ICT 융자사업 중심으로)

  • Khoe, Kyungi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1
    • /
    • pp.213-220
    • /
    • 2017
  •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of ICT SMEs participating in 'ICT Government Sponsored Loan Project' for researching general demands on Government sponsored loans and studies successful company case by inspecting background of R&D, performances, impacts, prospects, episodes, etc. Actually, survey results show that ICT SMEs demand more of Government sponsored loans and that stable financing is a core factor and the most difficult task for successful R&D.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icate that Government has to create new policies for competitive ICT SMEs to recover financial stability through developing and commercializing technologies.

A Study o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s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 끈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Young Jin;Yang, Dong W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6
    • /
    • pp.105-116
    • /
    • 2023
  • Whil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impa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on the performance of these enterprises,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how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such policies affect business performance. Additionally, there is scarce domestic research on the role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in achieving and sustaining entrepreneurial goals and its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shedding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perceptions an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This study utilizes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government support for South Korean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and entrepreneu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entrepreneurial persistenc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businesses as the dependent variabl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targeting founders, CEOs, and executives of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205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ption of SME policy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entrepreneurial persist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ME policy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t highlights th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policy support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This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by demonstrating that entrepreneurs' perceptions play a role in affecting business performance,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 that focused on the impact of policy financial suppor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extends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a relatively understudied concept in domestic research, by demonstrating it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government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Practically, the study suggests that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expand policy support but also seek ways to increase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such support.

  • PDF

Basic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ward the 21st Century) (21세기 대비 기초과학정책의 방향)

  • 송충한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8.05a
    • /
    • pp.6-6
    • /
    • 1998
  • 다가오는 21세기를 대비하여 많은 나라들이 정보와 지식을 확보함으로써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지식의 공급원천인 기초과학에 대해서는 그 본질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기초과학을 국가경쟁력 강화에 어떻게 연계시키느냐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21세기를 앞둔 지금 우리의 바람직한 기초과학정책의 방향은 우리의 현실을 바탕으로 한 실용적이면서, 기초과학이 지니는 특성을 충분히 감안한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21세기 우리의 기초과학정책이 추구해야 할 목표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설정하고자 한다. 첫째 지식의 증진, 둘째 과학기술인력의 양성, 셋째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이다. 이 세 가지 목표는 상호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상호 밀접하게 연계되어야 한다. 이 세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은 다음과 같다. (ⅰ) 기초과학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지원의 강화 : 기초과학에 대한 지원은 정부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창의적 연구와 학제간 연구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야 한다. (ⅱ) 연구와 교육의 연계를 통한 과학기술인력의 양성에 기여 : 창의적이고 수준 높은 연구를 통해 훌륭한 과학기술인력이 양성되어야 한다.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훌륭한 과학기술인력은 미래의 우리 나라의 성공을 좌우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ⅲ) 국제적 연계의 강화 : 우리 나라의 SCI 점유율은 1%에 불과하다. 국제적 과학기술연계를 통하여 세계의 과학기술지식에 접근하고 협력의 이익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ⅳ) 프로그램 위주의 지원방식과 분야별 지원방식의 병행 추진 : 기초과학에 사용될 수 있는 자원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해당 분야의 특성과 경제 사회적 요구를 감안하여 분야별 우선 지원을 병행하여야 한다. 분야별 우선 지원을 위해서는 분야별 전망보고서가 작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분야별 우선 지원 분야의 도출 및 이의지원은 창의적 연구에 대한 보완적 개념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선진국의 경우에도 우선 지원분야에 대한 연구비 배분은 5-10%사이이다. (ⅴ) 성과관리를 통한 지원효과의 극대화 : 기초과학의 지원에 있어서 그 성과를 특정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지만 연구비 지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성과관리를 하여야 한다. (ⅵ) 효율적인 혁신시스템의 구축 : 혁신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첫째, 연구부문과 산업부문을 연결시킬 수 있고, 새로운 분야를 담아낼 수 있는 유연한 분야분류체계를 정립하여야 하고, 둘째 연구결과의 효율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하며, 셋째 연구지원기관간 연계시스템의 구축을 구축하여야 한다.

  • PDF

The Satisfaction Analysis on Governmental Support Policy for SMB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만족도 분석)

  • Kim, D.J.;Sim, E.M.;Kang, Y.S.;Kang, Y.J.;Jo, J.K.;Sim, H.W.;You, J.H.;Suh, Yong-Seong;Oh, Sang-Y.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265-268
    • /
    • 2012
  • 중소기업의 정부지원 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정부지원 정책을 수립할 때 참조할 수 있도록 연구하였다. 정부지원 정책으로 자금지원, 기술개발지원, 인력양성지원, 판로 지원 등 4개 분야로 구분하여 각각 만족도롤 분석하였고, 사업성과, 기술개발 성과, 정부 정책의 성과를 분석하여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Gender in ICT SMEs : Focusing on R&D support policy (ICT 중소기업에서 성과와 젠더의 관계에 대한 고찰 : R&D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Choi, San;Lee, Jae-Seong;Jun, Seung-Pyo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697-714
    • /
    • 2017
  • 국내 ICT 산업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경제발전에 크게 이바지 해왔으며, 현재는 4차산업과 다양한 산업들의 융합의 구심점으로 인식되며 앞으로의 경제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ICT 산업을 국내외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 중, 국내외를 막론하고 ICT 산업에 대해 존재하는 강한 스테레오타입은 ICT는 남성중심(masculine)적인 산업이라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ICT산업의 남성 중심성이 서과에 이떠한 여햐을 주는지 고찰하기 위해서 2015년 중소기업 기술통계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ICT 중소기업에서 젠더와 기술적 및 경제적 성과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공동연구선호여부나 R&D 지원을 받은 경험이 중소기업의 기술적 및 경제적 성과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ICT산업여부와 여성연구원 보유여부가 정책지원과 성과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ICT기업 중 여성연구원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그렇지 않은 ICT기업에 비해 높은 기술적 성과를 보이고 있었다. 경제적 성과의 측면에서는 여성연구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단독연구를 선호하는 ICT기업이 다른 ICT기업에 비해 높은 신기술개발 매출액을 보였다. 연구의 결과는 ICT 중소기업의 지원정책을 구상하는 정책입안자들과 여성의 ICT산업 고용 및 경제 활동 진흥 정책을 구상하는 정책입안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Phenomenological Analysis for the Employment Policy and Creating Jobs : Understand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abors and Technology (일자리 정책을 위한 현상학적 분석: 중소기업의 인력과 기술에 대한 현장 이해와 대안)

  • Hwang, Kwangs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4
    • /
    • pp.29-39
    • /
    • 2019
  • This paper understand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with the lenses of 'labors' and 'technology' and analyzes possible alternatives for creating jobs in Korea. Interviews with eighty CEOs, directors, managers are conducted during the summer in 2017. In terms of 'labors,' critical issues were 'low income' and 'income gap from conglomerates.' When it comes to 'technology,' support for R&D was critically presented. This study proposes three policies for creating jobs: 1) National Management for Good Technicians, 2) Technical Bidding System, and 3) Mutual benefit disclosure System. Implications for the employment policy are follo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