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결 영역

Search Result 1,4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핵연료내 결정립 외부 공극의 상호연결분률 예측용 정육각형 퍼콜레이션 모델

  • 김한철;이종인;조규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b
    • /
    • pp.500-505
    • /
    • 1996
  • 고온의 정상상태에서 조사된 후 재조직(restructuring)과 균열(cracking)이 일어난 핵연료 내에서 결정립 외부 공극의 을 결정할 수 있는 퍼콜레이션(Percolation) 모델을 개발하였다. 핵연료 펠렛은 다수의 작은 정육각형 결정립들로 구성된 큰 정육각형으로 모의한다. 핵연료봉은 형상과 열적 특성이 다른 네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경계 위치를 임계온도로부터 계산한다. 공극의 상호연결분율은, 몬테카를로 방법으로써 싸이트(Site)의 채워짐 여부를 점검하고 Hoshen-Kopelman 방법으로써 자유 공간에 연결된 클러스터(Cluster)에 포함된 싸이트들의 수를 계산하여 채워진 싸이트의 총 개수에 대한 연결 싸이트들의 개수의 비로써 구한다. AECL-2230, CBX 핵연료봉 실험의 기체 방출분율 자료에 대하여, FASTGRASS 코드의 상호연결분율 함수를 영역별로 계산한 상호연결분율로 대치하여 계산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균열과 재조직은 핵분열 기체 방출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모델의 주요 장점은 결정립계에서의 상호연결현상을 단순 상호연결분율보다 좀더 사실적으로 모의하며 결정립의 성장과 균열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다.

  • PDF

Text Region Detection using Edge and Regional Minima/Maxima Transformation from Natural Scene Images (에지 및 국부적 최소/최대 변환을 이용한 자연 이미지로부터 텍스트 영역 검출)

  • Park, Jong-Cheon;Lee, Keun-W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2
    • /
    • pp.358-363
    • /
    • 2009
  • Text region detection from the natural scene images used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many research are needed in this field. Recent research methods is to detect the text region using various algorithm which it is combination of edge based and connected component base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text region detection using edge and regional minima/maxima transformation algorithm from natural scene images, and then detect the connected components of edge and regional minima/maxima, labeling edge and regional minima/maxima connected components. Analysis the labeled regions and then detect a text candidate regions, each of detected text candidates combined and create a single text candidate image, Final text region validated by comparing the similarity and adjacency of individual characters, and then as the final text regions are detected.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proposed algorithm improved the correctness of text regions detection using combined edge and regional minima/maxima connected components detection methods.

An Expert System for Fault Diagnosis in a Substation (변전소 고장진단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

  • 박영문;최면송;김광원;현승호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1
    • /
    • pp.46-55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변전소의 변전설비에 대한 고장진단을 위한 전문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전문가 시스템에서는 변전소의 구조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두 종류의 새로운 자료 구조를 제안하였다. 먼저 설비 연결자료로, 이는 변전소의 수전단에서 배전단으로 이어지는 계층적 구조를 이용하여 소내 설비들의 전기적 연결상태 인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각 보호 계전기의 보호 영역 자료를 제안하였는데, 이것은 전문가 시스템 가동시에 자동으로 구성되면, 보호계전기의 주보호 설비 뿐만 아니라 후비보호와 2차 후비보호 등의 설비들을 탐색하여 자료구조에 포함함으로써 추론의 효율을 높였다. 본 전문가 시스템에서는 2단계 추론을 수행하는데, 1단계에서는 설비 연결자료와 보호 영역 자료를 이용하여 고장 후보들을 선정하고 2단계에서는 보호기기 동작간의 인과관계를 이용하여 고장 위치를 파악하고 동작한 보호기기들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하였다. 제안한 전문가 시스템은 실제 154[kV]급 변전소 모형에 적용하여 도출된 결과의 타당성과 수행시간의 실효성을 보였다.

  • PDF

Text Region Detection Using Connected Component Feature in Mobile Phone Images (모바일폰 영상에서 연결요소 특징을 이용한 텍스트 영역 검출)

  • Gwon, Gyo-Hyeon;Park, Jong-Cheon;Jun, B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16-7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폰으로 획득한 영상의 텍스트영역 검출을 제안한다. 최근 모바일 폰을 이용한 영상기반 응용 분야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영상에서 텍스트를 인식하기 위한 전단계로 텍스트 영역 검출은 중요하다. 본 논문은 텍스트 영역 검출을 위해 먼저, 컬러 영상을 입력 받아 그레이 이미지로 변환하여 영상내에 내포된 잡음을 제거하고 열림/닫힘 연산의 특징을 이용해 각 연결요소를 검출하고 검출된 요소들을 레이블링 한다. 레이블링 된 영상은 텍스트가 갖는 특정 조건에 의해 텍스트 영역인지 텍스트 영역이 아닌지를 검출하고 검출된 텍스트 영역은 검증을 통해 최종 텍스트 영역을 검출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택스트 영역 겁출보다 정확도가 향상할 수 있다.

  • PDF

The Feasibility for Whole-Night Sleep Brain Network Research Using Synchronous EEG-fMRI (수면 뇌파-기능자기공명영상 동기화 측정과 신호처리 기법을 통한 수면 단계별 뇌연결망 연구)

  • Kim, Joong Il;Park, Bumhee;Youn, Tak;Park, Hae-Jeong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25 no.2
    • /
    • pp.82-91
    • /
    • 2018
  • Objectives: Synchronous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has been used to explore sleep stage dependent functional brain networks. Despite a growing number of sleep studies using EEG-fMRI, few studies have conducted network analysis on whole night sleep due to difficulty in data acquisition, artifacts, and sleep management within the MRI scanner. Methods: In order to perform network analysis for whole night sleep, we proposed experimental procedures and data processing techniques for EEG-fMRI. We acquired 6-7 hours of EEG-fMRI data per participant and conducted signal processing to reduce artifacts in both EEG and fMRI. We then generated a functional brain atlas with 68 brain regions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of sleep fMRI data. Using this functional atlas, we constructed sleep level dependent functional brain networks. Results: When we evaluated functional connectivity distribution, slee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functional connectivity for the whole brain compared to that during wakefulness. REM sleep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connectivity patterns compared to non-REM sleep in sleep-related subcortical brain circui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feasibility of exploring functional brain networks using sleep EEG-fMRI for whole night sleep via appropriate experimental procedures and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for fMRI and EEG.

Architecture for Integrated Processing and Managing Smart Factory IT and OT Area Data (스마트팩토리 IT 및 OT 영역 내 보안위협 관련 데이터 통합 처리 및 관리 아키텍처)

  • In-Su Jung;Deuk-Hun Kim;Jin Kwa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58-161
    • /
    • 2023
  • 스마트팩토리는 기존 제조산업과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가 융합된 지능형 공장이다. 이는 직접적인 제조공정 과정이 수행되는 OT(Operational Technology) 영역(0~3계층)과 전사업무 관리를 수행하는 IT(Information Technology) 영역(4~5계층)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과 계층이 연결되어 제조·물류·유통 과정의 자동화 및 지능화를 제공한다. 그러나 각 영역과 계층이 연결됨에 따라 보안위협 벡터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영역·다계층 환경인 스마트팩토리에 적합한 대응체계 연구를 위해 영역별 보안위협 관련 데이터를 통합하여 처리 및 관리하는 아키텍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팩토리 환경 내 IT 및 OT 영역 장치를 식별하고 보안위협 관련 데이터 통합 처리 및 관리를 위한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Altered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Executive Control Network During Resting State Among Males with Problematic Hypersexual Behavior (문제적 과잉 성 행동자의 휴지기 상태 시 집행 통제 회로의 기능적 연결성 변화)

  • Seok, Ji-Woo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2 no.1
    • /
    • pp.35-44
    • /
    • 2019
  • Individuals with problematic hypersexual behavior (PHB) evince the inability to control sexual impulses and arousal.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that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 the brain region responsible for inhibitory functions. However, ver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se brain areas during the resting state in individuals with PHB. Therefore, this study used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devices with the intention of identifying the deficit of the functional connectivity in the executive control network in individuals with PHB during the resting state. Magnetic resonance imaging data were obtained for 16 individuals with PHB and 19 normal controls with simila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reas related to the executive control network (LECN, RECN) were selected as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ime series signals between these areas was measured to identify the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groups analysis was also used.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ngth of the functional connectivity of the executive control network between the two groups. In other words, decreased functional connectivity was found between the superior/middle frontal gyrus and the caudate, and between the superior/middle frontal gyrus and the superior parietal gyrus/angular gyrus in individuals with PHB. In addition, these functional Connectivities related to the severity of hypersexual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inability to control sexual impulses and arousal in individuals with PHB might be related to the reduced functional connectivity of executive control circuits.

On-road Vehicle and Area Detection Using Edge Connectivity and Corner Clustering (에지 연결성과 코너 군집화를 이용한 도로영역 및 차량 검출)

  • Yu, Jae-Hyung;Han, Young-Joon;Hahn, Hern-Soo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1035-1036
    • /
    • 2008
  • 본 논문은 주행 중인 자동차에서 획득한 영상에서 배경과 도로영역 및 물체를 분리하기 위한 영역분할 기법과 물체 검출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상내의 에지라인의 화소 간 연결성을 이용한 라인검출을 이용하여 도로의 윤곽선 정보를 추출하고 컬러분포를 통해 배경과 도로영역을 분리한다. 물체가 가지는 코너 특성을 이용하여 나타난 정보들의 군집화를 통해 후보영역을 얻고 컬러 성분을 이용하여 개별 물체를 분리해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복잡한 배경을 갖는 도로영상의 경우에도 도로영역과 물체의 검출에 강인함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A Road Extraction Algorithm using Mean-Shift Segmentation and Connected-Component (평균이동분할과 연결요소를 이용한 도로추출 알고리즘)

  • Lee, Tae-Hee;Hwang, Bo-Hyun;Yun, Jong-Ho;Park, Byoung-Soo;Choi, Myung-Ry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359-364
    • /
    • 201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extracting a road area by using the mean-shift method and connected-component method. Mean-shift method is very effective to divide the color image by the method of non-parametric statistics to find the center mode. Generally, the feature points of road are extracted by using the information located in the middle and bottom of the road image. And it is possible to extract a road region by using this feature-point and the partitioned color image. However, if a road region is extracted with only the color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a road image, it is possible to detect not only noise but also off-road regions. This paper proposes the method to determine the road region by eliminating the noise with the closing / opening operation of the morphology, and by extracting only the portion of the largest area using a connected-components method. The proposed method is simulated and verified by applying the captured road images.

Mobile Phone Camera Based Scene Text Detection Using Edge and Color Quantization (에지 및 컬러 양자화를 이용한 모바일 폰 카메라 기반장면 텍스트 검출)

  • Park, Jong-Cheon;Lee, Keun-W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3
    • /
    • pp.847-852
    • /
    • 2010
  • Text in natural images has a various and important feature of image. Therefore, to detect text and extraction of text, recognizing it is a studied as an important research area. Lately, many applications of various fields is being developed based on mobile phone camera technology. Detecting edge component form gray-scale image and detect an boundary of text regions by local standard deviation and get an connected components using Euclidean distance of RGB color space. Labeling the detected edges and connected component and get bounding boxes each regions. Candidate of text achieved with heuristic rule of text. Detected candidate text regions was merged for generation for one candidate text region, then text region detected with verifying candidate text region using ectilarity characterization of adjacency and ectilarity between candidate text regions. Experctental results, We improved text region detection rate using completentary of edge and color connected compon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