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사문화 지구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6초

몰입형 문화유산 현장 교육을 위한 VST-HMD 기반 XR 체험 프레임워크 제안 (A Proposal of VST-HMD based XR Experience Framework for Immersive Cultural Heritage Site Education)

  • 권오양;유정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397-40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의 몰입형 교육을 위한 VST(Video See-through) 방식의 HMD(Head Mounted Display) 기반 XR(eXtended Reality)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매장문화재적 요소가 강한 문화유산 현장의 경우 실물이 남아있지 않아 교육 및 체험 측면에서 흥미로운 정보 전달이 어렵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대중적인 확산에 따라 이를 이용해 문화유산 현장에 소실된 문화유산을 AR(Augmented Reality)로 복원 및 시각화하거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졌으며, 나아가 OST(Optical See-through) 방식의 안경형 AR 디스플레이를 활용하는 사례들도 등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기기의 특성으로 인해 몰입감과 사용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보였으며, 단순히 소실된 문화유산의 복원된 모습을 정적으로 시각화하는 것에 그쳐 문화유산 현장에 내재된 동적인 역사 스토리를 재현한다는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 현장에서 VST-HMD를 이용하여 AR 기반의 정적 문화유산 시각화뿐만 아니라 VR(Virtual Reality) 기반의 동적 역사 스토리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XR 체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여 더욱 몰입감 있고 만족스러운 문화유산 교육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한다.

  • PDF

Virtual Walkthrough를 이용한 경주 대릉원지구의 경관이미지 및 시각적 특성 분석 (An Image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alysis of Gyeongju Daereungwon Area Using Virtual Walkthrough)

  • 덩베이지아;김영훈;정재현;허상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8-117
    • /
    • 2020
  • 본 연구는 경주시 역사유적지구 대릉원지구를 대상으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을 이용하여 가상체험한 후 평가를 통해 경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미지 요인과 시각적 선호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릉원지구에 대한 선호도 분석으로 노서리 고분군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3이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릉원 서쪽 경계에 위치하는 경관5는 3점 미만의 낮은 점수로 분석되었다. 시각적 특성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로 특이성, 공간성, 역사성 3가지의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요인점수와 시각적 선호도에 대한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특이성이 역사문화경관 대릉원지구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Virtual Walkthrough 기법은 입체성이 강하고 실재 경관에 대한 재현 정도가 높으며, 경관분석에 효율적인 기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로 역사문화경관 시각적 질의 향상에 자료 및 정보를 제공하고 앞으로 경관계획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주시 역사문화환경지구 내 상업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at the Commercial Street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Gyeongju)

  • 최무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9-2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iden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condition at the commercial street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Gyeongju. To achieve this, the study relied on empirical study method and additionally,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with a user interview. residents'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s. This work has completed a total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treet factors among various factors which influence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including physical street equipments and street view factors which are main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and street improvement project. Using statistical analysis, each factor's significance was verified quantita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prior consideration points before planning the commercial stree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region development project.

대전 중앙로역 역사 내 QR코드 도입 연구 (A Study of QR code application for Daejeon Jungangno Subway Station)

  • 최혜림;노황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7-108
    • /
    • 2015
  • 대전 중앙로역 이용객과 주변 관광지역의 관광객이 증가하고 있다. 대전의 중심상업지구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공간으로 통하는 중앙로역 역사 내 안내시스템의 정보 부족으로 인해 이용객 및 관광객에게 혼란을 야기한다. 낯선 공간에서의 지하 공간에서 지상으로 이동시 혼란은 증가된다. 그러므로 중앙로역 역사 내 안내시스템에 QR코드로 지하에서 지상까지의 정보를 제공하여 길 찾기에 도움을 주어 중앙로역의 이용객을 배려하여 만족도를 향상시킨다.

  • PDF

중국 쑤저우 평강로 도시역사문화거리 보존 및 재생사업 평가연구 (Evaluation Research on the Protection and Regeneration of the Urban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of Pingjiang Road, Suzhou, China)

  • 경리;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61-580
    • /
    • 2021
  • 쑤저우 평강로 역사문화거리를 분석 대상으로 도시역사거리의 발전과 보호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과 같은 방식을 통해 도시역사거리에서 문화거리의 발전, 재생방법과 현황에 대해 전면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역사문화거리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문헌조사를 통해 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특성을 물리적 요소와 비물리적 요소로 정리했다. 또한, 한국의 인사동, 삼청동, 중국 베이징의 난뤄구샹, 항저우의 남송어가 등 4개 역사문화거리의 통합디자인교류시스템을 분석하고 연구했다. 기초 연구와 분석을 거쳐 비물리적 요소에서 문화성, 경제성, 사회성에 포함되는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물리적 요소를 공간 구조, 도로 맥락, 건물 보존으로 나누어 분석틀을 정리했다. 평강로에서 비물리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의 복합적인 발전 관점을 제시하여 역사문화거리의 보존과 재생에 평가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현장 조사를 결합해 방문객을 위한 프로그램 및 서명 시스템의 정비와 개발, 역사문화 네트워크 플랫폼의 지속적인 개발 등 방면의 미흡한 부분에 대해 최적화와 구체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같은 유형의 다른 역사문화거리에 참고할 만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야 한다.

중국 산동성 쯔보시 주촌고상성 역사경관관리계획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andscape Management Plans for Zhoucun Ancient Mall in Zibo City, Shandong Province, China)

  • 손지아;양건석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4-65
    • /
    • 2019
  • 최근 중국정부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도시 확장 및 관광산업의 발달에 의해 역사 문화도시 훼손문제로 국가급의 유명한 역사 문화도시뿐만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 전통성을 가지고 있는 중소도시의 역사경관을 꾸준히 보호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보호정책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역사경관을 관리해온 중국 중소도시인 산둥성 쯔보시 저우춘구(山東省 淄博市 周村區)에 위치하는 성급문화재 주촌고상성(周村古商城)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이 도시의 문화재보호 및 주변지역 역사경관 보호계획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사실, 주촌고상성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보호계획은 1980년대 초에 시작되었으나, 실행 가능한 계획은 2001년의 "주촌대가역사가구 보호계획"에서 수립되었으며, 이 계획을 통해 '주촌대가 역사가구(歷史街區)' 구역은 관광계획, 도시계획 등의 다양한 계획이 수립되면서 역사문화지구에 대한 보호계획이 구체화되었다. 또한 2008년의 "주촌대가고상성지구 규제성상세계획"에서는 보호구역의 블록면적을 확장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계획은 보호구역면적을 블록단위로 편성하여 작은 구역마다 단독으로만 적용되도록 하여 확장된 보호구역이 통일성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 후 2015년 "규제성편성계획"에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호면적을 넓혀 통일성 있는 역사경관 및 도시경관을 조성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이 세 가지 계획의 변화는 주촌고상성의 역사경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2차원적인 규제에서 3차원적인 공간 밀도 경관에 대한 규제로 변화하였고, 또한 주변 도시경관과의 조화를 위한 면적인 확대로 이어졌다. 쯔보시 주촌고상성의 역사경관 관리계획은 2001년 계획을 시작으로 기본계획을 수립 후 상세계획으로 체계적으로 변화해왔다. 즉, 2001년의 계획을 통해 보호구역과 주변 환경정비를 위한 완충구역이 설정되었으며, 2008년 규제성상세계획을 통해 구체적 도시관리계획으로 나아가면서 보호구역, 건설제어구역, 환경조정구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그 후 2015년에는 저우춘구 전체구역까지 보호 관리하는 확장된 계획으로 주촌고상성 역사경관을 포함한 주변지역 도시경관까지 관리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경주국립공원 지구특성에 따른 이용자 관리 정책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Analysis of User Perception Gap regarding User Management by the Characteristic of Districts in Gyeongju National Park)

  • 이슬비;손수항;강은지;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75-86
    • /
    • 2015
  •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의 지구유형별 특성에 따른 관리정책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경주국립공원을 방문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2012년 7월에서 8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주국립공원 이용자의 특성, 이용행태, 공원관리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항목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의 주요자원과 탐방객의 이용특성을 기준으로 지구유형을 분류하였다. 불국사와 석굴암을 주요 자원으로 주로 경관감상 및 휴양을 위한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이용객들이 많이 찾는 토함산 지구는 관광형, 역사문화 학습과 환경 교육을 위한 탐방객들이 많이 찾는 남산과 대본지구는 역사문화교육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남은 화랑, 서악, 소금강, 구미산 지구는 건강증진을 위한 체력 단련, 등산, 산책이 주목적으로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근린공원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관광형의 경우, 문화유적탐방을 위한 이용자가 집중되는 곳으로 이용자제한 정책을 통해 탐방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역사문화교육형은 이용행위규제 방법에서 관리자 단속권한이 강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근린공원형 지구의 이용자들은 대부분의 정책에 대해 가장 낮은 필요도를 느끼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경주국립공원은 각 지구별로 이용자들이 느끼는 정책의 필요도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경주국립공원의 지구별 이용자의 인식 차이를 반영한 정책 도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이 주민참여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 중심으로 (The Effect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based Urban Regeneration 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Incheon Open Port Cultural District)

  • 정영미
    • 도시과학
    • /
    • 제11권1호
    • /
    • pp.59-68
    • /
    • 2022
  • This study, the meaning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utilization in urban regeneration was examined and in the proce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mong physical,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ain variabl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which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fact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are mediating effe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Furthermore, by presenting a more integrated and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plan, it is intended t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and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고도(古都) 경주의 역사문화환경지구 내 상업가로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Ancient Capital Gyeongju)

  • 현택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9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ownscape design guideline that harmonized with a historic landscape via condition investigation and landscape analysis of the cultural /commercial environment district where an improvement is a necessity.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To enhance the identity of Gyeongju, should pursue diversity in unity by making the image of architectural landscape a similar peculiarity. 2.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where the tradition is valued and contemporary figures meet the tradition needs a landscape formation by CONTEXT. 3.Since a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area is a regional commercial center, to reduce its congestion, reforming the area to simple environment is required. 4.Induce buildings located on the streets with cultural properties to have Korean traditional tiled roof in order to fit in with their surroundings. 5.Make it a rule to partition a wall into tripartition, the wall surface exposed should be the same finishing materials. 6.Consider the visual aspect of pedestrians and a building's width, the recommendable height of the facade should be 3~3.6m. 7.For the design archetype of cornice, four traditional type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eaves are suggested. 8.The design of signboards should break existing square-shapes, and seek a design to take advantage of icons that historicity and traditionalist of the city are expr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