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사문화가로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3초

역사문화가로 활성화 방법에 대한 고찰 -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춘당 가로를 실제사례로 하여 -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 of historic cultural street. - Focusing on DongChun-Dang street -)

  • 윤훤;김덕수;길성호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23-30
    • /
    • 2008
  • In order to improve the atmosphere within Historic and Culturally Symbolic Street- DongChun-Dang street which represent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Daejeon-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rovement methods by analyzing preceding studies, identify problems and offer the directions that could make historic cultural street, and propose the guidelines could apply to new district development at historic cultural are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 method for improvement of historic cultural street is not fragmentary but integrated. Second, we suggested plans for improvement of DongChun-Dang street. Third, to make historic cultural images of streets, it is considered that guidelines include volumes, colors of surrounding buildings and designs of street furnitures have to be provided on the new urban or district development at historic cultural area.

  • PDF

역사·문화가로의 구성요소 및 색채특성 분석 연구 - 김해시 가야의 거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nalysis of Component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History·Culture Streets - focused on Street of Gaya in Gimhae -)

  • 안수미;손광호;최인영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0권
    • /
    • pp.255-265
    • /
    • 2015
  • 역사·문화거리란 그 지역만의 역사·문화적 자원과 도시가로의 연계를 통해 지역정체성을 형성하게 되는 가로환경으로 이를 위해서는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특색 있는 디자인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에 조성된 가로 대부분이 역사·문화자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물리적 환경 정비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의 개선을 위해서는 역사·문화거리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 역사·문화가로인 김해 가야의 거리를 대상으로 구성요소 및 색채특성을 분석하여 역사·문화가로 조성을 위한 계획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역사·문화가로를 이해하는 틀로서, 나아가 그 가치를 재인식하고 활성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사·문화가로의 구성요소를 포괄적 측면에서 비 물리적 요소와 물리적 요소로 구분하여 세분화하였다. (2) 구성현황을 살펴본 결과, 가야의 거리는 역사·문화유적과 조형물, 가로시설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파악하였다. (3) 색채 분석 결과, 역사·문화가로의 경우 역사·문화유적과의 조화와 통일성을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으며, 전체 가로경관을 통합하는 체계적 디자인 접근이 미흡하고 장소 아이덴티티 부여 및 효율적 정보전달을 위한 추가적 색채계획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기존도심재생을 위한 가로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천안시 명동패션거리 일대 가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eet Revitalization for Downtown Regeneration -Focused on the Myeong-dong Fashion Street in Cheonan City-)

  • 이기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165-5176
    • /
    • 2010
  • 본 연구는 최근 극심한 쇠퇴현상을 겪고 있는 천안역 앞 명동패션거리 일대를 대상으로 도심재생차원에서의 가로활성화 방안을 모색한다. 천안시내 기존도심 지역의 물리 환경적 측면, 역사 문화적 측면,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아울러 가로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가로이용행태와 가로활성화와 관련한 의식을 조사하였다. 연구를 통해 제안된 해당 지역의 잠정적인 가로활성화 방안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물리 환경적 측면에서는 기존도심 토지소유자들의 개발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법적 인센티브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요구되며, '명동거리' 내에 휴식 및 녹지공간 조성, 기존건물을 활용한 문화예술 공간의 확충과 함께 지하공간을 활용한 공영주차장 조성 등이 제안된다.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는 기존 가로별 업종 특성을 최대한 살리면서 획일적이지 않도록 '명동거리', '은행길', '옛시청길' 등 가로별로 독특한 테마를 설정하고 각각의 테마업종들이 예시된다. 역사 문화적 차원에서는 기존 도심이 갖고 있는 역사적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역사탐방로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존 패션거리와 연계하여 보행네트워크화 하는 방안이 제시된다.

가로 환경디자인의 활성화 요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쿄시의 주요 가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Factor and Characteristics of Street Design - Focusing on the Famous Streets in Tokyo, Japan -)

  • 정수진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323-334
    • /
    • 2004
  • 본 연구는 가로 환경디자인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로, 일본, 도쿄의 유명 가로를 그 대상으로 한다. 가로환경의 구성 요소는 크게 물적 요소와 비 물적 요소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물적인 요소에는 도시의 형태, 건축물, 가로의 형태, 오픈스페이스의 입지, 가로수, 가로 장치물 등이 있고, 비 물적인 요소로는 시설의 프로그램, 상품의 물류, 문화, 역사와 같은 공간 프로그램, 다른 지역과 차별화를 통한 개성적인 공간을 확보하는 것 등이다. 대상지로는 신주쿠, 시부야, 하라주쿠, 우에노, 이케부쿠로를 선정하였다. 조사결과, 대중교통수단과 거리 상으로 밀접한 연계성을 가지며 역사적인 맥락을 가지고있다. 물리적인 공간의 조작을 통하여 연속적인 장면을 연출함으로써 비 일상적인 체험을 극대화한다. 이는 과정에서부터 기반시설을 확보하고 제도적으로 보장하고자 하기 때문에 가능하며, 한편으로는 지역의 차별화를 위한 브랜드화 전략과 마케팅 수법이 적절하게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로 환경 내에서 가로 장치물의 역할에 의하여 이러한 활성화 요인들이 더욱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역사·문화 가로경관의 구성요소 및 색채특성 연구 - 중국 카이펑시 (中国 開封市) 서점거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scape of History·Culture Streets - Focused on the Bookstore Street in Kaifeng, China -)

  • 손로;윤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43-1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카이펑 시 역사 문화거리인 서점거리를 대상으로 서점거리의 경관 구성 요소에 나타난 경관 색채의 특징을 분석하여 서점거en리의 환경 색채에 대한 전체성을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문헌 고찰을 통해 역사 문화거리의 경관 구성요소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청대 건축적 색채의 일반적인 특징과 경관 색채의 기본적인 분석방법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서점거리 경관 구성의 요소 및 경관 색채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색채 분석은 <한국표준색 색채분석>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색상수치 표기는 먼셀 표색계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게 되면 서점거리의 경관색채는 R계열, PB계열, Y계열, 무채색(N)계열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색채는 높은 전체성을 나타내었다. 청대 건축 색채의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서점거리의 전체적인 경관 색채는 청대 건축 색채의 일반적인 특성에 상당 부분 부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인과 시설물, 조형물의 색채 활용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많이 존재하였기에 사인과 시설물 등 경관 요소의 색채계획을 추가하여 시각 정보의 식별 가능성을 강화하고 거리 색채의 단계적인 변화를 증가시켜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를 중심으로 - (Street furniture design for the symbolic expression of regional impression - Focusing on the Sam-san street in Ulsan city -)

  • 김도경;임창빈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1호
    • /
    • pp.63-7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민의 일상체험의 장인 가로공간을 대상으로 대상지역 가로경관의 역사적, 문화적 특성을 제고한 상징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 지역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이미지의 상징성과 미래지향적 가로의 이미지를 가로환경시설물에 적용함으로써 지역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개성 있는 거리로 새롭게 인식시켜 활력 있는 가로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상징가로 환경조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실제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특성화된 지역문화를 활성화하는데도 그 목적 이 있다. 상징가로의 디자인 접근방법으로 역사적 요소가 상실되고 도시화(신도시)가 이루어진 가로를 대상으로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를 현재의 지역이미지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로 추출하였다. 이미지 평가실험을 통해 추출된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인 가로의 상징도구로 가로환경시설물을 이용하여 지역의 가로를 특성화하였다. 가로환경시설물의 디자인에 상징이미지를 적용하여 타 지역과 차별화된 가로를 형성하고 지역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확립함으로써 지역민의 소속감, 자부심과 애향심을 심어주는데 도움을 주고, 공공기관에서 지금까지의 연구내용과 연관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자 할 때, 본 연구가 상징성 추출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음에 그 의의를 둔다.

  • PDF

고도(古都) 경주의 역사문화환경지구 내 상업가로경관 디자인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mercial Streetscape Design Guideline of the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Ancient Capital Gyeongju)

  • 현택수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94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ownscape design guideline that harmonized with a historic landscape via condition investigation and landscape analysis of the cultural /commercial environment district where an improvement is a necessity. The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To enhance the identity of Gyeongju, should pursue diversity in unity by making the image of architectural landscape a similar peculiarity. 2.The central commercial district where the tradition is valued and contemporary figures meet the tradition needs a landscape formation by CONTEXT. 3.Since a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area is a regional commercial center, to reduce its congestion, reforming the area to simple environment is required. 4.Induce buildings located on the streets with cultural properties to have Korean traditional tiled roof in order to fit in with their surroundings. 5.Make it a rule to partition a wall into tripartition, the wall surface exposed should be the same finishing materials. 6.Consider the visual aspect of pedestrians and a building's width, the recommendable height of the facade should be 3~3.6m. 7.For the design archetype of cornice, four traditional types based on Korean traditional eaves are suggested. 8.The design of signboards should break existing square-shapes, and seek a design to take advantage of icons that historicity and traditionalist of the city are expressed.

장소마케팅을 통한 가로환경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혜화동 대학로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Design for Environmental Facilities along Avenues via Locational Marketing(Focusing on Hyehwa-dong Campus Avenues))

  • 김종인;장광집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5-14
    • /
    • 2004
  • 본 논문은 도시환경과 장소마케팅을 통한 가로환경시설물 디자인 방향에 대한 내용으로 대상공간은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대학로이다. 디지털 정보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생활양식과 행태 변화를 중심으로 대학로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장소마케팅전략, 공간특성의 변화, 가로환경 및 가로환경시설물의 현황 조사 및 이용자특성의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대학로의 이미지 개선과 문화의 거리로써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활성화를 위한 가로환경시설물의 역할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가로환경시설물 체계 및 디자인 접근 방법은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의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대학로의 이미지 개선 및 문화적 특성을 부각시켜 이용자 뿐 만 아니라 지역주민 삶의 질적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관광지로써 재평가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경주시 역사문화환경지구 내 상업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at the Commercial Street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Gyeongju)

  • 최무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19-26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ident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condition at the commercial street of Historic and Cultural Environmental Districts in Gyeongju. To achieve this, the study relied on empirical study method and additionally, present condition survey was performed with a user interview. residents' 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s. This work has completed a total analysis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treet factors among various factors which influence residents' satisfaction level including physical street equipments and street view factors which are main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and street improvement project. Using statistical analysis, each factor's significance was verified quantitatively.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s prior consideration points before planning the commercial street improvement project and the region development project.

역사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경관협정 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Landscape Agreement Project for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 신민지;신지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29-139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의 경관관리를 위해 경관협정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 역사문화경관을 보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관협정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경관협정의 내용이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제점 및 경관유형에 따른 경관관리 방법과 경관협정내용의 일반화가 필요하다는 문제에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역사문화경관 보전 관련 가이드라인 고찰 및 주민자치 및 참여에 의한 경관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국 내외 지역 사례 등을 고찰하여 도출된 항목들을 통해 지역민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지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실효성 있는 경관관리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역사문화경관 보존을 위해 지역 주민이 자발적으로 지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관협정 항목으로는 역사문화경관 주변의 조성에 있어 건축물 외형 및 외부공간 등이 역사문화경관을 모티브로 하여 접근성과 상징성이 나타나도록 조성할 것으로 고려해야 하며, 가로환경에서 보행 친화적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옥외광고물 및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기존의 역사문화경관과 조화로운 디자인을 추구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중요도가 낮아 필요시 포함될 수 있는 사항으로 제안할 수 있는 내용은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고, 건축설비시설의 은폐 및 집약화로 노출을 막는 세부 사항과 외부공간의 유지관리, 자연친화적인 재료의 사용 및 야간경관의 네온표지판관리 및 야간조명시간 운영에 대한 사항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성이 나타나는 역사문화경관의 경관관리를 위해 지역민이 스스로 추진하여 경관향상 및 지역민의 경관에 대한 의식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