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청년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Sexual Risk Behaviors among Racial/Ethnic Minority female adolescents transitioning into young adulthood (미국 소수인종 여성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

  • Lee, Jie-Ha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 /
    • v.13 no.2
    • /
    • pp.77-91
    • /
    • 2012
  • 배경 및 목적: 성병 감염, 조기 성경험, 다수의 성관계 파트너 등과 같은 위험 성행동은 여성의 건강 전반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심각성에 비하여, 미국의 청소년기 및 청년기 여성의 위험 성행동을 소수인종 집단별 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국 소수인종 여성 청소년의 위험 성행동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차 자료 분석의 결과물로써, 원자료인 미국의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Health (Add Health)의 1기 (1995년)와 3기 (2001년)의 자료 중 여성 청소년의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되었다. 다양한 위험 성행동을 인종별로 분석함과 더불어 본 연구의 특징은 종단적 성병 감염 행태를 인종별로 분석한 점이다. 결과: 본 연구는 소수인종 여성의 위험 성행동에 관한 핵심적인 결과를 제시한다. 성병 감염, 조기 성경험, 다수의 성관계 파트너 등과 같은 위험 성행동의 분포는 흑인과 아시아계 여성이 타인종의 여성에 비하여 높은 위험해 쳐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흑인 여성들은 전반적인 성행동을 망라하여 고위험군으로 분류되고 있다. 아시아계 여성 역시 고위험 군으로 분류되는데, 특히, 청소년기에 성병에 한번 감염된 경험이 있는 아시아계 여성은 가장 위험한 성병 감염 행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소수인종 여성의 위험 성행동이 백인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편으로 나타나지만, 적절한 보건의료 서비스에서는 소외되는 현실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인종별 성건강의 불균형 문제해소를 위하여 청소년들에게 인종적 특성과 서비스 접근성의 고려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Duration to First Job of Korean Young Graduates: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청년층의 첫 일자리 진입 : 경제위기 전후의 비교)

  • Ahn, Joyup;Hong, Seo Yeon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5 no.1
    • /
    • pp.47-74
    • /
    • 2002
  • Since the Economic Crisis at the end of 1997, unemployment rate soared up to the record-high 8.6% (February 1999) and, for youth aged 15~29, it was 14.6% (27.8% for aged 15~19). In spite of economic recovery after the crisis, new participants in labor market at the school-to-work transition have faced with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first jobs and, even further, the ratio of youth at out-of the labor force but not in school has remained at a higher level. It is important to calibrate the negative effects of nonemployment in the short-run as well as in the long-run, but there has been few study o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in Korea. This study focus on the nonemployment duration to first job after formal education and comparison of its pattern before and after the crisis. A proportional hazard model, considering job prenaration before graduation (21.4% of the sample), with the semi-parametric baseline hazard is applied to the sample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1998~2000) and its Youth Supplemental survey(2000). Interview of the Survey is conducted, by the Korea Labor Institute, to the same 5,000 household and 13,738 individual sample, guaranteeing nationwide representativeness. The Supplemental Survey consists of 3,302 young individuals aged 15 to 29 at the time of survey and 1,615 of them who are not in school and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is used for the analy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negative duration dependence at the first three or for months at the transition period and no duration dependence since a turning point of the baseline hazard rate and that unemployment rate reflecting labor demand condi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exiting the nonemployment state, which is inconsistent with a theoretical conclusion. Estimation with samples separated by the date of graduation before and after the crisis shows that the effect of unemployment rate on the hazard was negative for the pre-crisis sample but positive for the post-crisis sample.

  • PDF

Gender Differences in Obtaining Decent Work: A Multi-Group Analysis on the of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for Korean Young Workers (괜찮은 일 획득에서의 성별 차이: 한국 청년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의 심리학 모형의 다집단 분석)

  • Seul Ah Lee;Sohwi Pyo;Bora Nam;Yuyoung Lee;Eunjoo Yang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9 no.1
    • /
    • pp.101-123
    • /
    • 2023
  • As an effort to further extend the existing understanding o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this study examined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s to the attainment of decent work with Korean emerging adults. A total of 311 South Korean employees (mean age = 25.96, men = 94, women = 217)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s. We found that economic constraints inversely predicted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hich were positively relatedin turn, led to decent work. The overall indirect effect of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decent work was significant., hHowever, the specific indirect effect of work vol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Further analyses showed a gender difference in the paths. Specifically, economic constraint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work volition, and work volition predicted decent work only for women, but not for men. Moreover, economic constraint was significantly inversely associated with career adaptability, and career adaptability positively predicted decent work only for men, but not for women. Work volition mediated between economic constraints and decent work for women, while career adaptability had a mediating effect for men. It suggests that career resources for obtaining a decent work may be distinctive by genderdifferent groups.

청년기 여성의 의류상표선택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연구

  • 이은실;이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6-47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 여성의 국내 및 외국 의 류상표선태과 가정의 가치지향성 및 물리적 가정환 경과의 관계를 조사하며. 상표선택에 따른 상표결정 동기의 차이를 파악하고 의복구매 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서울시내 여고생과 여자대학생 408명이었다(여고생 224명, 여대생 184명). 가정환경변인 측정도구는 정원식의 '가정환경진단검사'중에서 가정의 가치지향 성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상승주의, 물질주의, 전통주 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상표선택은 최근에 구 입한 캐주얼웨어의 상표에 대한 내용과 구입희망 상 표를 조사하였으며, 상표결정동기는 5점 척도의 10 문항을 사용하였다. 가정의 물리적 환경은 부모의 학력, 사회계층, 주거공간을 조사하였으며, 인구통계적인 변인으로 학년, 연령, 용돈을 조사하였다. 조사기 간은 2000년 4월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 및 여대생이 구입한 의류상표는 국 내상표가 24.0%. 외국 상표가 37.5%. 상표명을 기억 하지 않는 상표무관심 집단이 38.5%였다. 구입희망 상표는 외국상표가 48.8%. 국내상표가 26.0%. 무관 심집단이 25.2%로서 구입한 상표보다 구입희망상표 의 경우 외국상표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가정의 가치지향성은 국내 및 외국의류상표 구입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정 의 가치지향성 중에서 사회상승주의는 구입희망 집 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 외국상표 구입희망 집단은 가정의 사회상승주의가 높았고, 상표무관심 집단은 사회상승주의가 낮았다. 따라서 사회적 지위 상승을 추구하는 가치관을 지닌 가정의 청소년들은 부모의 가치관에 영향을 받아 외국상표 의류를 희망 하여 의복을 통해 신분상승을 추구하려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국내 및 외국 의류상표 구입집단운 부모의 학력, 가정의 사회계층 및 주거공간과 유의 한 관계가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의 경우 는 외국상표를 더 많이 구입하였고, 부모띄 학력이 고졸인 청소년은 상표 무관심집단이 많았다. 또 상류 층은 외국상표 및 국내상표를 구매한 비율씨 비슷하 게 높았으나 하류층은 상표 무관심집단이 더 많은 편이었다. 구입회망상표와 사회계층 및 주거공간과 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청년기 여성은 가정의 사회계층과 관계없이 외국상표의 구입을 희망 하는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외국상표 구입 집단은 국내상표 구입 집단 보다 상표를 미리 결정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 백화 점에서 구입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또한 여대생은 의류상표선택과 용돈이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여고생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외국상표 구입집단은 국내상표 구입집단 보다 주위 사람의 상표와 상표의 명성이 더 높은 구입동기로 작용하였으나. 품질, 유행, 할인가, 디자인, 가격, 착용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상표결정동기 중 할인가 구매는 가정의 사회상승주의 및 물질지향주의와 유의한 정적 관계 가 있었고, 적절한 가격도 물질지향주의와 정적 관계 를 나타냈다. 가정의 전통주의는 의복의 디자인과 부 정적인 관계, 상점의 위치와는 정적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통주의적인 가치관을 지닌 가정의 자녀는 편리한 상점의 위치가 상표결정동기로 작용하는 데 영향을 주는 특성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의복만족에 동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디자인, 면안성, 타인의 착용( - ). 상표의 명성, 외국 상표선택, 의복품질로 나타났으며. 6개 변인을 통한 설명력은 24.4%였다. 즉 상표를 결정할 때 디자인, 편안성, 상표의 명성, 의복품질을 고려하며. 주위사람들이 착용한 상표를 고려하지 않을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외국상표를 선택한 집단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가정의 사회상승주의가 높은 청년기 여성은 외국상표 구입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외국상표 구입 빈도가 높았으며. 외국상표를 구입한 여성은 의복구 매 후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청소년들이 외국 의류 상표를 구매하는 데에는 상표의 명성과 타인의 옷차 림이 영향을 주었으나, 타인의 착용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높을수록 의복 구매 후 만족도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Indian Designs in American Women's Fashion from 1960 to 1975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인도디자인에 관한 연구, -1960년부터 1976년까지 -)

  • 김혜경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2 no.4
    • /
    • pp.543-553
    • /
    • 1998
  • 본 연구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났던 인도디자인(Indian design)의 내용을 여러 사회계층으로 나누어 세부적으로 검토,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하위문화 선도이론(subcultural leadership theory)외 하나의 예로서, 미국복식에 나타났던 인도디자인이 반문화적 현상(counterculral phenomenon)으로 청년복식에서 제일 먼저 채택되었으며 점차 사회전반의 복식에, 더 나아가 상류계층복식 (high fashion)으로 확산되었다는 이론을 사회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왔던 수량적 연구방법인 내용분석법(cont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총 1043개, 22가지의 종류(subcategory)의 인도 디자인으로. 이러한 결과로 인도의 영향을 받은 디자인이 미국사회 전체의 여성복식에 폭 넓게 나타났으며, 그 절정 시기가 1967년에서 1971년 사이로 이시대의 사회문화의 특징이 복식의 형태에 잘 반영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더불어, 각 인도디자인은 최초 출현시기, 절정시기, 지속기간, 디자인의 기원(origin)의 면에서 복잡하고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이 시대에 보여진 인도디자인을 채택하는 복식현상은 각 디자인 별로 (case-by-case), 여러 단기간으로 나누어서, 복합적인 패션전파이론(fashion diffusion theory)을 적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 PDF

People-장애인 문화에 날개를 달다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Social Workers
    • /
    • no.1 s.45
    • /
    • pp.24-27
    • /
    • 2006
  • 최근 문화를 반영한 듯 이례적으로 장애인분야에도 이러한 코드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문화지대 ‘장애인이 나설 때(이하 장때)’ 홈페이지를 들어가 보면 현란한 일러스트로 이쁘게 꾸며진 곳에서 건장한 청년이 기타를 치고 있는 모습을 볼수 있다. 그러나 유심히 살펴보면 그건 기타가 아닌 목발임을 알 수 있다. 커다란 무언가를 우리에게 알려주는... 부드러운 이미지 속에서 풍겨 나오는 의미 있는 강한 느낌. 바로 그것이 ‘장때’가 가지고 있는, 그리고 우리에게 보여주려는 것이다. 더군다나 이곳을 운영하는 사람은 얼마 전 한 장애여성의 누드 기획으로 사회적 이슈가 되었던 박지주 사회복지사. 이번 기회를 통해 장애인 문화에 대한 그녀의 생각과 ‘장때’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고자 한다.

  • PDF

사회화 경험과 여성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개인 및 맥락 효과: 성별 및 사회안전성의 삼원조절효과

  • Gong, Hye-W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239-251
    • /
    • 2018
  • 최근 들어 기업가적 활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사회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사회화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맥락적 차이 규명에 초점을 두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와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화경험(창업경험, 기업가정신 교육경험)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사회화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가 사회안전망과 같은 국가 맥락적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삼원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상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에서 제공한 글로벌 기업가정신 추세 리포트(GETR) 자료를 활용하였다. GETR자료는 한국을 포함한 총 20개국(한국,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싱가포르, 런던, 독일, 러시아, 덴마크, 핀란드, 영국, UAE, 이스라엘, 남아공, 터키, 이집트, 미국, 브라질, 칠레, 호주)을 대상으로 국가별 최소 2,0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해 설문조사가 이루어진 자료이며, 유효 응답자 기준 총 40,38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그러나 자료 검증과정에서 전체 응답자 중 2,506명이 불성실 응답자 및 이상치로 확인되어 최종 분석과정에서 삭제되었다. 따라서 37,882개의 표본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여성 17,997명 (47.5%), 남성 19,885명(52.5%)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도구는 Hayes의 Process를 활용하여 사회화 및 교육, 성별, 성별 격차의 삼원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경험은 기업가 활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별 조절효과는 기업가정신 교육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경험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사회안전망이 높은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여성은 사회안전망이 높다고 인식할 경우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남성보다 기업가 활동의도가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본문에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Young Aged Women′s Bust (청년기 여성의 상반신 체형 연구)

  • 엄정옥;문명옥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0 no.5
    • /
    • pp.117-13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ffer basic data for clothing design which is intended to apply appropriate shape and capacity to clothes.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of an investigation which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upper half of the female body of 193 women whose ages are 18 to 25, taking part in this investig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young women's bust, I came to find a large individual difference of the wide varying factor numbers at the items of the side feature, the body stance, and the dart quantity. For the analysis of the female's upper body, 11 factors are used. The are as follows: Factor 1. width of the bust Factor 2. height of the bust and length of the arm Factor 3. side thickness of the bust and the upside type Factor 4. length of the bust on the front Factor 5. length of the bust on the back Factor 6. salient ratio of the breast Factor 7. width of the neck. the armhole, and measurement of the droop Factor 8. length of the shoulder Factor 9. flat ratio of the bust Factor 10. inclination of the shoulder factor 11. form of the back The shape of young women's upper bo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character ization of each group are as follows : Group 1 . 28.5% of the women who take part in this investigation belong to Group 1 These women have the shortest body, with a longer length of the front than the back and more thickness on the front than the back. Group 2. 21.1% of the women who take part in this investigation belong to this group. They show a longer length of the back and more thickness of the back than the front. In addition, this group is bent forward. Group 3. This group is the mast common type, showing the shortest and thickest character. 37.8% of the women who take part in this investigation have this bust character Group 4. 12.4% of the women belong to Group 4. They possess the highest and fattest character, skewing smaller necks, armholes, and waists than the other groups. This group also shows the drooping shoulders.

  • PDF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Voice-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gent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 Kim, Ji Geun;Yang, Hyunjung;Lee, Ji-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144-156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designing voice-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gents amid the increasing use of conversational agent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48 participants selected their preferred agent's voice among four types (young women and men, middle-aged women and men) and had a conversation with a psychological counseling agent. They also evaluated the reasons for voice selection, mood changes, perception of the agent's characteristics, and counseling outcomes. As a results, the agent's voice typ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gende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qualitative analysis showed 'comfort' of the voice was an important factor. Next, the user's mood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the conversation with the agent, which confirmed the intervention effect. Finally, it was found that expertness and attractiveness perceptions toward the agent contributed to the counseling outcom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Study of spontaneous blinking for Korean young people (한국인 청년의 자발적 순목에 관한 연구)

  • Kim, Sang Moo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7 no.2
    • /
    • pp.101-105
    • /
    • 2002
  • Spontaneous blinking as a function of visual activ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 with 60 healthy Korean young people(M=30, F=30) was estimated. Spontaneous blink rate of male and female was $19.2{\pm}2.0/min$ and $18.7{\pm}2.0/min$,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blink rate in both contact lens wearer and non-wearer of female and also by various visual activity between female and male. Spontaneous blink rate was changed in response to changes in levels of visual activity and environmental condition such as windiness, rut not changed by light. In the more intense fixation spontaneous blink rate was lesser, but in the stronger windiness, the rate was higher than that in norm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