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엘니뇨.라니냐 현상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232-233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엘니뇨감시해역의 해면수온의 기준치와의 차의 5개월 이동평균치가 6개월 이상 계속하여 $+0.5^{\circ}C$ 이상 이 된 경우를 엘니뇨현상, $-0.5^{\circ}C$ 이하가 된 경우를 라니냐현상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엘니뇨 발생년은 엘니뇨현상이 시작된 해부터 종료된 해까지를, 라니냐 발생년은 라니냐현상이 시작된 해부터 종료된 해까지로 정의한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기간에 대한 태풍의 연평균 발생 수는 25.4개이다. 이는 60년간(1951-2010년)의 연평균 태풍 발생 수 26.3개보다 약 1개 적은 결과로 최근 지구온난화와 관련하여 태풍의 발생 수가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엘니뇨 발생년의 연평균 태풍 발생 수는 23.9개이고, 라니냐 발생년의 그것은 24.9개이다. 적도 부근 서부 태평양의 따뜻한 물이 동쪽으로 이동하여 동부 태평양의 해면수온이 평년 이상으로 높아지는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의 발생 수가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El Ni$\tilde{n}$o.La Ni$\tilde{n}$a Events and Typhoon - Focused on Typhoon Intensity - (엘니뇨.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 - 태풍 세기를 중심으로 -)

  • Seol,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0-151
    • /
    • 2011
  • 최근 25년간(1986-2010년)의 우리나라 기상청 및 일본 기상청 자료를 사용하여 엘니뇨 라니냐 현상과 태풍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태풍의 세기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태풍의 세기를 나타내는 평균 중심최저기압과 평균 최대풍속은 엘니뇨 발생년에 959.3hPa과 35.8m/s, 라니냐 발생년에 965.5hPa과 33.7m/s 그리고 25년 전 기간에 대하여는 962.3hPa과 35.0m/s이었다. 즉, 엘니뇨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가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의 세기보다 강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균 중심최저기압은 약 6hPa 낮고, 평균 최대풍속은 2.1m/s 강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태풍의 발생 해역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 즉, 엘니뇨 발생년에 태풍은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하고, 라니냐 발생년의 태풍은 동경 150도 이서 해역과 북위 20도 이북 해역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동경 150도 이동 해역과 북위 10도 이남 해역에서 발생한 태풍은 북태평양의 광범위한 고수온역을 보다 장시간 이동하게 되므로 더 강하게 발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Relation of Winter Climate between El-Nino.La-Nina and Sea Surface Temperature in Korea (한국의 겨울 기후 및 해수 온도에 미치는 엘리뇨와 라니냐의 영향)

  • Bak, Byeong-Su;Min, Woo-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5 no.2
    • /
    • pp.143-153
    • /
    • 1999
  • This study is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l-Nino and La-Nina and Kore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ummer and winter,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extraction of the occurrences of El-Nino reveals are 5, but La-Nina reveals 6 years. (2) The tendency of change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or country are about the same, but the anomaly of Janggi and Pusan was much greater than that of Inchon. (3) The anomaly of sea surface temperature around NINO.3 and that of the temperature showed the similar changing tendency, the temperature of Korea has something to do with that of NINO.3sea surface temperature as the correlation of ground temperature with the temperature of sea surface showed 0.06. Anomaly warm winter has something to do with El-Nino because the temperature of our country was high when El-Nino phenomena appeared. But the precipitation over our country is not significant for La-Nina. (4) Temperature in El-Nino year is lower than normal in summer and higher than normal in winter. But precipitation is more in summer and winter of El-Nino year, but it is not significant of La-Nina year.

  • PDF

Relationship between Typhoon and El Niño·La Niña Events (태풍과 엘니뇨·라니냐 현상과의 관계)

  • Seol, Dong-I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6
    • /
    • pp.611-616
    • /
    • 2013
  • This paper studies relationship between typhoon and El Ni$\tilde{n}$o La Ni$\tilde{n}$a events by using 25 years meteorological data of KMA and JMA.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Annual mean number of typhoon's occurrence in El Ni$\tilde{n}$o event year is 23.9, and that in La Ni$\tilde{n}$a event year is 24.9. The number of typhoon's occurrence decreases in El Ni$\tilde{n}$o event year. Mean central minimum pressure and mean maximum wind speed in El Ni$\tilde{n}$o event year are 959.3hPa and 35.8m/s, and those in La Ni$\tilde{n}$a event year are 965.5hPa and 33.7m/s respectively. Intension of typhoon is stronger in El Ni$\tilde{n}$o event year than La Ni$\tilde{n}$a event year. To be more specific mean central minimum pressure is lower 6.2hPa and mean maximum wind speed is stronger 2.1m/s. This result is closely connected with sea area of typhoon's occurrence. Typhoons in El Ni$\tilde{n}$o event year are more likely to occur in east of 150E and south of 10N, but those in La Ni$\tilde{n}$a event year are more likely to occur in 120-150E and north of 20N. Typhoons which occur in east of 150E and south of 10N can be stronger because the typhoons move in broad sea area of high sea surface temperature in western North Pacific.

Impact of IODM and ENSO on the East Asian Monsoon: Simulations through NCAR Community Atmospheric Model (동아시아 몬순 지역에서 IODM과 ENSO의 영향 : NCAR Community Atmospheric Model을 이용한 모의 실험)

  • Oh J.-H.;Chaudhari H. S.;Kripalani R. H.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7 no.4
    • /
    • pp.240-249
    • /
    • 2005
  • The normal Indian Ocean is characterized by warmer waters over the eastern region and cooler waters over the western region. Changes in sea surface temperature (SST) over the western and eastern Indian Ocean give birth to a phenomenon now referred to as the Indian Ocean Dipole Mode (IODM). The positive phase of this mode is characterized by positive SST anomalies over the western Indian Ocean and negative anomalies over the southeastern Indian Ocean, while the negative phase is characterized by a reversed SST anomaly pattern. On the other hand, the normal Pacific Ocean has warm (cool) waters over the western (eastern) parts. Positive (negative) SST anomalies over the central/eastern (western) Pacific Ocean characterize the E1 Nino phenomenon. The reverse situation leads to the La Nina phenomenon. The coupled ocean-atmosphere phenomenon over the Pacific is referred to as the E1 Nino Southern Oscillation (ENSO) phenomenon. In this study the impact of IODM and ENSO on the East Asian monsoon variability has been studied using observational data and using the Community Atmospheric Model (CAM) of the National Center for Atmospheric Research (NCAR). Five sets of mod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nomalous SST patterns associated with IODM/ENSO superimposed on the climatological SSTs. The empirical and dynamic approaches reveal that it takes about 3-4 seasons fur the peak IODM mode to influence the summer monsoon activity over East Asia. On the other hand, the impact of ENSO on the East Asian monsoon could occur simultaneously. Further, the negative (positive) phase of IODM and E1 Nino (La Nina) over the Pacific enhances (suppresses) monsoon activity over the Korea-Japan Sector. Alternatively, IODM appears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monsoon variability over China. However, El Nino (La Nina) suppresses (enhances) monsoon activity over China. While the IODM appears to influence the North Pacific subtropical high, ENSO appears to influence the Aleutian low over the northwest Pacific. Thus, the moisture supply towards East Asia from the Pacific is determined by the strengthening/weakening of the subtropical high and the Aleutian low.

Long-term Predictability for El Nino/La Nina using PNU/CME CGCM (PNU/CME CGCM을 이용한 엘니뇨/라니냐 장기 예측성 연구)

  • Jeong, Hye-In;Ahn, Joong-Bae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12 no.3
    • /
    • pp.170-177
    • /
    • 2007
  • In this study, the long-term predictability of El Nino and La Nina event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PNU/CME CGCM) developed from a Research and Development Grant funded by Korea Meteorology Administration(KMA)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model and observation and skill scores at the tropical Pacific. For the purpose, long-term global climate was hindcasted using PNU/CME CGCM for 12 months starting from April, July, October and January(APR RUN, JUL RUN, OCT RUN and JAN RUN, respectively) of each and every years between 1979 and 2004. Each 12-month hindcast consisted of 5 ensemble members.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12-month lead hindcasts at the equatorial Pacific for the four RUNs starting at different months. It is found that the predictability of our CGCM in forecasting equatorial SST anomalies is more pronounced within 6-month of lead time, in particular. For the assessment of model capability in predicting El Nino and La Nina, various skill scores such as Hit rates and False Alarm rate a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PNU/CME CGCM has a good predictability in forecasting warm and cold events, in spite of relatively poor capability in predicting normal state of equatorial Pacific. The predictability of our CGCM was also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GCMs participating DEMETER project. The comparative analysis also illustrated that our CGCM has reasonable long-term predictability comparable to the DEMETER participating CGCMs. As a conclusion, PNU/CME CGCM can predict El Nino and La Nina events at least 12 months ahead in terms of NIino 3.4 SST anomaly, showing much better predictability within 6-month of leading time.

Relationship between El Nino and La Nina Phenomena and the Number of Typhoons Which have Affected on Korea (엘니뇨 . 라니냐현상과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친 태풍 수와의 관계에 대하여)

  • 설동일;김규만;이광재;이동춘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7 no.1
    • /
    • pp.1-6
    • /
    • 2001
  • Recently, EI nino and La nina phenomena have known as a cause of the unusual weather and meterological disasters in the world. The meteorological disasters in Korea have mainly caused by typhoons.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I Nino and La Nina phenomena and the number of typhoons which have affected on Korea using the long-term data for the period from 1940 to 1999 (60 years) in case of normal years, EI Nino years and La Nina years, the numbers of typhoons which have affected on Korea are 3.1/year, 2.7/year and 3.9/year respectively. The number of typhoons which have affected on Korea in La Nina years is more than those in EI Nino years and normal years The occurrence rate of typhoon in La Nina years is also higher than those in EI Nino years and normal years.

  • PDF

The Assessment of Global Data Application on the South Korea (전지구 자료의 국내 적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Son, Kyung-Hwan;Lee, Byung-Ju;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4-168
    • /
    • 201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 엘니뇨 및 라니냐 등의 현상은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기상재해를 유발시키고 있으며, 피해규모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기후변화가 국지적이 아닌 전지구적인 형태로 발생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한 수자원 영향 평가를 위해서는 인접 국가들과의 연계분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찍이 국내에서는 국가규모의 수문해석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나, 국외 지역의 지형특성 및 기상조건에 대한 자료 획득과 전구수문해석이 가능한 적정 수문모형활용의 어려움으로 그동안 등한시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 규모의 유출해석에 필요한 전지구 자료를 구축하고 자료의 가용성을 판단하기위해 국내를 대상으로 유출해석을 수행하여 모의 결과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모의를 위해 전세계적으로 국가규모의 해석에 있어 적용성이 검증된 지표수문해석모형을 활용하였으며, 관측유량 대비 모의유량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일별 유출해석 시 정확도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간별(10일 및 월별 등) 분석 에서는 신뢰할 만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지구 자료를 활용하여 국외 수문해석을 수행할 경우 사전에 자료 품질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며, 기간별 수문해석을 통해 모의 결과를 활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Flood and Inundation Prediction using Forecasted Rainfall of the WRF Model (WRF 예측강우를 활용한 홍수 및 침수예측에 관한 연구)

  • Yoon, Seong-Sim;Phuong, Tran Anh;Bae, Deq-Hy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63-267
    • /
    • 2010
  • 최근 지구온난화, 엘니뇨 및 라니냐 등 지구환경 변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지구상의 많은 지역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예외 없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피해를 경감하기 위해서 홍수조절용 다목적 댐 건설과 같은 구조적 대책과 홍수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홍수예경보 시스템 구축과 같은 비구조적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홍수예경보 시스템은 강우 관측치를 강우-유출 모형 및 수리해석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홍수량 및 홍수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운영된다. 그러나 집중호우와 같은 악기상 조건에서는 관측강우자료를 이용한 유출해석 결과로 홍수예경보 시스템을 운영 할 경우 예방 대응시간의 부족으로 인해 방재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미래에 발생할 강우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유출 모형과 연계하여 홍수발생 이전에 홍수발생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홍수 모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규모 수치예보모형인 WRF 모형(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model)으로 모의된 2007년 태풍 '나리' 사상의 예측강우를 이용하여 유역평균강우를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예측강우를 도시유역유출모형인 SWMM과 2차원 침수모의가 가능하도록 개선한 CASC2D 모형에 활용하여 침수현상을 모의하였다. 실제 침수흔적과 모의된 결과의 비교를 통해 예측강우를 이용한 침수예측 및 홍수예보의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과소추정된 예측강우의 영향으로 인해 모의된 침수심이 실제보다 작게 발생하였으나 침수발생 위치는 대체적으로 정확하게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ong-term Precipitation Series Prediction Using Global Climate Indices in South Korea (장기 강우 예측을 위한 전지구적 기상인자 선정 및 시계열 모형 구축)

  • Kim, Taereem;Seo, Jungho;Joo, Kyungwo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16
    • /
    • 2017
  • 기후 시스템의 다양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대표적 현상인 강우는 수문학적 분석 과정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장기 강우를 예측하는 것은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에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강우는 장기적으로 지구의 대기-해양 순환 패턴의 영향을 받으며, 특히 엘니뇨와 라니냐와 같은 기상 이변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순환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강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구의 순환 패턴 특성을 수치화한 전지구적 기상인자 중에서 우리나라 장기 강우를 예측하기 위한 기상인자를 선정하고 시계열 모형 구축을 통하여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강우에 내재된 다양한 대기-해양 순환 패턴으로부터 나타나는 주기적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사용하여 강우를 분해한 후, 각 분해된 강우자료와 전지구적 기상인자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높은 상관성을 가진 기상인자를 선별하고 단계식 변수선택법으로부터 유의미한 기상인자를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 기상청 60개 지점의 월별 강우자료 중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상인자를 선정할 수 있었으며, 선정된 기상인 자로 구축된 시계열 모형을 통해 우리나라 장기 강우를 예측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