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 분리

검색결과 1,541건 처리시간 0.025초

제올라이트 막의 제조 및 응용 (Preparations and Applications of Zeolite Membranes)

  • 박상언;장종산;노현석;정광순
    • 멤브레인
    • /
    • 제8권4호
    • /
    • pp.177-190
    • /
    • 1998
  • 화학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많은 양의 에너지가 요구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고갈문제가 급부상하였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활용 할 수 있는 경제적으로 선택적인 화학공정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높은 전환율과 선택적인 화학공정의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을 증대시켜 에너지를 절약하고 부산물이 적은 보다 청결한 화학공정으로의 전환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무기막의 분리 능력과 촉매의 활성을 결합하여 촉매반응과 반응물 및 생성물의 분리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무기막 촉매 기술이 최근 들어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와 함께 3차원의 미세세공 세공구조를 갖는 결정성 제올라이트를 무기막 형태의 필름으로 제조해 제올라이트의 분자체로서의 기능과 함게 소재로서 활용하고자 하은 연구가 최근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고찰에서는 최근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제올라이트 막과 필름의 제조, 그리고 분리막 및 촉매로서의 응용 기술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저압용 vertex tube의 기하학적형상에 따른 에너지 분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ergy Separation in the Geometric Setup of a Low Pressure Vortex Tube)

  • 오동진;류정인
    • 에너지공학
    • /
    • 제11권3호
    • /
    • pp.276-282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압축공기를 작동매체로 한 저압용 vortex tube에 대한 에너지분리 과정을 상세히 연구하였다. 먼저 vortex tube에서 에너지 분리되어 나오는 온공기와 냉공기의 온도변화에 대하여 실험하였고, vortex tube의 안쪽표면의 최대벽면온도 변화와 vortex tube내의 온도분포를 통하여 vortex tube내 유동장에서의 정체점의 위치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게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vortex tube의 최적 길이와 throttle의 형상, sleeve에 따른 에너지분리과정 등을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디젤기관의 배기에 적용하기 위한 외통을 사용하였다. 이때 vortex tube에서 나오는 은공기가 180$^{\circ}$돌아 나오면서 vortex tube의 바깥쪽 벽면을 가열하게 된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을 통하여 에너지분리효과가 증대됨으로 인하여 디젤기관의 배기가스에 적용 시 고온유동의 온도를 높이고자함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한다.

습식 화학 공정에 의한 태양전지로부터 고순도 실리콘 회수 및 이를 이용한 태양전지 재제조 (Photovoltaic Performance of Crystalline Silicon Recovered from Solar Cell Using Various Chemical Concentrations in a Multi-Stage Process)

  • 노민호;이준규;안영수;여정구;이진석;강기환;조철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697-702
    • /
    • 2019
  • In this study, using a wet chemical process, we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solution concentrations in removing layers from a solar cell, which is necessary for recovery of high-purity silicon. A 4-step wet etching process is applied to a 6-inch back surface field(BSF) solar cell. The metal electrode is removed in the first and second steps of the process, and the anti-reflection coating(ARC) is removed in the third step. In the fourth step, high purity silicon is recovered by simultaneously removing the emitter and the BSF layer from the solar cell. It is confirm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ICP-MS) and 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SIMS) analyses that the effectiveness of layer removal increases with increasing chemical concentrations. The purity of silicon recovered through the process, using the optimal concentration for each process, is analyzed using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scopy(ICP-AES). In addition, the silicon wafer is recovered through optimum etching conditions for silicon recovery, and the solar cell is remanufactured using this recovered silicon wafer. The efficiency of the remanufactured solar cell is very similar to that of a commercial wafer-based solar cell, and sufficient for use in the PV industry.

태양광 모듈 표면 온도 제어에 따른 백시트 박리 거동 (Peeling Behavior of Backsheet according to Surface Temperature of Photovoltaic Module)

  • 김정훈;이준규;안영수;여정구;이진석;강기환;조철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11호
    • /
    • pp.703-708
    • /
    • 201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ling behavior of the backsheet of a photovoltaic(PV) module and its surface temperature in order facilitate removal of the backsheet from the PV module. At low temperatures, the backsheet does not peel off whereas, at high temperatures, part of the backsheet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PV module after the peeling process. The backsheet material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PV module is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XRD) analysis to be poly-ethylene(P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 is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of the layers of the PV module. In particular, DSC provides the melting temperature($T_m$) of laminated ethylene vinyl acetate(EVA) and of the backsheet on the PV module. It is found that the backsheet does not peel off below the $T_m$ of ethylene of EVA, while the PE layer of the backsheet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PV module above the $T_m$ of the PE. Thus, the backsheet is best removed at a temperature between the $T_m$ of ethylene and that of PE layer.

기름/물 분리막 기술에 대한 총설 (Review on Oil/Water Separation Membrane Technology)

  • 이병희;라즈쿠마 파텔
    • 멤브레인
    • /
    • 제30권6호
    • /
    • pp.359-372
    • /
    • 2020
  • 기름/물 분리막은 다른 분리 기술들에 비해 낮은 에너지 비용과 높은 성능 수준을 갖고 있다. 초친수성과 수중에서 소유성은 효과적인 기름/물 분리막을 개발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더불어 방오속성과 생분해성도 효과적인 기름/물 분리막을 개발할 때에 고려되는 중요한 요소들이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다양한 화학성분과 형태를 변형시켜 개발된 기름/물 분리막의 특성과 분리 효율을 개선한 연구들을 소개한다.

막 기반 수소동위원소 분리 연구에 대한 총설 (A Brief Review on Membrane-Based Hydrogen Isotope Separation)

  • 소순형;김대우
    • 멤브레인
    • /
    • 제34권2호
    • /
    • pp.114-123
    • /
    • 2024
  • 수소 동위 원소는 중성자 수에 따라 경수소, 중수소, 삼중수소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각 원소는 특정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중수소는 전자 산업, 원자력에너지 산업, 분석기술 산업, 의약품 산업, 그리고 통신 산업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냉각 증류, 열 주기 흡수 공정, Girdler sulfide 공정, 그리고 수전해와 같은 기존의 방법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공정에 기반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는 기술을 기반으로 분리하는 공정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런 맥락에서 막을 사용한 수소 동위 원소 분리 기술이 에너지 소비를 줄이는 유망한 해결책 중 하나라 볼 수 있다. 이 총설에서는 분리막을 활용한 수소 동위원소 분리에 관한 선행 연구와 그들의 작동 원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최근 제시되고 있는, 그래핀 기반 전기적 펌핑을 통한 수소 동위원소 분리기술에 대하여 다루고자 한다. 분리막을 활용한 수소 동위원소 분리에 대한 기술은 이제 개념이 제안되기 시작한 단계이며, 많은 부분에서 해결해야 할 난제가 있다. 그러나 이를 달성할 경우 경제적인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CO_2$ 흡수용 $100Nm^3$/hr급 Vortex Tube의 에너지분리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ergy Separation of the $100Nm^3$/hr Vortex Tube for $CO_2$ Absorption)

  • 김창수;한근희;박성영
    • 청정기술
    • /
    • 제16권3호
    • /
    • pp.213-219
    • /
    • 2010
  • 볼텍스튜브는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고온 가스와 저온 가스를 분리하거나 입자상 물질의 분리에 사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볼텍스튜브의 에너지분리 특성과 물질분리 특성을 활용하여, 연소가스로부터 $CO_2$를 흡수하는 장치의 핵심부품으로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_2$ 흡수용 볼텍스튜브의 기본설계 자료를 구축하기 위하여 에너지분리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볼텍스 발생기의 오리피스 직경, 노즐면적비 및 튜브의 길이가 에너지분리 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오리피스 직경이 볼텍스튜브의 성능에 지배적인 설계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노즐면적비와 튜브길이의 영향력은 미미하였다. 오리피스 직경이 작고(Dc=0.6D), 노즐면적비가 중간 이상(AR=0.14~0.16)이며, 튜브 길이가 긴 모델(L=16D)이 저온 출구 측과 고온 출구 측의 열전달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CO_2$흡수용 $100Nm^3$/hr급 볼텍스튜브의 기본설계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볼텍스튜브를 적용한 $CO_2$흡수 공정을 적용하면 기존의 대형 흡수탑 대비 상당한 공간과 에너지의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소형지주에 충돌하는 차량의 속도변화 산정방법과 영향인자 (Calculation Method and Influence Factor for Speed Change of a Vehicle Impacting Small Sign Post)

  • 고만기;김기동;전성민;성정곤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47-52
    • /
    • 2008
  • Breakaway 단부장치 설계에 중요한 요소가 충돌 차량의 속도변화이다. 이는 충돌실험이나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서 구할 수 있으나 에너지와 운동량 보존의 법칙을 이용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계산할 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와 운동량 보존의 법칙에 기초한 지주와 소형차 충돌 시 속도변화를 계산하는 식을 유도하였다. 이를 이용한 민감도 분석을 통하여 지주 단부의 분리하중, 파괴에너지, 차량의 강도 와 충돌속도가 소형지주에 충돌하는 차량의 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지주 단부가 기초에 고정된 정도를 나타내는 분리력 및 분리파괴에너지(Breakaway Fracture Energy)가 클수록 속도변화가 크고 충돌속도의 크기가 작을수록 속도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공기공급 시스템에 적용되는 Vortex Tube의 에너지 분리특성에 관한 연구( I ) -저온출구 orifice의 직경변화에 의한 영향-

  • 추홍록;상희선;김순재
    • 한국산업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안전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3-18
    • /
    • 1998
  • vortex tube는 간단한 구조의 관을 이용하여 어떠한 화학작용이나 연소작용 없이 압축유체를 저온 및 고온부분으로 분리하는 에너지 분리장치이다. 금속학자 Georges Joseph Ranque에 의해 vortex tube의 에너지분리 현상이 발견된 후 vortex tube는 공작기계에 의한 금속가공에 있어서 가공물의 열변형을 막기 위한 국소냉각, 금형제품의 급속냉각 또는 냉각복(air cooling jacket)에 사용하거나 공기공급식 호흡보호구의 공기공급시스템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vortex tube를 이용한 냉각복 및 호흡보호구는 소형, 경량으로서 근로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간단하고, 열기가 신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안전하고, 냉각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매우 경제적이어서 그 이용률이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중략)

  • PDF

컨버징/다이버징 튜브를 적용한 에너지분리 특성 (Energy Separation Characteristics of Vortex tube with Converging/Diverging Tube)

  • 허혜성;김창수;이영선;박성영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600-603
    • /
    • 2011
  • 볼텍스 튜브는 고압의 가스를 이용하여 고온 가스와 저온 가스로 에너지를 분리하거나 입자상 물질의 분리에 사용 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컨버징튜브($D_{in}$=10mm, $D_{out}$=6mm)와 다이버징튜브($D_{in}$=6mm, $D_{out}$=10mm)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에 제작된 베이스튜브(D=6, 10mm)를 기준으로 하여 컨버징 튜브와 다이버징 튜브의 에너지분리 특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튜브의 입구직경보다 출구직경이 커지는 다이버징 튜브에서 우수한 성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