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및 연료 기술

Search Result 64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MBOP for 125 kW Molten Carbonate Fuel Cell (125kW급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MBOP 개발 및 성능평가결과)

  • Kang, Seung Won;Lee, Junghyun;Kim, Beumju;Kim, Do-Hyung;Kim, Eui-Hwan;Lim, Hee Ch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130.2-130.2
    • /
    • 2010
  • 한전 전력연구원에서는 2009년 12월부터 125 kW급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한 운전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250 kW급 열병합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Proto Type개발" 과제의 최종시작품인 250 kW급 발전시스템은 125 kW급 MCFC 스택 2기로 설계되어, 125 kW급 시스템의 시험운전은 매우 중요한 기술적 성과가 될 것이다. 현재 125 kW급 MCFC 스택은 10,000 $cm^2$의 유효전극면적을 갖는 단위전지들로 구성되었으며, 적층 스택의 온도 및 농도분포의 최적화를 위해 내부 매니폴드 및 Co-flow Type 열교환기 기반의 분리판을 개발 적용하였다. 연료극의 전극 구성은 Ni-Al alloy로, 공기극의 전극 구성은 Lithiated-NiO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매트릭스는 ${\alpha}-LiAlO_2$로 제작되었고, 전해질은 Li과 K Carbonate가 68 : 32 비율로 섞인 용융염을 사용하였다. 본 125 kW급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시스템의 운전평가는 고적층 스택의 온도 및 농도 분포를 확인하고, 최적화된 스택 운전 조건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125kW급 스택 1기의 규모의 주변기기 시스템은 외부개질기, 촉매연소기, 이젝터, 고온순환 블로어 및 공기블로어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온형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연료극과 공기극의 균일한 온도 및 압력 확보는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외부개질기 및 촉매연소기 연동을 통한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고, 기존 고온용 순환 블로어 대신 이젝터를 개발 도입하여 압력균형을 조절하였다. 125kW급 MCFC 시스템은 2009년 12월부터 전처리 운전을 시작하여 2010년 1월 말부터 PCS로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평균전압 0.83V에서 100kW의 출력을 기록하였으며, 피크부하 120 kW, 누적출력량 30 MWh를 초과달성하였다.

  • PDF

R&D trends for green catalytic technology developments (그린에너지 촉매 기술개발 동향분석)

  • Oh, Nak-Ky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11
    • /
    • pp.6518-6526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complete picture of green catalytic technology developments. The data set for analysis was collected from the data from 4,172 patents, 28,726 technical papers and 548 Government R&D projects. The covering periods were 2001 to 2012 for patents and technical papers, whereas while that for the Government R&D projects were 2001 to 2011. The analysis methodologies consisted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he patent for catalytic technology has been increasing, even though it was developed some time ago. The increase in patents for catalytic technology has been outstanding since 2008.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atents, fuel cell comprised 41.9%, followed by coal liquefaction 23.6%. The analysis of technical papers ranked fuel cell ranked 1st, followed by hydrogen. Fuel cells, hydrogen and coal liquefaction outperformed in green catalytic technological developm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apparently concluded that the speed for the green economy from the fossil fuel-based economy has accelerated.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early realization of a green energy-based economy on a variety of aspects as soon as possible.

Development of planar Fuel Cell Separator and Reformer (발전용 평판형 연료전지 분리판 및 내부개질기 개발)

  • Lee, Jeungwoo;Heo, Kyuchul;Cha, Jungeun;Lee, Sanghyun;Hwang, Jungtae;Jo, Sungho;Jung, Byungs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91.2-91.2
    • /
    • 2010
  • SOFC는 높은 반응온도($600{\sim}1000^{\circ}C$)에서 작동되어 발전효율이 높고 다양한 연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고온에서의 운전은 구성요소의 열변형과 온도구배에 의한 전극촉매의 열화 그리고 밀봉재의 수명에 영향을 주어 결국 스택의 내구성을 감소시킨다. 특히 스택의 온도구배가 심화되면 국부적인 Hot spot를 형성하여 셀에 심각한 손상을 주게 된다. 본 과제에서는 SOFC 스택의 온도구배를 완화시키기 위한 내부개질기의 개발 및 고온용 분리판 소재의 정밀성형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열/유동해석을 통하여 반응가스의 농도, 유속, 구조변경 등 내부개질기 온도구배에 대한 주요인자를 확인하였고, 장기 운전평가를 통하여 개질 촉매의 고온 활성 및 내구성에 대한 성능평가를 진행 중이다. 분리판의 경우, 고온용 소재(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에 대한 기초실험을 실시하여 성형품질의 주요 인자를 파악하였으며 Proto-type 금형 설계 및 개발을 통하여 성형 기초기술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스택 내부온도를 구현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설계 중에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개발된 내부개질기 및 분리판을 스택 운전환경에서 평가할 예정이다.

  • PDF

The Status and Prospect of Technical Development of CTL (Coal-to-Liquid) in Korea (CTL (Coal-to-Liquid) 국내 기술 개발 현황)

  • Kim, Hak-Joo;Jung, Heon;Lee, Ho-Tae;Chun, Dong-Hyun;Lee, Chang-Keun;Lee, Jea-G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61-461
    • /
    • 2007
  • 석탄을 합성석유로 전환시키는 석탄액화(CTL) 공장은 2차 세계대전시 독일 및 영국에서 가동되어 대량의 연료를 공급한 바 있다. 전후 대형 유전이 발견되어 값싼 석유가 공급되면서 CTL 공장의 운전은 중단되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Sasol사만이 유일하게 1955년에 CTL공장의 조업을 시작하여 현재 하루 15만배럴의 석탄합성석유를 생산하고 있다. 최근 고유가가 지속되고 석유공급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여러 개의 석탄액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석탄합성석유를 연간 3천만톤(60만배렬/일) 생산할 계획을 수립하였고, 2만배럴/일 규모의 석탄직접액화공장이 2008년 완공될 예정이다. 미국에서도 8개의 CTL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호주,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 등에서도 석탄액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석유를 전량 수입하는 우리나라도 에너지안보 차원에서 CTL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석탄 기준 10톤/일급 석탄 합성석유 생산 공정 설계, 설비 시공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Current Status and Technical Development for Di-Methyl Ether as a New and Renewable Energy (신재생 에너지로서 DME 기술개발 현황)

  • Cho, Wonjun;Kim, Seung-Soo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0 no.4
    • /
    • pp.355-362
    • /
    • 2009
  • Fuels based on petroleum will eventually run out in the near future. DME (Di-methyl Ether) is a clean energy source that can be manufactured from various raw materials such as natural gas, coal as well as biomass. As DME has no carbon-carbon bond in its molecular structure and is an oxygenate fuel, its combustion essentially generates no soot as well as no SOx. Because the physical properties of DME are similar to those of LPG, the LPG distribution infrastructure can be converted to use with DME. DME has such high cetane number of 55~60 that it can be used as a diesel engine fuel. Practical use of DME as a next-generation clean fuel or next-generation chemical feedstock is advancing in the fields of power generation, diesel engines, household use, and fuel cells, among oth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review the characteristics, standardization, statu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of DME.

Current Patents and Papers Research Trend of Fuel Cell Membrane (특허 및 논문 게재 분석을 통한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의 연구동향)

  • Woo, Chang Hwa
    • Membrane Journal
    • /
    • v.26 no.6
    • /
    • pp.407-420
    • /
    • 2016
  • The fuel cell technology as a green energy source has been actively studied to solve energy shortages and pollution problems. The generating efficiency of fuel cell is high because the electricity is directly produced by using hydrogen and oxygen and the additional power generator is not needed. The key technology i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system. The Nafion, perfluoro-based polymeric membrane is mainly used as a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owever, the Nafion is expensive and rapidly decreases the performance of Nafion at high temperature. So, many researchers are lively studying new alternative electrolyte membranes. In this review, through the technology competitiveness evaluation of patents and papers, the frequencies of presentation are filed by country, institution and company. In additi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direct methanol fuel cell and alkaline fuel cell are also filed.

RDF combustion in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s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RDF 연소연구)

  • Shun, Dowon;Bae, Dal Hee;Jo, Sungho;Lee, Seung Yong;Park, Jae-Hy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186.2-186.2
    • /
    • 2011
  • RDF 연료의 열이용은 2003 폐플라스틱 고형연료 사용에 관한 고시가 나온이후 생산과 이용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원주, 대구, 부산 등 각 지역의 RDF 생산시설 구축 및 열병합 보일러 건설사업의 추진으로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순환유동층 시범 연소로에서 RDF를 전용으로 연소하여 그 연소특성을 고찰하고 상용 보일러 설계를 위한 연소자료를 축적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실험을 위하여 자체로 건설한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수행하였다. 연소 연구에서는 연소특성과 더불어, 환경기술과 연소로의 부식방지에 관한 기술을 고찰하였다. 보일러의 스팀사양은 $300^{\circ}C$와 15ata 이상으로 하였다. 설치된 보일러는 장시간의 운전과 반복 실험을 통해 상용 규모 보일러의 설계에 적용할 연소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연료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생산되는 RPF와 RDF 각 일종을 입수하여 성분을 분석하고 그 특성 자료를 비교하였다. RDF는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뛰어난 연소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배연특성도 연소하는 동안 일정하게 배출되었다. 온도나 압력등 연소 변수는 RDF는 연소실험 동한 안정적인 값을 나타내었다. 대부분의 배연물질은 환경기준을 충족할 수 있었다. 다만 HCl의 배출 특성은 환경 규제치를 넘어 섰으며 별도의 배가스 처리기술을 적용하여 환경기준을 맞출 수 있었다.

  • PDF

Current Progress of Development of $30Nm^3/hr$ Scale Hydrogen Refueling Station with Natural Gas Reformer (천연가스 개질형 $30Nm^3/hr$급 수소스테이션 연구개발 현황)

  • Lee, Young-Chul;Cho, Young-Ah;Park, Dall-Young;Choi, Chung-Hwan;Kim, Jae-Dong;Song, Taek-Yong;Cho, Byoung-Hak;Kim, Dong-Hyeok;Lee, Jung-Sung;Oh, Young-Sam;Hong, Su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25-28
    • /
    • 2006
  • 수소는 청정에너지로서 미래에너지의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기 때문에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은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수소에너지의 핵심인 수소스테이션 관련 기술은 국가연료전지 시장을 비롯한 수소자동차 사업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수소에너지를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수소연료전지자동차 개발과 아울러 수소스테이션 개발에 대한 인프라 구축 및 실증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도 가스공사를 비롯한 에너지 관련 기업에서 수소스테이션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수소인프라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수소스테이션 개발 현황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Intermediate Temperature Fuel Cell Using a Solid Proton Conductor (고체 수소이온 전도체를 이용한 중온형 연료전지 개발)

  • Seo, Dong-Ho;Kim, Hong-Rok;Shakkthivel, P.;Shul, Yong-Gun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 /
    • v.11 no.1
    • /
    • pp.22-32
    • /
    • 2008
  • Because of an emerging importance of clean energy, fuel cells are attract more attention due to their ability to produce high efficient power without any harmful emission. Fuel cells are energy conversion device with directly convert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by the chemical reactions, which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automobile, spacecraft, stationary, industrial and home appliances. Recently there are gaining demand to develop an intermediate temperature fuel cell and available proton conductors at $200{\sim}500^{\circ}C$, which promising operating temperatures range for both material science and energy conversion processes. In this paper, we have review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current technology of solid state proton conductors. In addition, development of intermediate temperature fuel cell using the perovskite-type solid protonic conductor is also discusse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500W Class Anode Support Planar SOFC Stack (500W급 연료극 지지체 평판형 SOFC 스택의 운전특성)

  • Lim Tak-Hyoung;Song Rak-Hyun;Shin Dong-Ryul;Yang Jung-Il;Jeong Hun;Vinke I.C.
    • New & Renewable Energy
    • /
    • v.2 no.2 s.6
    • /
    • pp.44-49
    • /
    • 2006
  • 본 연구는 독일 율리히 연구소에서 도입된 면적 200mm*200mm의 연료극 지지체 평판형 SOFC 셀 및 금속 분리판 5장을 적층하여 500W급 SOFC 스택을 제작하고, 이러한 스택의 운전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도입된 500W급 SOFC 스택은 가스터빈-연료전지 하이브리드 시스템어에 사용되는 5kW급 SOFC 스택의 예비실험을 위한 것으로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압 운전특성을 바탕으로 외국에서 시도된 적이 없는 평판형 SOFC 스택의 가압 운전기술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압형 500W급 SOFC 발전시스템에 대한 구성과 설계, 전반적인 운전 특성평가 (5셀 스택 운전, 연료 전환 $(H_2{\rightarrow}pre-reformed\;gas)$, 500 시간 연속운전 등)가 이뤄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