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경사

Search Result 35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Reflection of Porous Wave Absorber Using Quasi-linear Numerical Model (준선형 수치모델을 이용한 투과성 소파장치의 반사율)

  • Ko, Chang-hyun;Cho, Il-H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0 no.1
    • /
    • pp.1-9
    • /
    • 2018
  • In present study, we suggested the quasi-linear model that linearizes the quadratic drag representing the energy loss across the porous plate. The quasi-linear model was solved by Boundary Element Method (BEM) for development of the porous wave absorber suitable for 2-D wave tank. The drag coefficient at the porous plate was newly obtained through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It is found that the porous wave absorber with porosity 0.1, submergence depth d/h = 0.1, and inclined angle $10^{\circ}{\leq}{\theta}{\leq}20^{\circ}$ shows the effective wave absorption. Using the developed quasi-linear numerical model, the optimal design of various types of a porous wave absorber will be applied.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 in Wood with Vapor Transmission Conditions (투습조건에 따른 목재내 함수율분포)

  • Lee, Weon-Hee;Bae, Hyun-Mi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2
    • /
    • pp.3-9
    • /
    • 2000
  • This study concerns the distribution and dependence of moisture content(MC) in wood for same thickness in different vapor transmission conditions. The specimens were disks of 70-mm in diameter and 20-mm in thickness from quartersawn lumber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en different conditions on the difference of the vapor pressures by the JIS Z-0208. The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 in wood can be illustrated by two straight lines intersecting at the point of about ten percent Me. On the other hand, when more or less than about 10 percent, the distribution of the Me can be illustrated by one straight lin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values of 10 percent Me has no relation to the wood and experimental conditions. It's assumed that 10 percent is the boundary point at which the moisture sorption energy changes. In a previous study, diffusion coefficient is almost constant with no relation to a thickness of the woods for the constant experimental conditions. But, in this study, it seems that diffusion coefficient from the moisture gradient vary with the Me of wood in different vapor transmission conditions.

  • PDF

Numerical simulation on sediment passage of modified labyrinth weir using FLOW-3D (FLOW-3D를 이용한 유사배제 래버린스위어의 수치모의)

  • Im, Jang-Hyuk;Kim, Soo-Young;Lee,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09-709
    • /
    • 2012
  • 보는 하천을 횡단하는 대표적인 수공구조물로써 수위를 유지하여 각종 용수의 취수 기능 및 주운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보를 설치할 경우 상류부의 유속이 점차 감소하여 유사 퇴적이 일어나며, 흐름 정체에 따른 수질 저하 및 수위 상승의 원인을 제공한다. 이러한 보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래버린스 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Hay 등(1970) 연구에 따르면 래버린스 보의 월류능력은 동일 수두 조건에서 선형 보보다 높은 특성을 가진다. 또한 Tsang(2000) 연구에 따르면 큰 유량 및 낮은 월류고 조건에서 폭기 효율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박호상(2009) 연구에 따르면 경사형 마루 래버린스 보가 일반형 래버린스 보의 수심유지 범위보다 더 크며, 산소전달효율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보에서 발생되는 유사퇴적 및 흐름정체 등의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사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흐름의 정체를 해소하는 퇴적방지 구조를 구비한 래버린스 보(현대건설, 2011)를 제안하였다(그림 1, 2 참조). 본 연구에서는 퇴적방지 구조를 구비한 래버린스 보의 홍수안정성 및 유사연속성에 대한 효과를 3차원 수치모형(FLOW-3D)을 통해 분석하였다. 수치모의에 사용된 수로 연장은 9.25 m이고 폭은 0.82 m이며, 상류의 수심변화에 따라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에너지 감세 효과와 상류의 수심을 유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이격된 벽체로 흐르는 유속에 의해 래버린스 보 내의 마찰속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 퇴적방지 구조를 구비한 래버린스 보가 홍수 안정성 및 유사배제에 효과가 있는 기술로써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연구가 수행된다면 수리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통해 설계 인자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기술의 상용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view of water level-discharge relationship applicability using a numerical model (수치모형을 이용한 수위-방류량 관계 적용성 검토)

  • Joo, Sung sik;Kim, Beak min;Koo, Ja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32-332
    • /
    • 2016
  • 수공구조물 설계시 hardware와 software의 발달로 수리계산과 수치해석의 오차율이 감소함에 따라 수치해석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신뢰도가 향상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댐 설계에 있어 수위별 방유량 관계 검토시 수치해석값은 각 수위에 해당하는 몇 개의 유량값을 대응시켜 경향만 비교하고 수리계산 결과를 설계에 반영해 왔다. 이러한 방법은 여수로 주변에 인접구조물이 없고, 여수로 각 수문별 균등한 유량이 방류될 경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여수로 직상류 지형에 만곡부나 지형적 특성이 여수로 방류에 영향을 미치거나, 취수탑 등 여수로에 인접한 수리구조물이 설치되어 접근수로에서 복잡한 유동을 형성하는 경우 각 문비마다 방류량의 분배율은 달라질 수밖에 없고, 수리계산 결과를 일괄 반영하기에는 오차가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댐 운영시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인 수위-방류량 관계에 대하여 수치모형을 이용한 정밀한 분석을 통하여 댐 여수로 운영시 오차율을 저감시키고, 적용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첫째, 수위별 방류량 관계 검토시 여수로 상류에서 일정한 시간에 따라 선형적으로 수위가 증가하도록 경계조건을 설정한 후 3차원 수치해석 모형의 Output data를 단위시간에 따라 수위와 방류량이 산정되도록 하고, 기존 검토 방식대로 각 수위별 모형을 steady 상태로 수행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수리계산과 기존 방식,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에 대한 오차율 검토 결과 오차는 3 % 이내로 검토되었다. 둘째,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수위별 방류량 산정시 접근유속에 대한 영향을 받게 되므로 수리계산시 에너지 경사를 이용하여 수위값을 반영하지만,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수위별 방류량 산정시 경계조건을 부여한 수위값을 반영하거나, 임의의 지점에서의 수위값을 반영하는 경우 등 일괄적이지 않은 수위값을 반영하여 오차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수로 지점별 전수두를 측정하여 방류량 값을 산정하여 비교하였다.

  • PDF

Estimation of Head Loss Coefficients with Change of Invert Type in Four-Way Combining Manholes (4방향 합류맨홀 내부의 인버트 설치에 따른 손실계수 산정)

  • Ryu, Taek Hee;Kim, Jung Soo;Yoon, Sei Eu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65-465
    • /
    • 2016
  • 관거시설은 관거, 맨홀(manhole), 우수토실, 물받이, 연결관, 침투시설, 저류시설, 펌프장 등을 포함하는 시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맨홀은 배수시설의 유지와 관리를 위하여 일정거리마다 설치되고 있으며, 관거의 기점, 방향, 경사 및 관경이 변하는 곳, 단차가 발생하는 곳, 관거가 합류하는 곳에는 반드시 설치한다(환경부, 2011). 그러나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11)에서 합류맨홀의 설치에 관한 사항은 T형 합류맨홀에 관한 개략적인 표만 제시되어 있을 뿐, 4방향 합류맨홀에 대한 구체적인 설치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에너지 손실의 저감 및 배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맨홀내 설치되는 인버트는 미국의 형태 및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으므로 관거시설의 시설의 합리적인 설계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인버트가 설치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흐름특성 및 수두 손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버트가 설치된 4방향 합류맨홀 손실계수 산정 및 흐름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수리실험 장치를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맨홀은 하수도시설기준(환경부, 2011)의 표준 1호 맨홀을 1/5로 축소하였고, 인버트는 설치되지 않은 조건(CASE A), 반원형 인버트(CASE B), U형 인버트(CASE C)를 각각 실험하였으며, 실험유량으로 총 유출량 (Qout)은 $2{\sim}5{\ell}/sec$, 총 유출량에 대한 측면 유입량($Q_{Lat}$)의 비($Q_{Lat}/Q_{out}$)는 0~1 조건으로 변화시키면서 흐름특성 및 손실계수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측면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CASE B와 CASE C는 CASE A보다 맨홀 내 수심이 약 3~7%정도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측면유량비의 증가에 따른 손실계수 산정 결과, CASE B는 CASE A 보다 약 30%정도 손실계수가 증가하였으며, CASE C는 CASE A보다 약 35%정도 손실계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인버트의 형상이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손실 저감 및 배수능력을 증대시키기 보다는 오히려 맨홀 내 통수능력을 저하시켜 4방향 합류맨홀에서의 배수능력을 저감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기 사용되는 인버트의 개선이 필요하며 관거시설의 배수능력을 증대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개선된 인버트의 형상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Fracture Tensor Component and First Invariant on Block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2-D Discrete Fracture Network Systems (절리텐서의 성분 및 일차불변량이 2-D DFN 시스템의 블록수리전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

  • Um, Jeong-Gi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1
    • /
    • pp.81-90
    • /
    • 2019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racture tensor component and first invariant on block hydraulic behaviors are evaluated in the 2-D DFN(discrete fracture network) systems.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between connected fracture tensor components and block hydraulic conductivities estimated at every $30^{\circ}$ hydraulic gradient directions for a total of 36 DFN systems having various joint density and size distribution. The directional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seems to have strong relation with the fracture tensor component estimated in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 It is found that an equivalent continuum approach could be acceptable for the 2-D DFN systems under condition that the first invariant of fracture tensor is more than 2.0~2.5. The first invariant of fracture tensor seems highly correlated with average block hydraulic conductivity and can be used to evaluat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2-D DFN systems. Also, a possibility of upscaling using the first invariant of fracture tensor for the DFN system is addressed through this study.

Rockfall Behavior with Catchment Area Condition (포집공간 조건에 따른 낙석의 거동)

  • Lee, Jundae;Kwon, Youngcheul;Bae,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
    • /
    • pp.35-42
    • /
    • 2019
  • Various development works inevitably increase cutting slopes due to land use, and many of trails managed by different authorities are being deteriorated by long-term weathering. Collapse of slopes causes unavoidable damage of property and loss of lives because of its uncertainty and difficulty in predicting its occurrence. In order to overcome the unavoidability, America, Japan, and several European nations analyze the kinetic energy and moving distance when rocks of upper slope move along the inclined plane, via field tests and computerized interpretation of the test results. Also, they are making efforts to develop measures with which the kinetic energy of the rocks moving along the slope is absorbed and fails to reach to specific structures. However, domestic researches just focus on fragmentary prediction of rockfall using existing programs, and there have been few approaches to identify interpret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domestic cases or determination of parameters. In this context, we in this study defined rockfall types and affecting factors and analyzed effects of parameters using a general-purpose rockfall simulation program to understand principles of rockfall and to estimat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Proposal of a New Experimental Method for Evaluating the Stability of Armor Blocks (소파블록의 안정성 평가에 대한 새로운 실험방법 제안)

  • Kim, Shinwoong;Lee, Seong-Dae;Lee, Kw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3 no.3
    • /
    • pp.131-138
    • /
    • 2021
  • The armor blocks are used to protect the body of the structure and dissipate wave energies, so it is crucial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armor unit. The stability of armor blocks has been mainly evaluated through empirical coefficients called the stability coefficient obtained from hydraulic model experiments. In this study, a new type of single-layered armor block called K-Block was proposed, and a new experimental method based on the pull-out force was proposed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the armor unit, including the interlocking effects. The pull-out force test proposed in this study directly measures the force required to separate the armor unit from the armored layer on the slope by applying a tensile for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the installed armor unit. The proposed experimental method confirmed that the interlocking effects of the armor block could be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the high stability of the K-Block was verified.

Development of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er Module for Slope Vulnerability Assessment and Correlation of Its Results with Standard Penetration Test Values (비탈면 취약도 평가를 위한 동적콘관입시험기 모듈개발과 표준관입시험값과의 상관관계 연구)

  • Chae, Hwi-Young;Kwon, Soon-da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1 no.4
    • /
    • pp.541-547
    • /
    • 2021
  • To assess the stability of a slope and the likelihood of its loss or collapse requires information about the ground, such as the composition of the stratum and its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is information is generally gathered through standard penetration testing (SPT) and cone penetration testing. SPT is not widely used due to problems with accessing slopes, most of which are steep and without ramps. A drop cone penetrometer, a portable device that can make up for these shortcomings, can be used in a limited way in some circumstances. Therefore, we developed a portable drilling machine and a small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 module that can easily access a slope site and perform SPT. The correlation of the developed system's results with those from SPT was analyzed.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ergy shear rate passing to the load during the different test types established that the energy shear rate is reflected in the test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corrected dynamic cone penetration testing and corrected SPT was Nd' = 3.13 N'.

Study on driftwood behavior considering wood collision and bed deformation (충돌과 하상변동을 고려한 유목거동 연구)

  • Kang, Tae Un;Jang, Cha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5
    • /
    • 2021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예측이 어려운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국지성 호우는 대량의 홍수를 일으키고 산사태와 유송잡물을 동반한 흐름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인근의 초목과 식생들로부터 유목(driftwood)이 발생하기도 한다. 유목이 흐름과 함께 떠내려 오게 되면 그로 인한 운동에너지가 크게 발생하게 되며, 수공구조물과 주택가옥 등에 충돌시, 순수한 수류의 충돌보다 훨씬 큰 손상을 주기도 한다. 또한 유목이 수공구조물 인근 하상에 군집하면 통수능을 저하시키기도 하며 식생효과와 마찬가지로 유목주변으로 유속이 증가하면서 세굴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하상저하를 일으키며 수공구조물의 안정성에 지속적으로 피해를 줄 수 있다. 특히 군집된 유목들이 교각에 충격을 주면 흐름방향으로 교각에 작용하는 외력을 증가시키게 되고 군집된 유목들이 다른 유목들을 연쇄적으로 포착하는 동시에 흐름을 지속적으로 방해하여 수위상승을 야기하게 된다. 이는 유목주변으로 세굴을 발생시켜 교량의 붕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일본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하천유역의 경사가 매우 급하기 때문에 홍수발생시 산사태와 유송잡물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대량의 유목들이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천의 수공구조물과 주거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유목의 거동과 군집현상을 이해하여 사전에 유목거동의 예측과 유목과 하상변동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유목에 의한 수리구조물 피해를 예측하는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유목의 거동과 군집양상을 예측분석하기 위해 유목과 흐름의 이동상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유목유입량에 따른 하상변동과 유목의 하상퇴적양상 및 다양한 거동을 관측분석 하였다. 특히, 유목간의 상호충돌과 측벽충돌을 고려하는 수치모듈을 유목동역학모형에 적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이동상 하상에서의 유목의 군집과정을 분석하고 수치해석의 한계와 개선사항들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