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엉덩이 둘레

Search Result 10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f Somatotype Discrimination for Middle-aged Women (중년여성의 체형분류 및 판별에 관한 연구)

  • Kim, Sora;Jo, Jin-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33-1644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들의 체형을 분류하고 이들 체형을 분류하는 판별기준을 세우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판별방법은 중년여성들의 체형을 간편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이 방법을 활용하여 중년여성복을 제작할 경우, 소비자들은 인체적합도가 높은 의복을 구입 할 수 있고 의류업 체들은 이에 따른 매출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연구의 진행절차와 이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 40세~59세 중년여성 279명에 대 한 인체 계측을 하였다. 인체 계측항목은 34개의 직접 계측항목과 측면사진 촬영을 통한 3개의 간접계측항목,11개의 지수치, 5개의 계산치 등의 총 53개 항목이다. 인체 계측치에 대한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분산분석과 SNK검정, 판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2. 피험자는 몇 가지 체형으로 분류되었다. 상반신 체형분류는 인체측면 자세와 유방크기를 분류기준으로 하여 바른-유방중소 체형, 바른-유방대 체형, 젖힌-유방중소 체형 , 숙인/휜-유방중소 체형, 숙인/휜-유방대 체형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하반신 체형분류는 배와 엉덩이의 돌출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배정상-엉덩이정상 체형, 배 정상-엉덩이돌출 체형, 배돌출-엉덩이정상 체형 , 배돌출-엉덩이돌출 체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3. 분류된 체형은 다음의 판별변수에 따라 체형이 판별되었다. 상반신 체 형 의 판별변수는 앞품/뒤품, 가슴둘레/밑가슴둘레 , 앞길이/뒤 길이, 앞허리선$\longrightarrow$어깨선 길이/어깨선$\longrightarrow$뒤허 리선 길이의 4가지 항목이고, 하반신 판별변수는 엉덩이상부각도, 배 하부각도, 배상부 각도, 엉덩이둘레/엉덩이 최대둘레, 뒤엉덩이둘레의 5가지 항목이다. 상반신 체 형과 하반신 체형 판별함수 모두 70% 이상의 높은 적중률을 나타내었다.

  • PDF

Design of Torso Patterns for Middle Aged Women (중년여성을 위한 토루소 원형 설계에 관한 연구)

  • 이진희;조현정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8
    • /
    • pp.111-121
    • /
    • 200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상반신을 대상으로 기존원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한 후 이를 기본으로 제도법을 수정·보완하여 중년여성 체형에 맞는 상반신 토루소 연구원형을 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 대상은 35세에서 59세의 중년여성으로 하였으며, 45세를 전후로 체형이 변한다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년 전기(35세∼45세), 중년 후기(46세∼59세)로 나눠 연구하였다. 연구원형 제작을 위해서 97년 국민체위조사보고 자료에 나온 35세∼59세에 해당하는 신체치수를 사용하여 대학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4가지 원형을 설계하고 이를 CADsystem을 이용하여 각 Pattern간의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하고, 4가지 원형의 실험복을 제작하여 착의 실험을 통해 객관적 평가 11항목, 주관적 평가 23항목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초로 연구원형을 제작하였고 제작 후 연구원형의 신체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존원형과 마찬가지로 착의 실험을 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원형들이 착용시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으로 인해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관상으로는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량이 중년여성 체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역시 중년여성의 체형과는 맞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중년 전기에 비해 중년 후기에서 수정 보완이 더 요구되었는데 특히 나이가 들수록 등이 뒤로 젖혀지는 현상으로 인해 측면에서 봤을 때 허리가 들어가는 현상이 두드러져 뒤 허리부분의 수정이 요구되었다. 이에 연구원형에서는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의 위치 조절을 위해 앞목기준선을 위로 2cm 올려 주었고 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 부분에 여유분을 각각 2cm더 주어 제작하였으며 중년 후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뒤허리부분의 문제점을 허리중심선 설정시 1∼2cm안쪽으로 설정하여 체형변화를 반영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원형에 대한 주관적·객관적 착의 평가 결과는 착용시 기존원형에서 나타났던 진동부분과 뒤중심부분의 당김이 없어지고 외관상 가슴선, 허리선, 엉덩이선이 기존원형보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외관에서도 전·후기 모두 기존원형 보다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A Study of QTc Interval in EKG and Body Fat Distribution in Middle Aged Woman (운동부하검사시 중년여성의 심전도 QTc 간격과 체내 지방분포에 관한 연구)

  • Kim, Eun-Young;Kim, Keon-Yeop;Lee, Moo-Sik;Na, Bak-Ju;Bae, Seok-Hwan;Lim, Nam-Gu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222-226
    • /
    • 2009
  • 본 연구는 40~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측정한 체내지방분포와 심전도 QTc 간격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4년 7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일개 광역도 소재의 일개 군 보건소 운동처방실을 방문한 여자 100명을 대상으로 체내지방분포와 심전도 QTc 간격 등을 측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년여성의 안정시 심전도 QTc 간격과 체내지방분포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비만도,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허리-엉덩이둘레 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 체지방율이 30% 이상인 비만군과 30% 미만인 정상군의 QTc 간격은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QTc 간격이 더 연장된 결과를 보였다. 3. 허리둘레가 80cm 이상인 복부비만군과 80cm 미만인 정상군의 QTc 간격은 복부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QTc 간격이 더 연장된 결과를 보였다. 4. 연구대상자의 안정시 QTc 간격을 종속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체지방율과 허리둘레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40~50대 중년여성의 심전도 QTc 간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체내지방분포에 따른 비만도,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그 중 전체지방분포를 나타내는 체지방율이 가장 크게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 PDF

Body Type of 20's Male (20대 성인남성의 체형)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67-26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신체밀착형 의복의 유행으로 맞음새가 우수한 의복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20대 나성을 대상으로, Size Korea의 제 7차 인체치수조사 계측데이터를 분석하여 전신 체형의 특성을 알아보고, 전신 체형을 유형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20대 전반 남성의 의복 제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0대 남성의 체형은 4개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둘레 및 너비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몸통길이와 발목/종아리 굵기, 엉덩이처짐 요인 높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짧고 굵은 몸통새다리 체형'이다. 유형 2는 어깨너비와 길이, 몸통길이의 적재량이 높고, 둘레 및 너비와 어깨처짐 요인의 적재량이 낮으며, 높이요인의 적재량이 높은 '가는 역삼각형 체형'이다. 유형 3은 발목/종아리 굵기 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높이요인, 둘레 및 너비와 몸통길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짧고 가는 몸통 굵은 다리 체형'이다. 유형 4는 높이요인과 엉덩이처짐, 어깨처짐 요인의 적재량이 높고 어깨너비와 길이 요인의 적재량이 낮은 '긴 삼각형 체형'이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Cardiac Autonomic Regulation in College-Aged Male Smokers (남자흡연대학생의 비만과 심장자율신경조절의 관련성)

  • Kim, Choun Sub;Kim, Maeng Kyu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1
    • /
    • pp.142-152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index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in college-aged male smokers. A total of 85 male college students (> 10 cigarettes per day for at least 3 yea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a standardized protocol, body mass index (BMI), percent body fat (%BF), waist circumference (WC), and waist-to-hip ratio (WHR) were taken as obesity indices. Resting r-r interval was monitored for HRV analysis as an indicator of cardiac autonomic regulation. Compared with low WHR subjects, high WHR subjects had significantly lower values of rMSSD, pNN50, HF, and SD1, suggesting decreased parasympathetic activity. No such differences in LF/HF ratio were found between the WHR-based subgroup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obesity indices of WC, WHR, and %BF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MSSD, pNN50, HF, and SD1, with a tendency for correlation coefficient to be higher with WHR than with WC or %BF.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BMI and HRV parameters indicative of parasympathetic activity. This study suggest that central obesity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crease in parasympathetic activation, independent of BMI as an indicator of obesity, in male college smokers.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Age and BMI of Male Workers in Daegu.Gyeongbuk Region (대구.경북지역 20, 30대 남성 근로자의 연령 및 BMI에 따른 건강상태)

  • Jang, Hyun-Sook;Choi, Ju-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6 no.3
    • /
    • pp.318-326
    • /
    • 2007
  • The purpose fo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age and BMI by interviewing male worker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in the Daegu Gyeongbuk region. The body measurement was assessed by height, weight, BMI, body circumference (waist, hip), waist-hip ratio and body fat mass. The health status has been analyzed and assessed as normal group, health concerned group and health suspected groups. Weight, percent ideal body weight (PIBW), BMI and body circumference (waist, hip) and waist-hip ratio was proven higher according to the order of obese group, overweight group and normal group. Waist-hip ratio was proved to be higher in the thirties group than the twenties. Body fat mass was higher in the obese, overweight and normal groups. In the concerns of health status, the ratio of health concerned group and health suspected group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BMI. Blood pressure (SBP, DBP) was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overweight groups, and blood glucose was higher in the thirties than in the twenties. SGOT, SGPT, ${\gamma}-GTP$ has been proven higher in the obese group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overweight group, ${\gamma}-GTP$ was higher in the thirties than in the twenties.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of the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heavy weight resulted in heavier BMI, PIBW, body circumference (waist, hip), waist-hip ratio and higher body fat mass. Blood pressure (SBP, DBP), total cholesterol, blood glucose, SGOT, SGPT and ${\gamma}-GTP$ all became higher according to these influences. In conclusion, male workers have to recognize that health status becomes worse and possibilities of chronic disease prevalence rate increases according to aging and the increase of BMI.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prevent chronic diseases.

A Study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Korean Obese Women (비만여성의 의복치수체계 연구)

  • Yi, Kyong-Hw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3 no.12
    • /
    • pp.1979-1990
    • /
    • 2009
  • This study suggests apparel sizing systems for obese women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Size Korea body measurement data were used for sampling the obese subjects by obesity judgment indices. A total of 7 obesity judgment indices frequently used in the clothing field were inspected and the measurement data of 499 females defined as "obese" by over 5 obesity judgment indic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total of 2,212 female body measurement data for the Size Korea Project were collected. These were compared with the 499 data of the obese women in the study. Except for all heights and some lengths correlating with heights, the measurements of obese women were larger than the entire group of females. Bust girth, hip girth, and height were selected as control dimensions of the outerwear covering the upper body; waist girth and hip girth were selected as control dimensions of the outerwear covering the lower body. In each crosstabulation table, 3cm pitches and 5cm pitches by bust girth, waist girth, and hip girth were compared in the aspects of coverage and coverage efficiency. Finally, sizing charts for outerwear cover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obese women were established in the study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coverage and the coverage efficiency. These Size charts were given by 5cm pitches as final sizing systems. Size number of outerwear covering the upper body was 10 and size number of outerwear covering the lower body was 9. In addition, the body measurements of control dimensions and referable dimensions for making garments are given.

Study on Convergence Using Carotid Ultrasonography i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경동맥초음파 검사를 활용한 대사증후군 인자의 융합연구)

  • Sung, Hyun-Ho;Yoon, J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6
    • /
    • pp.195-200
    • /
    • 2015
  • This study conducted a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center in healthy adult subjects 47 people in the 30-55 age carotid ultrasound and a blood test and measurement physique i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in 2014, was analyzed in the same group between gender and age of the person hip circumference was higher than the 40s and 50s(p<0.05). Carotid ultrasound results showed differences in the 30s and 50s (p<0.05). CIMT and BMI, in CIM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hip circumference (p<0.05). In addition, blood pressure and systolic blood pressure in the CIM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p<0.05). In conclusion, in this study, we demonstrated a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 carotid IMT, and continue to research needed for the diagnosis of diseases of the metabolic syndrome factor fusion research is utilizing ultrasound for a more qualitative disease diagnosis.

A Study on the Comparative Evaluation of wearing Fitness of Women′s Ready-made Jackets Using 3D Scanner (3D Scanner를 이용한 여성용 기성복 재킷의 착의적합성에 관한 비교평가연구)

  • Kim, Haekyung;Eunyoung Suk;Park, Soonjee;Chuyeon Suh;Jiyoung Li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07-1718
    • /
    • 2001
  • 본 연구 목적은 3차원 인체 스캐너를 이용하여 여자 기성복 재킷의 여유량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2사이즈 7브랜드의 재킷의 공극량을 계측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재킷 단면둘레 분석 결과, B85(품), B8(허리)를 제외하고 브랜드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전반적으로, 브랜드간 제품치수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체와 재킷의 단면둘레 분석 결과, 재킷의 배둘레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피험자, 재킷 모두 사이즈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기본사이즈 B85에서는 허리를 제외하고는 패턴 F가 가장 여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B88의 경우, 부위별로 각기 다른 패턴에서 여유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각 부분마다 브랜드별로 그레이딩 룰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넷째, 착의 단면은 인체와 의복간의 여유량 분포를 명백히 보여주며, 어깨, 가슴, 엉덩이처럼 몸에 밀착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패턴간, 각도별 변이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품, 허리, 배에서는 옆보다는 앞, 뒤로, 가슴에서는 앞뒤 좌우의 30$^{\circ}$방향, 엉덩이의 경우, 옆, 뒤보다는 앞쪽에 여유량이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브랜드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패턴 F가 가장 공극량이 많고, 패턴 D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이즈별 평균공극길이에 대한 t-검정 결과, 품과 배 부분에서, B88이 B85보다 공극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기준부위인 가슴, 허리, 엉덩이 부분뿐만 아니라 품, 배둘레의 치수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레이딩 룰 값을 산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Obesity Indices and Change in Serum Lipids in Adult Male Workers (성인 남성 근로자에서 비만 지표의 변화와 혈청지질치 변화와의 관련성)

  • Ha, Young-Ae;Chun, Byung-Yeol;Kam, Sin;Lee, Sung-Kook;Yeh, Min-Hae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9 no.3 s.54
    • /
    • pp.439-449
    • /
    • 199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obesity indices and change in serum lipids in adult male workers. Two-hundred-eight adult male workers of an industry in Taegu city were followed-up from 1991 to 1995. Height, weight, circumferences of hip and waist,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and serum lipids were analysed. Data on life style were obtain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Mean difference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etween 1991 and 1995 were as follows: 1.63kg in weight, 3.61cm in waist circumferences, 4.23cm in hip circumferences, $0.52kg/m^2$ in BMI and -0.021 in WHR. Those of lipids were as follows; 15.09mg/dl in total cholesterol, 20.43mg/dl in triglyceride, 9.40mg/dl in HDL-cholesterol, 2.87 in MI - index (p<0.01) and 350mg/dl in LDL-cholesterol. The changed value of BMI and Katsura index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at of total cholesterol(r=0.174, p<0.05), the changed value of BMI correlated with that of triglyceride(r=0.374, p<0.01) and the changed value of weight correlated with that of MI index(r=-0.173, p<0.05). The changed value of WHR was signifi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total cholesterol(r=0.162, p<0.05), however,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MI index. The changed value of weight, BMI and Katsura index were correlated with that of triglyceride (r=0.262, p<0.01; r=0.267, p<0.01; r=0.258, p<0.01) and the changed value of MI index(r=0.143, p<0.05; r=-0.158; r=-0.144, p<0.01), adjusting the pattern of change in life style. The changed values of HDL - cholesterol and MI index between 1991 and 1995 in low WH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high WHR group(p<0.05, p<0.01), adjusting the baseline value of them.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when considering Katsura index. When stratifying by BMI value of 1991, in low BMI group, the changed value of HDL - cholesterol and MI index showed the same pattern as above, however that of triglyceride was statistically higher in obese group than in non obese group(p<0.05). In conclusion BMI might be a better indicator to predict serum lipids change than other obesity ind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