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언어 사용역

Search Result 122,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ective Feature Extraction in the Individual frequency Sub-bands for Speech Recognition (음성인식을 위한 주파수 부대역별 효과적인 특징추출)

  • 지상문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7 no.4
    • /
    • pp.598-603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 sub-band feature extraction approach in which the feature extraction method in the individual frequency sub-bands is determined in terms of speech recognition accuracy. As in the multi-band paradigm, features are extracted independently in frequency sub-regions of the speech signal. Since the spectral shape is well structured in the low frequency region, the all pole model is effective for feature extraction. But,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the nonparametric transform, discrete cosine transform is effective for the extraction of cepstrum. Using the sub-band specific feature extraction method, the linguistic information in the individual frequency sub-bands can be extracted effectively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show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speech recognition experiments for our method with those obtained using a full-band feature extraction method.

  ( )

  • 김봉일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1 no.1
    • /
    • pp.57-63
    • /
    • 1983
  • 여러 분야에서 computer의 이용이 활발해짐에 따라 computer에 대한 올 바른 이해와 일반이 널리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사용법의 연구를 필요로 하여 본 연구소 전자계산실에서는 computer언어의 한글화를 착한하여 Automatic Language Translation과 이를 활용한 한글 program의 일반화를 시도하여 보았 다. computer에 의한 번역은 1950년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어 1960년 Harvard 대 학의 Oettinger교수 team에 의한 Russian$\longrightarrow$English 번역을 계기로 현재 각 국에 서 활발히 연구 개발 중인 테-마이다. 특히 개발 도상에 있는 우리나라로써는 이 과제를 해결하여 선진국의 기술정보, 학술 논문, 참고 서적 등을 어학능력에 구애 됨이 없이, 광범위하게 접할 수 있게 된다면 국가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은 물론 교육적인 견지에서도 다대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는 특수한 지 역의 환경과 공동 관심속에서 고래의 뿌리깊은 전통과 관습으로 계승되어온 의사 전달의 매개체로써 특종의 適否에 대한 외적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는 점이 분 명하여 생성된 문장들이 그 언어를 사용하는 토박이에게 충분히 용납되어야 한다 는 점에서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데는 허다한 난점이라는 가정하에 무 한수의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일종의 반복 장치를 가지게 되면 무한수의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는 이론을 근거로 한글 program, 한 영 번역 및 영한 번역의 실험 작업 단계에서 그 중간 과정을 소개해 본다.

Rule Construction for Determination of Thematic Roles by Using Large Corpora and Computational Dictionaries (대규모 말뭉치와 전산 언어 사전을 이용한 의미역 결정 규칙의 구축)

  • Kang, Sin-Jae;Park, Jung-Hye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0B no.2
    • /
    • pp.219-228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construction method of determination rules of thematic roles from syntactic relations in Korean language processing. This process is one of the main core of semantic analysis and an important issue to be solved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t is problematic to describe rules for determining thematic roles by only using general linguistic knowledge and experience, since the final result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jective views of researchers, and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rules to cover all cases. However, our method is objective and efficient by considering large corpora, which contain practical osages of Korean language, and case frames in the Sejong Electronic Lexicon of Korean, which is being developed by dozens of Korean linguistic researchers. To determine thematic roles more correctly, our system uses syntactic relations, semantic classes, morpheme information, position of double subject. Especially by using semantic classes, we can increase the applicability of the rules.

The Study of Josa Dictionary Construction for Korean-English Machine Translation (한영 기계 번역을 위한 조사 사전 구성에 관한 연구)

  • Choi, Jae-Hyuk;Kim, Kweon-Yang;Park, Sang-Gyu;Lee, Sang-J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219-224
    • /
    • 1989
  • 본 연구는 한영 기계 번역을 위한 사전 중에서 한국어 조사 사전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특히 정확한 역어 선택을 위한 제약정보를 수집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조사에 대한 역어 선택 방법은 체언의 속성 정보에 의한 역어 선택과 default 역어의 선택이었다. 그러나 한국어의 한 조사에 대응하는 영어의 전치사의 수가 너무 많음으로 인하여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고질의 변역은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역어의 선택을 위하여 조사의 격 분류와 체언의 속성 정보를 더욱 세분화 시키고, 이를 이용한 용언의 기본 구문 패턴을 재정립하였다. 또한 한 두개의 default 역어로 인한 번역의 부 정확성을 탈피하기 위하여 default 역어 및 체언의 속성 정보에 의한 역어를 용언의 의미적 분류에 의해 더욱 세분화시킴으로써 정확한 역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Semantic Role Assignment for Korean Adverbial Case Using Support Verb Phrase and Concept Similarity (기능동사 구문과 개념 유사도를 이용한 한국어 부사격의 의미역 결정)

  • Shin Myung-Chul;Lee Yong-Hun;Kim Mi-Young;Chung You-Jin;Lee Jong-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451-453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 있어 '에, 로'를 격표지로 하는 부사격에 대한 의미역 결정 모델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의미역 결정은 의미 분석의 핵심 과정 중 하나이고 자연언어처리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본 논문은 기존 연구와 언어학 논저를 참고해서 의미역 결정에 유용한 자질들을 정리하였고 SVM을 이용하여 의미역 결정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와 차별적으로 기능동사 구문의 처리와 지배소 개념의 유사도 보정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견고한 모델을 만들 수 있었다. 성능 평가 결과 개념(Concept)만을 사용한 기본 모델에 비해서 평균 $9\%$의 정확률 향상을 보였다.

  • PDF

Korean Semantic Tagged Corpus Construction working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 작업)

  • Lee, Min-Ji;Lee, Yoon-Jeong;Lee, Jung-Kuk;Kim, Jong-Dae;Park, Chan-Young;Song, Hae-Jung;Kim, Yu-Seo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99-103
    • /
    • 2012
  • 의미 역 결정 (Semantic Role Labeling)은 문장 내의 술어-논항 요소들의 의미 관계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가 필요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이 데이터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Proposition Bank(이하 PropBank) 말뭉치와 세종 용언 격틀 말뭉치 구축을 위한 의미 표지 부착 작업에 대해 설명한다. 표지 부착 작업은 말뭉치의 의존 관계를 사람이 파악하여 적절한 의미 역 태그를 다는 과정이고, 이 과정으로부터 얻은 말뭉치는 의미 역 결정을 위한 기계 학습 방법론의 훈련 자료로 이용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한 구문 표지 부착 밀뭉치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구문표지 부착 말뭉치를, 그리고 언어자원으로는 한국어 PropBank의 frame file과 세종 용언 격틀 사전을 사용한다.

  • PDF

Intermediate Language Translator for Jave Language (자바 언어를 위한 중간 언어 번역기)

  • 정지훈;박진기;이양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537-540
    • /
    • 2003
  • 자바와 .NET 언어는 프로그래머들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언어이다.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자바 프로그램은 JVM 플랫폼에서는 실행이 되지만 .NET 플랫폼에서 실행이 되지 않고, 반대로 C#과 같은 .NET 언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은 .NET 플랫폼에서는 실행이 되지만 JVM 플랫폼에서 실행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자바 프로그래머는 .NET 플랫폼 환경에 맞추어 프로그래밍하지 못하고, .NET 프로그래머는 JVM 플랫폼 환경에 맞추어 프로그래밍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Bytecode-to-MSIL 번역기는 위의 단점을 해결한 것이다. 먼저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여 생성된 클래스 파일(*.class)로부터 Oolong 역어셈블러를 이용하여 Oolong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Oolong 코드를 본 논문에서 연구한 Bytecode-to-MSIL 번역기로 .NET의 중간언어인 MSIL 코드로 변환하여 .NET 어셈블러로 실행파일을 만들어 자바 언어로 구현된 프로그램이 .NET 환경에서도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자바 프로그래머나 .NET 프로그래머는 JVM 이나 .NET 플랫폼 환경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 PDF

A Development of the Automatic Predicate-Argument Analyzer for Construction of Semantically Tagged Korean Corpus (한국어 의미 표지 부착 말뭉치 구축을 위한 자동 술어-논항 분석기 개발)

  • Cho, Jung-Hyun;Jung, Hyun-Ki;Kim, Yu-Seop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9B no.1
    • /
    • pp.43-52
    • /
    • 2012
  • Semantic role labeling is the research area analyzing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in a sentence and it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mantic analysis research area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such as word sense disambiguation. However, due to the lack of the relative linguistic resources,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research has not been sufficiently developed. We, in this paper, propose an automatic predicate-argument analyzer to begin constructing the Korean PropBank which has been widely utilized in the semantic role labeling. The analyzer has mainly two components: the semantic lexical dictionary and the automatic predicate-argument extractor. The dictionary has the case frame information of verbs and the extractor is a module to decide the semantic class of the argument for a specific predicate existing in the syntactically annotated corpus. The analyzer developed in this research will help the construction of Korean PropBank and will finally play a big role in Korean semantic role labeling.

Computational Linguistics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the Auxiliary Verb 'hada' (보조용언 '하다' 구성의 전산언어학적 연구)

  • 홍혜란
    • Language Facts and Perspectives
    • /
    • v.47
    • /
    • pp.495-53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of the auxiliary verb 'hada' to morphological and semantic aspects in the corpus composed of four language register of academic prose, newspaper, fiction, and spoken language by applying computational linguistic research methodology. It is also aimed to analyze how the discourse func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auxiliary verb 'hada' that express the meaning of 'conditions/assumptions' is performed, and from that, to investigate what the mechanism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auxiliary verb 'hada' performs various semantic functions at the discourse level 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auxiliary verb 'hada' performs the primary grammatical meaning by adding meaning of linguistic features such as connective ending which is combining with the preceding verb, final ending, particles, formulaic expression. And that meaning performs various discourse functions according to the contextual conditions such as the form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of utterance, contents of utterance, speaker's attitude.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function of discourse is not fixed, it is a new additional meaning obtain from the discourse level including various contexts, and it is characterized by contextual dependency that can change if some of these conditions are different.

THE ROLE OF IMITATION IN CHILD LANGUAGE DEVELOPMENT : DISCUSSION OF RESEARCH METHODS (아동의 언어발달에서의 모방의 역할 : 각 이론에 따른 연구절차 분석)

  • Woo, Nam Hee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
    • v.13 no.1
    • /
    • pp.5-15
    • /
    • 1992
  • 아동의 언어습득 과정에서의 모방은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한편 인간의 독특하고 신기한 일면이기도 하다. 이 모방에 관하여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되어왔으나 그 중요성이나 역할에 대한 연구들의 결론이 모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모방현상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들을 이론별로 분류해 보고 각 이론들이 모방의 역할을 밝히기 위하여 사용해 온 연구방법, 절차들을 분석해 보았다. 행동주의와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언어습득에서의 모방의 역할을 특히 강조하고 있으며 이 모방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다른 어떤 이론보다도 훨씬 조직적인 실험연구를 해 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언어 심리학적 접근에서는 언어습득에서의 생득성과 창의성을 강조하므로 모방의 역할은 중시하지 않으며, 모방의 정의를 엄격하게 규정하고 자연적인 관찰 중심의 연구를 주로 하여 언어습득에서의 모방의 역할이 미비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Piaget 중심의 인지발달적 접근에서는 모방을 인간의 전체 발달의 한 측면으로 보아 모방은 인지발달과 함께 점진적으로 발달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언어발달에서의 지연모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자연적인 관찰연구를 통하여 모방의 발달과정을 밝히고 있다. 언어발달에서의 모방의 역할에 대한 지금까지의 일치하지 않는 연구 결과들은 각각의 이론들이 나름대로 달리 모방을 정의하고, 언어의 다른 측면들을 다루어 왔기 때문으로 밝혀 졌다. 앞으로 언어발달이 아동의 발달 전체의 맥락 속에서 연구되어지고, 언어습득과정에서 보이는 아동들의 개인차까지도 고려되어지는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 모방의 역할도 좀더 명백하고 일관성 있게 밝혀지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