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억제재배

Search Result 792, Processing Time 0.185 seconds

Plastic house의 형태, 재배양식 및 시설내 위치에 따른 기상환경의 차이가 암면재배 오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imatic Factors varied due to the Type of Plastic House, Cultural Season and Locations in the Plastic House on the Growth of Cucumber Plants Grown in Rockwool)

  • 임정묵;권병선;신동영;현규환;김학진;정순주;이범선;임준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18-222
    • /
    • 2006
  • 재배시기, 시설형태 그리고 시설내 계배위치에 따른 가상환경의 차이와 이에 따른 양액계배 오이의 생장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름재배와 억제재배, 1-2W형 하우스와 무기둥 하우스에 양액계배를 통해 오이를 패배한 후 시설내 부위별 기온, 상대습도, 일사량과 생장해석을 통해 얻어진 생리적 형질들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우스 내부의 평균기온이나 평균상대습도는 하우스 형태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일사량은 1-2W형 하우스가 무기둥 하우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일누적일사량은 1-2W형에서는 남서쪽이 무기둥 하우스에서는 북서쪽이 대체로 높았다. 초장과 엽수는 억제재배보다 여름재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엽면적은 억제재배에서 많았다. 상대생장율은 순동화율 및 엽면적비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대생장율에 대한 기여도는 순동화율이 엽면적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생장율은 엽면적지수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여 엽면적지수의 증대가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증대에 크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생육기간의 일평균기온는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억제재배에서는 전 생육기간의 누적일사량과 상대생장을 및 순동화율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새만금 내 동계 사료작물 재배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for Forage Crop Cultivation during Winter Season in Saemangeum)

  • 이성원;강방훈;서일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124
    • /
    • 2022
  • 새만금은 염분과 미사질 토양으로 인해 지표면이 건조하고 함수율이 낮아 다른 지역에 비해 식생피복이 낮다. 식생 피복도가 낮은 지역에서는 바람에 의한 침식으로 인해 먼지가 비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견딜 수 있는 작물을 재배하여 식생 피복도를 높이면 바닥의 유속을 줄여 비산먼지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만금 간척지에 겨울철 동계 밭작물을 재배하여 미세먼지 및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새만금 간척지에서 보리 0.5ha, 라이밀 0.5ha를 재배하는 동안 농작업 및 생육단계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를 모니터링하였다. PM-10, PM-2.5 및 PM-1.0 농도의 변화는 풍하측, 풍상측, 경작지 내부를 중심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PM-1.0은 작물 재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M-10과 PM-2.5의 농도는 경운과 수확에 따라 증가하였고 수확에 비해 경운 시 PM-10과 PM-2.5의 농도 증가가 더 높았다. 작물의 생육단계에 따라 비산먼지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유묘기보다 출수기에서 비산먼지 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토지피복효과 이외에 캐노피에 따른 비산먼지 억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작물재배에 따른 비산먼지 발생 및 억제 효과에 대해 알 수 있었다.

재배양식(栽培樣式)에 따른 수종(數種) 제초제(除草劑)에 대한 벼와 피의 해부형태적(解剖形態的) 반응차이(反應差異) - III. Propanil 에 대한 반응차이(反應差異)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Response of Rice and Barnyardgrass to Herbicides under Various Cropping Patterns. - III. Response to Propanil)

  • 천상욱;구자옥;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7-244
    • /
    • 1996
  • 파종 및 이앙 후 7일째 propanil 4,200g ai/ha를 다양한 재배양식에서 재배된 벼와 피에 경엽처리한 결과 피의 초장과 근장에서 건답조건의 경우 각각 100%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담수 조건에서 경우는 63 및 40% 각각 억제되었다. 담수직파조건과 이앙조건의 벼의 초장과 근장은 무처리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건답조건에서는 20~24% 억제를 보였다. 지상부 생체중에 있어서 피는 건답조건에서 100% 억제되는 반면 담수조건에서 78%가 억제되었다. 벼의 생체중은 건답조건의 표면파종벼에서만 28%로 상당한 억제가 있었으나 다른 재배양식에서는 무처리와 유사하거나 증가한 경향이었다. 광학현미경에서 해부학적 변화는 공시된 전재배양식의 벼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피의 경우에 있어서는 건답 및 담수 두조건 모두에서 심한 표피세포의 위축현상, 유관속초세포의 엽록체의 부분적 소실 및 엽육세포의 파괴현상이 각각 관찰되었다. 벼의 엽육세포층 및 총엽신의 두께는 무처리와 유사한 경향이거나 담수조건에서는 오히려 증가되었으나 피는 무처리에 비해 두조건 모두에서 엽육세포층의 두께 감소로 인한 총엽신 두께가 36~48% 감소되었다. Propanil 배량 처리로 인한 건답직파벼는 토중벼보다는 표면 파종벼에서 약해발생이 있엇고 다른 재배양식의 벼에서는 안전한 경향이었고 피는 두조건에서 모두 탁월한 방제를 보이나 담수조건에서 피의 방제는 다소 불만족스러웠다.

  • PDF

유황처리 열무로 제조한 열무김치의 특성과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 (Fermentation Properties of Young Radish Kimchi Prepared Using Young Radish Cultivated in the Soil Containing Sulfur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the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 공창숙;박순선;이숙희;노치웅;김낙구;최경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58-163
    • /
    • 2006
  • 유황처리 토양에서 재배한 열무 YR-A와 유황처리 후 복토를 덮어 재배한 열무 YR-B와 이 열무로 김치를 담근김치 A와 김치 B의 pH및 산도와 AGS 인체 위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YR-A로 담근 열무김치 A와 YR-B로 담근 김치 B는 $4\~5$주일째에 적숙기의 pH에 도달하였으며, 이 때 산도는 $0.88\~1.20\%$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열무김치 A와 B는 발효가 더욱 진행되어 $6\~8$주일째가 되어도 pH는 4.0이 하로 감소하지 않고 저장성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황처리한 김치 A와 다시 복토를 한 김 치 B는 일반 토양에서 재배한 대조군 김치에 비해 다소 빠른 시일에 적숙기에 도달하였다. 발효초기에는 김치 A가 대조군 김치보다 높은 Leuconostoc속 젖산균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Lactobacillus속 젖산균수는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암세포 성장억제효과의 경우, 유황처리 열무 YR-A 즙액 과 VR-B 즙액은 일반토양에서 재배한 YR-Control 즙액에 비해 유의적으로 $70\%$의 높은 암세포 성장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YR-A와 YR-B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 김치, 김치 A와 김치 B의 각 즙액은 첨가 농도 $10{\mu}L/assay$에서는 암세포 성장억제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첨가 농도 $20{\mu}L/assay$에서 는 약 $74\%$의 AGS 위 암세포에 대한 성장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이 결과는 열무의 즙액시료 YR-A와 YR-B에서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열무김치의 발효과정에서는 그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열무김치의 메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성장억제효과를 관찰한 결과에서도 거의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열무 재배시 토양에의 유황처리방법은 열무김치의 발효과정 및 적숙기에서 시원한 맛을 증가시키고 신맛을 감소시켜 유황처리로 재배한 열무김치가 맛 부분에서 다소 우수하다고 할 수 있으나, 유황처리한 열무 YR-A와 다시 복토를 한 열무 YR-B의 산도와 맛에는 별로 차이가 없었다. 또 유황처리토양에서 재배된 열무와 이 열무로 담근 김치즙액의 AGS 암세포 성장 저지효과는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유황을 첨가하여 재배한 열무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그 효과가 증진되었다. 이 결과에 의하여 유황을 첨가하여 재배한 열무의 암세포의 성장을 저지하는 활성 성분의 증가가 예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유황처리 열무의 기능성 식품재료로서의 개발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측창자율구동 환기가 시설오이 일비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utomatic Side Ventilation on Cucumber Sap Excrete in Greenhouse)

  • 전희;김현환;이시영;김경제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51-53
    • /
    • 2002
  • 시설오이의 국내 재배면적은 2001년도에 5,412 ha 으로서 389천톤을 생산하였다. 재배작형은 시설억제, 촉성, 반촉성, 시설조숙 등 매우 다양하고, 재배작형과 지역적인 재배관습 그리고 소비경향에 따라 재배품종 또한 다양하다. 시설오이의 단보당 평균 수량은 7,184 kg 이지만, 이들 재배요인에 따라 단보당 수량이 지역별로 4배 정도로 차이가 많다. 즉 중부지방에서 무가온 시설조숙재배인 경우 과중이 120g 내외인 백다다기 오이를 4~5개월 정도 단기간 재배하기 때문에 수량이 단보당 3,500kg 정도이지만, 남부지방에서 7~10개월 정도 장기간 청장계 오이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단보당수량이 12,000kg 이상을 넘는다. (중략)

  • PDF

전남지역의 호박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병 발생 실태 (Virus Diseases Occurred on Squash in Jeonnam Province)

  • 고숙주;이용환;차광홍;이수헌;최홍수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71-73
    • /
    • 2007
  • 전라남도 호박 주산단지의 2000년 바이러스병 발생포장율은 노지재배 76.1%,억제재배 55%,반촉성재배는 발생이 없었으며, 포장별 이병주율은 반촉성재배 3.6%, 노지재배 100%이었다. 포장에서 채집된 시료에 대한 RT-PCR 검정결과 노지재배는 40점 시료 중 WMV 16점, ZYMV 10점, PRSV 2점이 각각 검출되었으며, WMV, ZYMV, PRSV의 2개 또는 3개 바이러스에 중복감염된 시료도 7점이었다. 억제재배는 21점 시료중 WMV 7점, ZYMV 6점, PRSV 6점, WMV와 PRSV의 2개 바이러스에 중복감염된 시료가 1점이었으며, CMV는 검출되지 않았다.

콩 무경운 유기재배 시 피복식물의 잡초억제 효과 (Effect of Cover Crop on Weed Control in No-tilled Organic Soybean Field)

  • 조정래;안난희;남홍식;이상민;옥정훈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89-195
    • /
    • 2017
  • 전북 완주의 국립농업과학원 유기농업 시험포장에서 2015년과 2016년 콩 무경운 유기재배를 위해 피복식물을 이용한 잡초관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피복식물은 호밀 단파와 헤어리베치를 단파하는 처리와 혼파하는 처리를 두었다. 피복식물은 2014년 가을에는 경운 후에 파종하였으나 2015년 이후에는 무경운 파종하였고, 콩은 2015년과 2016년 모두 무경운 재배하였다. 호밀 피복구에서는 정식 후 60일까지 8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무경운 재배에서 잡초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호밀/헤어리베치 혼파구에서도 30% 이상의 잡초억제율을 보여 잡초관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헤어리베치 피복구는 잡초억제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재배 콩 포장의 발생 초종은 일반 포장에 비하여 많지 않았다. 2016년에 콩 무경운 유기재배 수량은 관행재배와 비교하여 다소 좋은 수량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평균수량은 낮게 나타났다.

환기율 및 실내온도 해석에 의한 간이시설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Rain Shelters by Ventilation Rate and Inside Air Temperature)

  • 손정익;김문기;남상운;이동근;유인호;윤남규;이재영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4년도 봄 심포지움 및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75-78
    • /
    • 1994
  • 비가림 시설은 경제적이고 간편하기 때문에 실용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재배방법으로서, 하절기 재배를 위한 간이시설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고온기의 시설재배이기 때문에 환기를 통하여 온도상승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관행의 비가림 시설에 뒤지지 않는 작업성을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환기로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시설 형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시설의 효율적 형태의 설정을 위하여 특징적으로 분류한 3형태의 간이시설에 대하여 환기율 및 실내온도 해석을 통하여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중략)

  • PDF

질소질비료의 형태와 질산화억제제가 세인트 어거스틴그래스의 브라운 팻치 병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rom Nitrification Inhibitor on the Incidence of brown Patch inSt.Augustiengrass [Stenotaphrum secundatum(Walt.)Kuntze])

  • 김기선;황환주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45
    • /
    • 1991
  • 서양잔디중 난지형 잔디에 속하는 세인트 어거스틴그래스에서 암모늄태 질소와 질산태 질소질 비료의 시비가 브라운팻치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포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세인트 어거스틴그래스를 작경 10cm의 플러그를 굴취하여 플라스틱 포트에 이식한 후 뿌리의 활착을 위하여 온실내에서 한달간 재배하였고, 50kg N/ha의 성분비율에 맞추어서 균의 접종 1일전에 시비를 하였다. 잔디포장에서 분리한 Rhizoctonia solani균을 agar위에서 배양시킨 후 균이 배양되어 있는 agar block 을 떼어서 태운 perennial ryegrass에 접종시켰다. 감염된 perennial ryegrass를 다시금 세인트 어거스틴그래스위에다 치상시켜서 잔디로의 접종을 꾀하였다. 그 결과 암모늄태 질소비료나 질산태 질소비료 그리고 무시비상태의 잔디에서의 병발생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질산화 억제제를 처리하여 암모늄상태의 질소 성분이 질산태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시킨 구에서는 타처리구에 비하여 6~9배의 발생율을 보였다. 따라서 잔디의 시비와 병발생을 연관시켜 볼 때 암모늄태 질소비료 와 질산태 질소비료 공히 큰 차이는 없으나, 다만 질산태로 변한 후의 질소양분의 토양용탈로 인한 소모를 억제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질산화 억제제는 상당량의 암모늄태 질소성분을 상당 기간동안 유지시키기 때문에 브라운팻치 병발생에 영향을 주므로 그 사용시기에 있어서 신중을 기하여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