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 양육효능감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2초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연구 (The Influential Factors on Parenting Guilt of Mothers using a Day-care Center)

  • 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9-177
    • /
    • 2014
  • 본 연구는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유아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였다. 양육과정에서 경험하는 보편적 양육죄책감이 아닌 보육시설에 자녀를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는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어머니 350명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양육죄책감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의 지지,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보육시설 만족도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영아 어머니가 유아 어머니에 비해, 그리고 첫째아의 어머니가 둘째이후 자녀의 어머니에 비해 높은 양육죄책감을 보고하였다. 둘째, 양육죄책감 영향요인 중, 교사의 정서적 지지가 양육죄책감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육효능감과 어머니의 적극적 상호작용, 그리고 보육만족도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는 자녀를 보육시설에 맡기는 상황에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들의 양육죄책감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교사와 어머니 간의 적극적 상호협력을 통한 양육공조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 양육 스트레스 및 부모 효능감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tate-Trait Anxiety,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Amblyopia)

  • 박인혜;한승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3호
    • /
    • pp.137-147
    • /
    • 2015
  •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 양육스트레스, 부모 효능감을 파악하고 이들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약시아동의 시력증진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간호중재 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의 대학병원 안과외래를 방문한 3세부터 14세까지의 환자 중 약시진단을 받고 가림치료를 위해 통원치료를 하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총 221명의 조사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상태불안 및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교육수준 및 경제 상태가 낮을 때, 건강상태가 나쁠 때, 약시에 대해서 인식하지 못할 때 그 정도가 높았다. 부모 효능감은 연령이 높을 때, 약시아동의 건강상태가 좋을 때, 약시에 대해서 인식할 때 높았다. 약시아동 어머니의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상태불안 정도가 높을수록 양육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 효능감은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를 보여 부모 효능감이 낮을수록 상태불안 정도가 높고, 양육 스트레스 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약시아동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높이고 상태불안과 양육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이 요구된다고 생각된다.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eature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 연은모;최효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1-1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 중, 취업 중인 어머니 44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 결혼생활 관련 변인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부부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심리적 특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와 부부 갈등 분야에서의 본 연구의 의의와 가족 상담 과정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received the Father´s child-rearing involvement on the Adolescent´s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 정옥분;김경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05-114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가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생 45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변인(학력, 직업, 가계수입) 중 어떤 변인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시의 유의수준은 $\alpha$ = .05로 하였으며 이상의 통계처리는 SPSS 10.0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자기효능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와 여가활동이 다소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자기효능감을 잘 예언해주었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황지도의 예언도가 가장 컸다. 셋째,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성취동기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성취동기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었고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가 다소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성취동기를 잘 예언해주었으며 특히 아버지 양육참여도의 제 하위요인 중 생활지도의 예언도가 가장 컸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보여 주듯이 아버지의 역할은 자녀의 발달에 어머니 못지 않은 중요성을 지니며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는 자녀의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와 유의한 상관과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1980년대 이후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사회의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변화된 사회구조는 자녀양육의 문제에 있어 아버지의 참여를 요구하게 되었다. 자녀양육에 대한 책임인식 공유와 자녀와의 많은 시간공유 등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현대 사회의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아버지상으로 요구되었으며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문화적 관심과 사회적 기대가 높아지게 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여 아버지는 바람직한 자녀의 인성발달 및 여러 영역에 걸친 발달을 위하여 항상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자녀양육은 더 이상 어머니 혼자의 역할이 아닌 부모 둘 다의 몫이며 교임이므로 부모들은 좋은 가정을 만들고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 끊임없이 자신을 갈고 닦으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영아 및 어머니의 사회인구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가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 and Matern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on Infant Development)

  • 이경하;서소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87-10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ich variables of interest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infants.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were demographic variables regarding to the infants and mothers,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infant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52 infant-mother pairs and all infan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15 months to 36 months of age. The development of Infants was assessed by classroom teachers. Data regarding the mothers’' demographic information, maternal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self-efficacy, and maternal stress were gathered by maternal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 tests, and regression analyses. The primary results demonstrated that family income, maternal infant knowledge,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predictive of the infant development. In addition, different patterns in the results of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observed among the infant’'s of different ag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results of study.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 최형성;정옥분
    • 아동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5
    • /
    • 2001
  • The development of this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took place in Seoul with 473 mothers of 5th and 6th grade children. Means, %, ${\chi}^2$, Cramer's V, Cronbach's ${\alpha}$, Split-half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d Pearson's r were used for data analysis. Five parenting self-efficacy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37 items developed for this study. Subscales were General Parenting Self-Efficacy, Health, Communication, Education, and Control. Criterion Validity of the 37 items was confirmed by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hin's parenting self-efficacy(r=.71). Internal consistency of this scale was high (Cronbach's ${\alpha}=.92$), including internal reliability of subscales. Factor validity was satisfactory at .65 - .86. These results confirm this scale as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Korean mothers.

  • PDF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김현미;도현심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279-298
    • /
    • 2004
  • In this study, a sample of 249 mothers of 5- to 7-year-old kindergarteners responded to 4 questionnaires regarding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eachers of the children also rated social competence.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showed that parenting stress and difficulties in parenting were negatively related and parenting confidence and behavior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cial competence, respectively. Parenting stress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explain social competence.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parenting behavior and confidence, and it was positively related to difficulties in parenting. Parenting confidence was positively related and difficulties in parenting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 subscales of parenting behavior, respectively. Parenting efficacy tende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behavi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