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한국어능력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다문화가정 유아의 어린이집 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한국어능력의 조절효과 (Effects of Experiences in Child-Care Centers on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Korean Fluency)

  • 임양미;박주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8호
    • /
    • pp.65-77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others' Korean fluency and children's experiences in child-care centers influenced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ubjects were 600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enrolled in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their mothers, and 350 teachers caring for these childr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administrating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others' Korean fluency, number of years children had attended child-care centers, and language guidance provided by child-care center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ll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general and oral communica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years that the children had attended child-care cente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ldren's written communication ability, but the mothers' Korean fluency and language guidance provided by child-care center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ad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written communication ability. Finally, the mothers' Korean fluency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s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Specifically, the more fluent the mothers' Korean, the stronger the effects of children's child-care experiences on their communication ability.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me Environmental Stimuli and Mothers' Personal variables in multicultural Family on their Children's Linguistic Abilities)

  • 오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22-531
    • /
    • 2013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가정 어머니 개인변인,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서는 먼저, 어머니 개인변인에서는 의사소통수단(주로한국어)과 유아 언어능력(수용언어, 표현언어)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환경자극에서는 안정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의 조직과 유아의 언어능력(수용언어, 표현언어)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언어능력이 어머니의 개인변인과 가정환경자극 중에서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수용언어에서는 가정환경자극 하위변인 중에서 안정되고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의 조직, 표현언어에서는 가정환경자극 하위변인 중에서 물리적 환경의 측면이 영향력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 우현경;정현심;최나야;이순형;이강이
    • 아동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3-36
    • /
    • 2009
  • Relationships between immigrant mothers' Korean language ability and preschoolers'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tudied with 91 mothers and their children. Language capacity of mothers and children was measured by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sentence comprehension test and two kinds of reading tests. Results showed that mothers' level of comprehension was relatively low but their reading ability was high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first-grade Korean students. Comprehens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with non-immigrant counterparts showed a lower level of language ability. Mother's level of expressive vocabulary, receptive vocabulary and reading ability correlated with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se results indicate 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mother's low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 PDF

다문화 가정의 이중언어·이중문화적 양육 환경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양육참여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Impact of Bilingual·Bicultural Home Environment on Mother's Parenting and Children's Outcomes)

  • 박현선;이채원;노연희;이상균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365-38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과 이중언어문화 노출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참여 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거주 결혼이주여성 459명과 그들의 초등학교 5-6학년 자녀 459명을 쌍체수집한 경기교육복지패널 1차년도(2011) 자료를 원자료로 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수행했다. 분석결과 어머니의 한국어 구사가 원활하고, 자녀가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보다 많이 노출되었을 때 어머니의 양육참여가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산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지원서비스가 단순히 취업이나 한국사회 적응에서 필요한 기술일 뿐 아니라 양육참여에도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중언어 문화환경이 더 이상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적응에 위험요소가 아니며 오히려 발달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자원으로 간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일개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의 이유식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 (Baby Food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a Rural Area)

  • 김민서;김건엽;김경나;김광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500-509
    • /
    • 2017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다문화가정의 이유식 실태와 지식, 태도 등을 살펴보고자 2015년 12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으며 92명을 최종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가구 및 아기에 대한 일반적인 특성, 이유식 실태, 이유식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등이었다. 이유식 지식 평균점수는 3.79였고, 태도 평균점수는 4.07이었으며, 실천군은 25.0%였다. 이유식 지식에서는 총 자녀수가 2명 이상, 아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은 경우, 출신국적이 중국 또는 일본, 한국어 능력이 상급, 아기 아버지의 학력이 높은 경우, 결혼생활 기간이 6년 이상, 아기 할머니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 이유식 주담 당자가 아기 어머니인 경우, 이유식 상담 및 교육을 받은 경우에서 높았다(p<0.05). 이유식 태도에서는 총 자녀수가 2명 이상, 아기 어머니 한국어 능력이 상급, 이유식 주담당자가 아기 어머니인 경우와 이유식 상담 및 교육을 받은 경우에서 높았다(p<0.05). 이유식 실천에서는 아기 어머니 출신국적이 일본과 캄보디아인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 이유식 주담당자가 아기 어머니인 경우에서 높았다(p<0.05). 이유식 실천에 따른 지식과 태도 점수를 보면, 이유식 실천군에서 지식(p<0.001) 및 태도가 미실천군보다 높았다. 다문화가정의 영유아 이유식 실천을 위해서 우선 이유식 주담당자인 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주변 동료 지지자를 활용해서 이유식과 관련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문화를 이해하면서 출신국적에 따른 차별화된 맞춤형 교육 및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55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자료 중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아버지가 한국인인 국제결혼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자료(1,325명)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자료에 대해 IBM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일원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의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모 감독의 영향력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지지 및 감독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모두 매개함으로써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 및 자아탄력성의 영향이 규명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이 연계한 부모교육 실시의 필요성 및 가정과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 전혜인;정평강;이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49-1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정서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포함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결혼이민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148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들 아동의 정서행동적 특성은 어머니의 연령과 가구소득과 유의미한 관련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는 자녀들의 전반적 행동특성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결혼이주여성이 높은 수준의 문화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자녀가 연령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문제행동을 나타냈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과 결혼만족도 역시 자녀의 내면화된 문제와 외현화된 문제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가정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실천적 제안을 논의하였다.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혼인의 특징과 국제결혼의 제도적 개선 방안 (Features of International Marriage of Vietnamese Immigrant Women and Plan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 문흥안
    • 법제연구
    • /
    • 제44호
    • /
    • pp.757-799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베트남의 사회 문화적인 이해와 상호 의사의 소통이 전제되지 않는 결혼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 이혼한 후, 한국국적을 취득하지 못하여 베트남으로 귀환하는 이주여성이, 법적 조치를 완전하게 마무리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의 베트남에서의 재정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전통적으로 자녀양육에 대한 집착이 강한 베트남여성이 모성본능을 뒤로 한 채 어쩔 수 없이 베트남으로 귀환하는, 한국에 남겨둔 한국인 자녀의 어머니에 대한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 방안으로 첫째, 혼인성립 절차를 강화한다. 베트남은 결혼 가족법 제14조에 의한 법집행을 엄격히 하고, 우리나라는 결혼사증 발급절차를 통하여 혼인의 진정성과 지속성을 담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국제결혼 당사자의 소양교육을 강화한다. 결혼이주를 희망하는 결혼당사자들이 각각 상대방 언어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서로 상대국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도록 교육프로그램을 강화한다. 국제결혼중개가 베트남에서 불법적임을 감안하여, 한국과 베트남의 비영리단체를 중심으로 베트남에서 결혼이주희망 여성에 대한 한국어교육과 한국의 문화를 교육시킨 후 한국남성들과 교제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향후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행복한 결혼생활을 담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한국내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지불하게 될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인권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베트남결혼이주여성에게 책임없는 사유로 혼인이 단절되는 경우 간이귀화 요건을 완화하여야 한다. 남편의 사망이나 폭행을 피하기 위한 가출 등 이주여성에게 책임없는 사유로 이혼하는 경우, 이주여성에게 간이귀화의 요건을 완화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넷째, 이혼 후 베트남으로 귀환하는 여성들의 재정착에 장애가 되는 호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입법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혼한 베트남결혼이주여성의 귀환에 따르는 법률적 미비는 이들의 베트남 재정착에 큰 방해가 된다. 경제력 법률적 능력의 부족으로 이혼에 따르는 호적정리 하지 못한 경우, 베트남 정부뿐만 아니라 한국정부도 적극적으로 이의 정리를 위해 제도적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최소한의 윤리적 책임을 다 해야 할 것이다. 우선 우리나라는 대법원 등록예규 제361호에 준한 '한국남성과 베트남여성의 이혼에 관한 절차'를 제정해 이혼에 필요한 서류의 상호교부를 제도화함으로서 스스로 호적정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