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머니의 분리불안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코비드감염 불안, 분리개별화 문제가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Parenting Style by Infection Anxiety and Separation Individiaulization Problems in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 김영경;박완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17-432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펜데믹 상황에서 영유아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코비드 감염불안, 분리개별화가 어머니의 양육스타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들의 양육에 도움이 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양육스타일인 온정적 양육과 통제적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계수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분리개별화가 온정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40, p<.001). 그리고 코비드감염 불안은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β=.21, p=.002), 분리개별화는 통제적 양육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β=-.26, p<.001). 즉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온정적 양육은 낮고, 코비드감염 불안이 높을수록 통제적 양육은 높으며, 분리개별화 문제가 있으면 통제적 양육도 낮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COVID-19 펜데믹 상황과 같은 위기에서 영유아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어머니가 주체가 되어 자녀를 지도하고 양육하는 것이 아동의 올바른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특성, 아동의 초기 기질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과의 관계 (Maternal Separation Anxiety: The Relations to Mothers' Characteristics, Children's Initial Temperament,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s)

  • 소언주;도현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209-22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s 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with a sample of 212 mothers of 3-6 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reporte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children's initial temperament, their own experience in the childhood and personality, and overprotectiveness. The results indicated that 1) mothers who experienced higher parental acceptance showed higher maternal separation anxiety; 2) mothers who perceived that their children had avoidant temperament showed higher material separation anxiety; 3) mothers who showed higher separation anxiety reported higher overprotectiveness; 4) maternal separation anxiety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 between children's approach-avoidance temperament and mothers' sheltering behavior.

  • PDF

유아의 불안감소와 중간대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Anxiety Reduction and Transitional object in Infants)

  • 윤석민
    • 산업진흥연구
    • /
    • 제6권4호
    • /
    • pp.39-45
    • /
    • 2021
  • 본 연구는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상담자의 중간대상 역할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발달과정에서 유아가 어머니와 절대적 의존에서 상대적 의존으로 넘어갈 때 불안을 겪는데 이때 중간대상인 인형, 손 빨기 등이 유아의 불안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상담자의 중간 대상 역할은 상실 경험에 대한 분리불안과 우울 불안을 완충시켜주고, 전능 환상에서 현실 세계로 매개하여준다. 중간대상은 새로운 대상으로 현실에서 적응하도록 이바지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중간대상과 중간현상을 통하여 분리 개별화 단계로 이어진다. 전능한 창조와 파괴, 그리고 현실에 적응하기 위해 존재하는 실제적인 타자에 대한 감각을 체득한다고 할 수 있다. 충분히 좋은 어머니는 유아의 전능성을 의미 있게 만들어 준다. 이러할 때 참자기는 유아의 약한 자아를 성장하게 하여 자신의 삶을 살도록 이끌어 준다. 어머니가 유아의 욕구를 채워주지 못할 경우 환상과 자발적 충동이 결핍된다. 즉, 어머니가 유아의 욕구를 반영해 주지 못할 때 유아가 어머니의 기분을 살피게 되어 참자기를 포기하고 거짓 자기를 만들게 된다. 절대적 의존기의 병리는 충분히 좋은 어머니의 공감과 안아주는 환경의 실패로 인해 발생한다. 이때 아이는 전능 환상의 붕괴를 경험하고 멸절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담현장에서 상담자의 중간대상 역할을 통해서 내담자의 분리불안과 우울 불안을 감소시켜서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할 때 효율적인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3세 이하의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분리불안, 어머니의 직업에 대한 태도,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을 중심으로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 with Toddlers: Focus o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ttitude for Occup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 양숙경;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4호
    • /
    • pp.67-76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working parent stress. This study surveyed 240 working mothers who are raising toddlers and 106 teachers in Seoul, Cyeong-gi, and Incheon. For this study, the Parenting Stress scale developed by Kim & Kang (1997) was used as the instruments for measurement and parental stress. To measur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this study used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MSAS) developed by Hock (1989), while the Attitude for Occupation scale developed by Farel (1980) was used to measure the attitude for occupation. In addition,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ink (1992), and modified by Oh Chong Eun (2001) were used as the instruments for measurement and adjustment.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WIN 15.0 version an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 to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influential independent variables affecting parenting stress listed in order of significance were maternal attitude for occupation, adjustment of children, maternal anxiety, and income.

자녀 양육행동 , 아동의 낯가림 경험 및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분리불안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s stranger anxiety, separation anxiety, and maternal separation anxiety)

  • 안지영;도현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13-20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matemal parenting behaviors, child's strange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to matemal separation anxiety. A total of 288 middle class mothers having children aged from 36- to 59-month- olds answered to a questionnaire based o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Scale (Hock, 1989). They also answered the questions about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s strange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s a function of demographic variables. 2.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such as physical contact and discipline involvemen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child's strange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matemal separation anxiety. 3. Maternal separation anxiety was accounted for 15% of the variance by maternal physical contact, discipline involvement, and chlid's stranger anxiety and separation anxiety.

  • PDF

어머니와 유아의 분리불안과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paration Anxiety of Mothers and Young Children, and Mothers' Overprotection o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 김미경;김연화;한세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71-8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the separation anxiety of mothers and children influences on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rough mother's overprote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2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ree to five years old who attended at edu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which were located in Cheongju city and Daejeon 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eparation anxiety of mothers and children, maternal overprotective behavior,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ccording to the social demographic backgrounds. Second, the separation anxiety of mothers and children influenced on mother's sheltering behavior and babying behavior. Third, mothers' shelter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ren's separation anxiety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It also appeared that mothers' babying behavior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paration anxiety of mothers and children and children's initiative.

어머니의 분리불안, 교사-영아관계가 만 1.2세반 아동의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Adjustment of 1- and 2-year-old Children in a Child-Care Center)

  • 양숙경;문혁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131-146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anxiety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the adjustment of 1- and 2-year-old children in a child-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344 working mothers who were raising 19- to 42-month-old children and 106 class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lncheon.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the SPSS WIN 15.0 version an 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s post-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a) children's adaptability to child-care centers varied with their sex, age, and the existence of siblings. Girls and children of higher age were more adaptable than boys and younger children. Children who have siblings were more adaptable compared to those who were the only child in the family. Also, children who were enrolled at a workplace provided child-care center were more adaptable than those who entered other kinds of child-care centers. (b)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nfluences the adjustment of children in a child-care center.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is the strongest indicator to predict how well the child will adjust to the child-care center.

어머니가 인식하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 정효진;최현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13
    • /
    • 2019
  •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첫 아이가 18개월 또는 20개월에 어린이집에 처음 입소한 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집단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임신 또는 입소통보전화를 받고 갑작스레 어린이집 입소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자녀의 입소를 위해 어린이집 첫 방문 시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어머니가 본 교사의 인상과 말투, 표정 등이 어린이집을 선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분리불안 행동을 보이는 영아뿐 아니라 어머니도 적응과정을 겪었다. 어머니와 교사의 소통과 노력을 통해 어머니들은 영아가 적응해나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만 1세 영아의 적응과정을 통해 어머니가 인식한 적응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해서는 기관별로 프로그램 안내 및 실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어린이집 유형과 상관없이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적응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의 만 1세 영아를 위한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결정성을 통해 공모전 참여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ollege Students on the Participate Motivation to the Contest through Self-determination factors)

  • 이신복;박찬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151-162
    • /
    • 2022
  • 최근 대학생들에게 공모전은 취업을 위한 중요 기회로 인식되고 있다. 이때 대학생들에게 가해지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자녀의 정서 및 심리적 욕구를 독립되도록 도와주지 않고 의사결정과 표현을 억압하여 자율성의 발달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지하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기결정성을 통해 공모전 참여 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중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가 자기결정성 중 유능성에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 중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는 자기결정성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 중 유능성은 즐거움과 금전적 보상 그리고 타인의 인정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성취감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결정성 중 관계성은 공모전 참여 동기 중 즐거움과 금전적 보상 그리고 타인의 인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공모전 참여 동기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