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지

검색결과 1,358건 처리시간 0.032초

양지꽃속(장미과)의 신종: 가거양지꽃(Potentilla gageodoensis M. Kim) (A new species of Potentilla (Rosaceae): P. gageodoensis M. Kim)

  • 소순구;조현;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75-177
    • /
    • 2014
  • 전남 가거도에서 양지꽃속의 신종인 가거양지꽃(Potentilla gageodoensis M. Kim)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가거양지꽃은 잎은 우상복엽이며 엽신과 엽병에 털이 있고 3개의 정소엽이 측소엽보다 크며 포복경이 없어 양지꽃과 유사하다. 그러나 가거양지꽃은 잎은 두껍고 근생엽은 흔히 5장의 소엽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소엽은 광난형이고 꽃잎이 크며 소엽 가장자리에 흰털이 밀생해서 흰색 테두리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반면에, 양지꽃은 잎은 얇고 근생엽은 흔히 7-13장의 소엽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소엽은 타원형이고 꽃잎이 작으며 소엽 가장자리에 흰털이 적은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양지꽃속(장미과)의 신종: 백두산양지꽃(Potentilla baekdusanensis M. Kim) (A new species of Potentilla (Rosaceae): P. baekdusanensis M. Kim)

  • 조현;신창근;서은경;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7-42
    • /
    • 2018
  • 백두산에서 양지꽃속의 신종인 백두산양지꽃(Potentilla baekdusanensis M. Kim)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백두산양지꽃은 잎이 우상복엽이며 엽신과 엽병에 털이 있고 3개의 상부 소엽이 하부 소엽보다 크며 포복경이 없어 양지꽃과 유사하다. 그러나 백두산양지꽃은 식물체가 소형이고 짧은 누운 털이 있으며 근생엽이 7장의 소엽으로 이루어졌고 하부 소엽이 작으며 소엽가장자리에 털이 없고 꽃잎 기부에 황적색의 무늬가 있다. 반면에, 양지꽃은 식물체가 대형이고 긴 곧은 털이 밀생하며 근생엽이 9-15장의 소엽으로 이루어졌고 하부 소엽이 크며 소엽가장자리에 긴털이 밀생하고 꽃잎 기부에 황적색의 무늬가 없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한국산 양지꽃족(장미과)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ies of the tribe Potentilleae (Rosaceae) in Korea)

  • 허경인;이상룡;김용성;박종선;이상태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8-69
    • /
    • 2019
  • 한국산 양지꽃족(tribe Potentilleae) 식물 7속 24종에 대하여 외부형태 형질과 과실 미세구조 관찰 및 문헌 조사를 통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화주가 암술에 위치하는 특징과 화주의 모양은 양지꽃족의 아족 및 속간 분류에 유용한 형질이었다. 딸기아족(subtribe Fragariinae)은 화주가 아기저생 또는 측생하였으며 수술에는 1개의 화분낭을 갖는 반면에, 양지꽃아족은 화주가 대부분 자방에 아정생하며, 드물게 측생하고, 수술에 2개의 화분낭을 갖는 특징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딸기아족에는 물싸리속, 물싸리풀속, 검은낭아초속, 딸기속이 포함되며, 각 속은 양지꽃속과는 구분되는 독립된 속으로의 처리를 지지한다. 양지꽃속으로 처리되어 왔던 눈양지꽃은 양지꽃아족에서 유일하게 화주가 측생/아정생하는 특징과 탁엽이 엽병의 앞면에 부착하는 특징으로 독립된 눈양지꽃속으로 처리됨을 지지한다. 종 수준에서의 연구 결과 흰땃딸기(딸기속)는 식물체가 잎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작고, 한라산에서만 제한 분포하는 특징으로 특산종으로 처리가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산뱀딸기(뱀딸기속)는 뱀딸기에 비하여 잎이 연한 녹색 또는 황녹색, 소엽이 얇고 다소 막질이며, 넓은 난형 또는 도란형의 소엽 등을 갖는 특징으로 뱀딸기와 잘 구분된다. 다양한 외부형태학적 변이를 보여 분류군의 한계에 대한 논란이 있어 왔던 양지꽃속의 돌양지꽃 복합체와 딱지꽃 복합체에 대하여 추가적인 분류학적 연구와 개체군 수준에서의 분자분류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시간-강도 분석에 따른 한우육과 수입우육의 연한정도 비교 (Tenderness Comparision of Korean and Imported Beef Using Time - Intensity Metho dology)

  • 차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3-128
    • /
    • 1996
  • 한우육과 수입우육의 연한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등심육과 양지육에 대하여 시간-강도 분석을 실시한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심육은 양지육에 비해 더 연한 결과를 보였으며,등심육과 수입 양지육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볼 수 없었다(p<0.05). Rx에서 한우 등심 육이 수입 등심육보다 더 큰 수치를 나타냈고, 양지육 에서는 수입우육이 더 크게 평가되었다(p<0.05). lmax는 등심육에서는 한우육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고, 양지육에서는 수입우육의 연한정도가 유의적으로더 높다고 평가되었다(p < 0.05). Dur은 등심육에서는 한우육보다 수입우육이 씹을수록 더 오래까지 지속되 었으나(p<0.05) 양지육에서는 오히려 수입우육보다 는 한우육이 더 오래까지 지속되는 경향만을 보였다. 한편 AUC는 한우 등심육이 수입 등심육보다 유의적 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한우육이 더 연하게 평가되었다(p .0.05). 한우육과 수입우육의 연 한정도 비교에 시간-강도 분석의 이용으로 시료간의 저작 과정 동안의 변화를 연구할 수 있었다.

  • PDF

태충(太衝) 및 양지(陽池)의 전침(電針)이 실험적(實驗的)으로 유발(誘發)된 백서(白鼠)의 간보호효과(肝保護效果)에 미치는 영향(影響) (Hepatoprotectiv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at Taechung (LR3) and Yangji (TE4) on experimental liver injury in rats)

  • 나창수;윤대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3권2호
    • /
    • pp.167-176
    • /
    • 2006
  • 목 적 : 본 연구는 태충(太衝) 및 양지혈(陽池穴) 에 대한 전침(電鍼)이 galactosamine 을 이용한 백서의 간독성(肝毒性)을 실험적으로 유발시킨 모델에서 예방효과(豫防效果)를 알아보고자 혈청중의 $\gamma\;-GTP$, GOT, GPT, LDH,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방 법 : 간독성은 각 군들은 간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무처치한 정상군, 간독성을 유발하고 난 후 무처치한 대조군, 각각 10 Hz, 50 Hz, 100 Hz 전침을 20 일간 10 회 시행한 후 간독성을 유발한 Pre 10, Pre 50, Pre 100군 등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태충(太衝) 양지혈(陽池穴)에 대한 전침(電鍼) 치료(治療)의 예방효과(豫防效果)에서는 Pre 10 군에서는 ${\gamma}\;-GTP$, GOT, GPT,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이 Pre 50군에서는 ${\gamma}\;-GTP$GOT, GPT, LDH,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이, Pre 100 군에서는 ${\gamma}\;-GTP$, GOT, LDH,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결 론 :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간독성에 대하여 태충(太衝) 양지혈(陽池穴)의 전침(電鍼)을 시행한 모든 군에서 간능과 지절대사에서 간손상에 대한 유의한 예방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자생화훼식물의 광도차에 따른 생육반응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and Flowering of Several Korean Native Wild Flower Plants)

  • 이종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56
    • /
    • 2001
  • 우리나라의 산야에 자생하고 있는 자생식물 중에서 조경용으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술패랭이꽃을 비롯하여 섬기린초,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에 있어서 양지와 반음지 및 음지 등의 광도조건이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식재시 알맞는 광조조건을 제시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술패랭이꽃을 비롯한 섬기린초,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 등은 10만 lux 정도가 되는 양지조건에서 포기당 꽃대의 수와 착화수가 월등하게 증가되었고 광도가 감소될수록 그 수도 감소되었는데 이들은 양지쪽에 식재해야 많은 꽃을 피울 수 있어서 조경적 가치가 증진되었다. 그러나 섬기린초를 제외한 술패랭이꽃, 원추리, 꽃창포, 매발톱꽃 등의 엽면적과 초장은 양지나 음지조건보다 22,000lux 정도되는 반음지조건에서 증가되었다. 특히 원추리의 경우에는 신초의 발생수나 잎의 크기가 음지나 반음지조건에서도 양지와 비슷하여서 광도에 대한 적응성이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농장탐방 : 양지농장(산란계농장) - 무항생제 유정란 생산, 열정 하나로!

  • 김수영
    • 월간양계
    • /
    • 제42권7호
    • /
    • pp.114-117
    • /
    • 2010
  • 양계업에 늦깎이로 뛰어들어 좋은 계란을 생산하기 위한 열정으로 누구 못지않은 노력을 보이고 있는 농장이 있어 찾아갔다. 강원도 춘천시 사북면에 위치한 양지농장(대표 김구봉)은 3천평 부지에 유창계사 7개동을 지어 2만수 규모의 평사에서 유정란을 생산하고 있다.

농장탐방 - 양지마을 오탄농장(동물복지 유정란)

  • 임설희
    • 월간양계
    • /
    • 제53권4호
    • /
    • pp.118-121
    • /
    • 2021
  • 동물복지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커지면서 양계업에도 친환경 축산의 바람이 불고 있다. 매년 친환경 축산 실천 의욕 고취와 지속가능한 축산업 육성을 위한 '유기, 무항생제 축산대상 공모전'이 개최된다. 작년 11월에는 2020년도 축산대상 공모전이 진행되었다. 이에 본지는 뛰어난 동물복지 현장으로 우수상을 수여받은 춘천의 '양지마을 오탄농장'의 김구봉 대표를 찾았다.

  • PDF

민이승(閔以升) 사상을 통해 본 조선후기 지(智)와 지각(知覺)의 동이논쟁(同異論爭) (The same and diferent opinions about knowing and consciousness through Min-yisheng's idea in the latter period of korea)

  • 임홍태
    • 한국철학논집
    • /
    • 제23호
    • /
    • pp.181-216
    • /
    • 2008
  • 이 글에서는 민이승(閔以升) 사상 가운데 주로 1)지와 지각의 문제, 즉 심성(心性)의 구분에 관한 논의문제, 이와 관련하여 펼쳐진 2)정제두와의 양지 지각의 동이성 문제에 관한 논의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민이승은 양명학자 정제두와 양명학의 시비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전개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양명학의 중심개념인 양지와 지각의 동이문제이다. 또한 민이승은 양지와 지각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김창협과 지(智)와 지각(知覺)의 동이문제를 둘러싸고 논쟁한다. 민이승은 정제두와의 양명학 논쟁에서 양명학의 '심즉리'설과 '지행합일'설에 대해 부정하고 있으며, 양명학의 중심개념인 양지는 천리와는 구분된 지각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제두와 양지와 지각의 관계에 대해 논쟁하고 있는 민이승은 당시 학계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지와 지각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결과, 민이승은 김창협과 지와 지각의 동이문제에 대해 한차례 논쟁을 벌이게 된다. 민이승과 김창협 사이에 전개된 지와 지각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지와 지각의 관계를 불상잡(不相雜)의 측면에서 보느냐 아니면 불상치의 측면에서 보느냐 하는 차이점에 있다. 김창협은 지와 지각이 서로 섞일 수 없다는 불상잡의 입장을 강조하는 데 비해, 민이승은 지와 지각의 관계를 불상리의 입장에서 양자의 연관성에 주목하고 있다. '양지와 지각의 동이문제', '지와 지각의 동이문제'라는 논쟁 주제를 중심으로 양자의 입장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논쟁이 사상사적으로 어떠한 의의가 있는가 살펴보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