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양자컴퓨터 기술 동향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NIST PQC Standardization Process and Round 4 Selected/Non-selected Algorithms (NIST PQC 표준화 과정 및 Round 4 선정/비선정 알고리즘 분석)

  • Choi Yu Ran;Choi Youn Sung;Lee Hak Jun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24 no.2
    • /
    • pp.71-78
    • /
    • 2024
  • As the rapid development of quantum computing compromises current public key encryption methods,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 in the United States has initiated the Post-Quantum Cryptography(PQC) project to develop new encryption standards that can withstand quantum computer attacks. This project involves reviewing and evaluating various cryptographic algorithms proposed by researchers worldwide. The initially selected quantum-resistant cryptographic algorithms were developed based on lattices and hash functions. Currently, algorithms offering diverse technical approaches, such as BIKE, Classic McEliece, and HQC, are under review in the fourth round. CRYSTALS-KYBER, CRYSTALS-Dilithium, FALCON, and SPHINCS+ were selected for standardization in the third round. In 2024, a final decision will be made regarding the algorithms selected in the fourth round and those currently under evaluation. Strengthening the security of public key cryptosystems in preparation for the quantum computing era is a crucial step expect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rotecting future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from threats. This paper analyzes the security and efficiency of quantum-resistant cryptographic algorithms, presenting trends in this field.

Research Trends of Random Number Generators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 기술을 적용한 난수 생성기 연구 동향)

  • Kim, Hyun-Ji;Lim, Se-Jin;Seo, Hwa-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449-451
    • /
    • 2022
  • 암호화 프로그램에서 난수생성기는 널리 사용되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공격의 대상이 되기 쉽고, 따라서 높은 난수성을 확보해야 한다. 최근에는 인공 신경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난수생성기에 딥러닝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들이 다수 진행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연구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크게 난수를 생성하는 연구와 다음에 올 수를 예측하는 예측 공격으로 나뉜다. 공통적으로는 학습해야 할 대상인 난수가 시계열 데이터이므로 대부분의 연구들이 RNN, CNN-1D 신경망을 사용한다. 난수 생성을 위해서는 분류형 신경망이 아닌, 생성형 신경망과 강화학습을 주로 사용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NIST SP-800 테스트를 시행하였을 때 높은 난수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최근 양자 컴퓨터가 개발됨에 따라 양자 하드웨어로부터의 양자 난수 생성기에 대한 예측 공격에 관한 연구도 있다. 딥러닝 기반의 난수 생성기에 대해서, 향후에는 기존의 난수생성기보다 빠른 생성 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경량 구현에 대한 연구와 그에 대한 비교 및 평가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Survey on Hash-Based Post-Quantum Digital Signature Schemes (해시 기반 양자내성 전자서명 기법 연구 동향)

  • Lee, Jae-He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4
    • /
    • pp.683-688
    • /
    • 2021
  • Digital signature algorithms such as RSA and ECDSA are threatened by the development of quantum computer technology,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future technology. Alternatively, various post-quantum algorithms such as grid-based, multivariate-based, code-based, and hash-based are being studied. Among them, the hash-based is a fast and quantitative security level that can be calculated and its safety has been proven. So i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In this paper, we examine various hash-based digital signature algorithms that have been proposed so far, and analyze their features and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In addition,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ducing the size of the signature in order for the hash-based signature algorithm to be practically used.

새로운 에너지물질 분자의 설계기술 동향(2)

  • Lee, Jun-Ung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5 s.291
    • /
    • pp.30-41
    • /
    • 2003
  • 최근 컴퓨터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등장한 컴퓨터모델링기법을 이용하여 현재는 존재하지 않으나 합성에 의해 만들어낼수 있는 새로운 분자들을 예측할 수 있게되었다. 이러한 기술을 에너지물질의 설계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1890년대부터 시작되어, 새로운 고밀도 고에너지물질 분자들이 이론적으로 존재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속속 보고되고 있다. 에너지물질 분자들의 주요 구성원소는 C, H, N, O 등인데, 이들 원자들로부터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선진국을 위시한 세계 여러 나라의 이론화학자들이 양자역학 이론에 바탕을 둔 ab initio 계산이 주가 되는 분자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분자들의 존재가능성을 예측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고에너지 물질을 찾으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순수한 질소 원자들로만 이루어진 분자들, 일명 질소클러스터(Nitrogen Clusters)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N4에서 N60까지 다양한 개수의 질소원자로 이루어진 질소크러스터의 존재가능성이 이론적으로 확인되고 있고, $N5^+$가 최근 합성되는 등 이들 새로운 초 고에너지의 분자들의 출현이 기대된다.

  • PDF

21세기 정보통신을 위한 신소재 연구동향

  • 이일항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3.05a
    • /
    • pp.61-61
    • /
    • 1993
  • 20세기 막바지에 들어 서면서 21세기를 바라보는 정보화사회는 어떠한 과학기술의발전을 필요로 하는 것일까? $10^{12}$ 집적도, $10^{-8}$cm 원자공간, $10^{-12}$-$10^{-15}$ 초등 시간대역에 대한 도전과[ 테라바이트 메모리], [테라바이트 컴퓨터], [테라비트 광통신] 등을 앞세우면서 고속화, 대용량화, 초미세화, 다기능화, 고기능화, 지능화를 지향하는 미래 정보통신 기술 실용화를 위하여서는 어떠한 성질의 신소재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인가? [20세기 전자시대] 의 대표적 정보운반자인 [전자] 에 대한 연구는 21세기에는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새로운 정보운반자로서 부상하고 있는 [광자],[뉴런],[생체분자]등에 대한 연구는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 것인가? 신개념의 정보통신 기술을 구체적으로 실용화 하기 위하여 연구되어야 할 신소재는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 것인가\ulcorner 초미세구조, 양자효과, 비선형효과, 원자가공, 원자조작, 인공신소재, 초격자 지능신소재, 초전도 유기물, 분자, 광논리, 광신경망, 생체노리, 생체컴퓨터등 신개념의 창출로부터 비롯해서 의료, 복지, 장애. 기후. 환경. 지각.해양. 항공. 우주에 이르는 다차원적 통신과 지능형 정보를 가능케 하는 신소재 연구의 조건들과 그에 따른 도전을 전망해 본다.에 따른 도전을 전망해 본다.

  • PDF

Rubidium Market Trends, Recovery Technologies, and the Relevant Future Countermeasures (루비듐 시장 및 회수 동향에 따른 향후 관련 대응방안)

  • Sang-hun Lee
    • Resources Recycling
    • /
    • v.32 no.3
    • /
    • pp.3-8
    • /
    • 2023
  • This study discussed production, demand, and future prospects of rubidium, which is an alkali group metal that is highly reactive to various media and requires carefulness in handling, but no significant environmental hazard of rubidium has been reported yet. Rubidium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optoelectronic equipment, biomedical, and chemical industries. Because of difficulty in production as well as limited demand, the transaction price of rubidium is relatively high, but its detail information such as market status and potential growth is uncertain. However, if the mass production of versatile ultra-high-performance equipment such as quantum computers and the necessity of rubidium use in the equipment are confirm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ubidium market will expand in the future. Rubidium is often found together with lithium, beryllium, and cesium, and may be present in granite containing minerals such as lepidolite and pollucite, as well as in seawater and industrial waste. Several technologies such as acid leaching, roasting, solvent extraction, and adsorption are used to recover rubidium. The maximum recovery efficiency of the rubidium from the sources and the processing above is generally high, but, in many practices, rubidium is not the main recovery target, and therefore the actual recovery effects should depend on presence of other valuable components or impurities, together with recovery costs, energy consumption, environmental issues, etc. In conclusion, although the current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ubidium are limited, with consideration of the possible market fluctuations according to the emergence of large-scale demand sources, etc., further investigations by related institutions should b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