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양악 수술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악교정 수술시 보스민 거즈에 의해 나타난 폐부종 증례보고 (PULMONARY EDEMA INDUCED BY BOSMINE SOAKED GAUZE IN ORTHOGNATHIC SURGER)

  • 김재경;김용관;유준영;주진철;이창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148-151
    • /
    • 1998
  • 구강악안면영역은 그 해부학적 구조상 혈관 분포가 풍부하고 따라서 구강내로 접근하는 수술시 신체 다른 부위와 달리 출혈 소견을 많이 보이며 수술중 과다출혈의 방지와 지혈의 목적으로 epinephirne soaked gauze즉 bosrnine gauze의 사용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사용이 불가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은 혈관 분포가 풍부하므로 epinephrine의 systemic uptake의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할 수 있겠다. 고농도의 epinephrine은 이론상 혈관수축을 일으켜 순간적인 systemic volume overload의 상태를 야기시켜 폐부종 및 pulmonary effusion을 일으킬 수 있으나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었다. 악안면부위는 혈관공급이 많아 수술중 지혈이 용이하지 못해 bleeding control을 위해 또 습관적으로 bosmine 거즈의 packing이 행해지고 있지만 수술자에 의한 정확한 농도로 희석된 bosmine 거즈 사용이 필수적이다. 본원에서 양악 악교정 수술시 소독간호사에 의해 잘못 희석된 고농도의 bosmine 거즈를 상악후방에 packing하여 발생된 전신적 합병증으로써 폐부종이 발생한 바 bosmine 거즈의 사용시 사용부위에 따라 농도의 확인과 술자의 주의를 요한다고 생각된다.

  • PDF

중안면부 함몰과 하악전돌을 동반한 III 급 부정교합자의 교정-악교정수술 복합치료 (COMBINED ORTHODONTIC-SURGICAL TREATMENT FOR CLASS III PATIENT WITH MIDFACIAL DEFICIENCY AND MANDIBULAR PROGNATHISM)

  • 조은정;김종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37-645
    • /
    • 1996
  • 성장이 완료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는 골격 부조화의 심도, 절치 치축, overbite와 연조직 측모의 심미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교정치료와 악교정수술을 병행하여 골격과 치아관계 개선에 따른 기능의 증진외에도 안모의 심미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특히 전후방적, 수직적, 횡적인 골격 부조화가 크거나 안면비대칭이 있는 경우, 또한 악교정수술후의 안정성이나 보다 이상적인 안모를 위하여 양악수술을 시행한다. 중안면부 함몰환자에서 안와하연과 관골부는 보존하며 비상악체를 전방이동하는 pyramidal Le Fort II osteotomy 를 시행할 수 있으며, 안와하연과 관골부치 전방이동을 필요로 할 때는 quadrangular Le Fort II osteotomy 를 시행할 수 있다. 이 수술법은 안와하연의 위치를 변화시켜 안와체적에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골의 횡적, 수직적 이동량이 5 mm 이상일 때는 시행할 수 없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중안면부 함몰과 하악전돌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교정-악교정수술 (Le Fort II osteotomy 와 BSSRO) 복합치료를 받은 2명의 환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양악수술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SOFT TISSUE CHANGES AFTER DOUBLE JAW SURGER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조은정;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6
    • /
    • 1996
  • 본 연구는 골격성 II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이동수술과 하악골 후방이동수술을 동시에 시행하였을 때 경,연조직 측모 및 연조직 후경의 변화를 관찰하고 경,연조직 변화의 상관성과 그 비율을 산출하여 교정-악교정 수술복합 치료 계획의 수립과 결과의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 하악골의 수직적 골격 부조화는 경미하고 전후방적 골격 부조화가 심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를 받고 1990년 7월부터 1995년 4월 중에 Le Fort I 골절단술 또는 Le Fort II 골절단술로 상악골을 전방이동시키는 동시에 시상분할 골절단술로 하악골을 후방이동시킨 성인 환자 25명(남자 13명, 여자 12명) 을 대상으로 수술전,후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골의 전방이동에 따른 상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Stms를 제외하면 상관성이 높았으며 A point의 전방이동에 따라 Sn, SLS, LS 는 각각 $71\%,\;67\%,\;37\%$ 의 비율로 전방이동하였다. 2.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른 하순부 연조직의 수평적 변화는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ID, B point, Pog, Gn의 후방이동에 따라 LI, ILS, Pog, Gn 은 각각 $84\%,\;107\%,\;96\%,\;97\%$ 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3. 하악골의 후방이동에 따라 SLS, LS, Stm, LI 는 중등도의 상관성을 가지며 하방이동하였다. 4. 경조직의 전후안면고경비율과 연조직의 상,하안면고경 은 수술전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술후 Stm 의 하방이동으로 하순고경에 대한 상순고경의 비율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01). 5. 연조직 후경은 수술후 LI-LIH 에서는 증가하고 LS-LSH 에서는 감소하였으며 LS-LSH 의 수술후 변화량과 수술전 후경은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1).

  • PDF

양악 수술 중 발생한 폐부종의 치험례 (CASE REPORT OF PULMONARY EDEMA DURING TWO JAW SURGERY)

  • 최희원;김경원;이은영;강지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78-182
    • /
    • 2006
  • 폐부종은 구강악안면외과 영역의 수술 도중에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전신마취하에 수술중인 외과의와 마취의는 환자의 상태를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하며 수술 중 폐부종이 발생할 가능성에 항상 대비하여야 한다. 폐부종 증세가 발견되는 즉시, 즉각적이고도 적절한 처치를 시행한 경우 예후가 좋으며, 근본적인 원인치료 및 타장기의 합병증 및 후유증에 대하여 검사가 필요하다.

빈혈이 있는 여호와의 증인 환자에서 무수혈 양악교정 수술 (Experience of a Bloodless Two-Jaw Surgery and Care in Jehovah's Witnesses with Anemia)

  • 이정만;서광석;김현정;신순영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5-31
    • /
    • 2012
  • We report a case of 15 year-old Jehovah's Witness patient with mild anemia who underwent a successful orthognathic two-jaw surgery. Jehovah's Witness patients refuse transfusion of blood or blood products even in life threatening situations. The use of recombinant human erythropoietin and iron supplement increased hemoglobin during preoperative period. Intraoperatively, meticulous surgical hemostasis,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and induced hypotension enabled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without the use of blood products.

한국인에서의 분절골 절단술 후 연조직 변화의 평가 (Evaluation of Soft Tissue Change after Segmental Osteotomy in Korean)

  • 박재억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75-979
    • /
    • 1998
  • 하악 전치부 근첨하 골전단술을 동반한 상악 변형 분절골 절단술 목적은 양치조성 혹은 양악 전돌 환자로부터 가장 좋은 치료 결과를 얻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부방사선 계측 분석과 정면 사진을 비교 분석해 술 후 연조직 변화를 조사하였다. 구순 전돌이 효과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비순각은 증가하였다. 코가 약간 넓어졌으나 결과는 비교적 양호하였다. 절단된 골분절의 혈액공급은 잘 유지되었다. 이것은 많은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법이다.

  • PDF

상하악 치조전돌증의 양악 분절골절단 수술후 경, 연조직 변화에 관한 연구 (SOFT HARD TISSUE CHANGES FOLLOWING ANTERIOR SEGMENTAL SURGERY IN BIMAXILLARY PROTRUSION)

  • 송재철;진병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9권3호
    • /
    • pp.250-259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soft and hard tissue changes after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surgery in bimaxillary protrusion patients. 11 patients had received both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segmental surgery and were investigated radiologically with lateral cephal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correlation of maxillary hard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relative high. : Coefficient between UIE and Stms was 0.89 (p<0.001). 2. The correlation of mandibular hard and soft tissue horizontal changes were very high, especially at the chin. : Coefficients were over 0.90 (p<0.001) 3. All points were moved superiorly except SLS, LS, Stms. 4. Upper and lower lip convexity to the E-Line were decreased (p<0.001) and postsurgical facial profiles were changed very esthetically.

  • PDF

3차원 전산화 단층 사진을 이용한 안면비대칭 환자의 악교정 수술 전, 후 교근 분석 (Analysis of masseter muscle in facial asymmetry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 서승아;백형선;황충주;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8-27
    • /
    • 2009
  •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하악 우각부위의 연조직 형태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근의 성상에 대한 평가는 경조직의 분석과 더불어 중요하다. 교근은 수술로 인한 하악의 후방이동 시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구조 중 하나이며, 수술 후 교근의 상태는 환자의 저작력과 하악 우각부 외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안면비대칭을 가진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편위, 비편위측 교근의 형태학적 차이와 하악골 후퇴술 이후 양측 교근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안면비대칭의 개선 전, 후 교근을 정상교합자와 비교하여 비대칭의 수술이 교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면비대칭으로 진단된 환자 12명의 양악수술 전후의 3차원 CT 영상과 정상교합자 10명의 3차원 CT 영상에서 하악골과 교근을 계측,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칭군에서 교근의 편위, 비편위측 모두 정상교합군에 비해 부피가 작고, 최대 단면적 부위가 좁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편위, 비편위측의 교근의 주행각도 차이와 최대단면적 부위에서의 두께 차이가 정상 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양악 수술 전, 후에 교근의 주행각도는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편위, 비편위측 각도의 차이도 감소하였으며, 최대 단면적 부위에서의 교근의 두께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비대칭 수술 후 좌우 교근은 너비를 제외하고는 정상 교합자와 유의차 없게 변화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안면비대칭 환자는 교근의 성상이 분명히 정상 교합자와는 다르지만, 적절한 수술 후에 경조직뿐만 아니라 교근도 정상범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상악골 전진술을 동반한 양악 수술 시 중안면 연조직 형태의 변화 (Soft tissue change of the midface in skeletal class III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 정종현;김성식;손우성;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3-94
    • /
    • 2008
  • 본 연구는 중안면 함몰이 있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중안면의 형태를 정상 표본과 비교하고, 악교정수술에 의하여 연조직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 받고 상악 전진술과 하악 후퇴술을 시행 받은 환자 34명(남자:15명, 여자:19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 측모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분석하였다.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의 중안면의 경조직 계측치 S'-Or, Or${\bot}$NA, S'Or/SN, ${\angle}$SNOr에서 남녀모두에서 정상 교합자와 큰 차이가 있었다. 상악골이 평균 5.03 mm 전방이동 될 때 연조직 Orbitale는 2.26 mm전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상관계수는 0.599였다 (p<0.05). 상악 평면각의 변화(시계방향으로 회전)와 상악골의 수직이동은 연조직 Orbitale의 전방이동과 유의성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상악골 전방이동에 대한 연조직 Orbitale와 Subnasale의 전방이동 비율은 각각 43.57%, 81.54%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중안면 함몰이 있는 환자는 상악골 전방이동시 상순과 비부 외에도 연조직 Orbitale를 포함한 중안면 연조직이 전방으로 이동하지만, 상악골의 회전이동 및 수직이동에 대해서는 연조직의 변화량이 적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악골의 수술에 따른 중안면 함몰의 해소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악전돌증 환자에 대한 양악 수술의 안정성 (STABILITY OF TWO-JAW SURGERY FOR MANDIBULAR PROGNATHISM)

  • 권대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348-356
    • /
    • 2001
  • The factors related to relapse in 20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ho performed two-jaw surgery with Le Fort I maxillary osteotomy and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as investigated. All patients were fixed with miniplate on the maxilla and three screws at each mandible. Cephalograms taken at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nd 8 months postoperative after surgery were traced and digitized. 1.The horizontal and vertical relapse of maxilla and mandibular chin points was within 1mm postoperatively. Compare to the preceding report concerning the mandibular set-back surgery only group, this reveals two-jaw surgery for mandibular prognathism using rigid fixation is more stable. 2.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pse tendancy was observed at chin points, the screw tip land-marks moves anterio-superiorly and each side of the screws moved as a one unit. The screw tip points moved similar direction to the masticatory force and this movements might be influenced by the muscular tension to the distal segment of the mandible. 3.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 amou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 of mandibular set-back influenced the mandibular relapse. However, direction and amount of maxillary surgical movement did not inf1uenced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relap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