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초

검색결과 493건 처리시간 0.026초

약초 추출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감주의 젖산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Gamju Manufactured Using Medicinal Herb Decoction)

  • 조계만;안병용;서원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9-655
    • /
    • 2008
  • 한방발효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방감주의 젖산발효를 유도하였다. 이를 위해 각종 시료로부터 다양한 젖산균을 순수 분리하여 발효적성을 검토한 결과 최적균주로서 LAB19 균주를 선별하였다. LAB19 균주는 곶감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생리 화학적 특성 및 16S rR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동정되었다. 한방감주에 종배양한 LAB19 균주를 2.5%(v/v) 접종하고 $25^{\circ}C$에서 60시간 발효시켰을 때, 한방감주는 141.3 g/L의 환원당과 5.33 g/L의 유기산, 그리고 1.19 g/L의 가용성 페놀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과 유기산 구성을 살펴보면 당의 약 90%는 맥아당이었으며, 유기산의 58%는 젖산이었다. 수용성 phenolics 성분 등에 기인하는 라디칼 소거 활성은 L-ascorbic acid의 92.4% 보다 낮은 76.6-75.7% 범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복분자 온수추출물의 VEGF-유도성 혈관신생 억제효과 (Hot-water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uel Suppresses VEGF-induced Angiogenesis)

  • 김억천;김혜진;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45-1355
    • /
    • 2014
  • 약초 추출물을 이용한 혈관신생 억제는 많은 고형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인식되어 왔다. 현재까지 가장 효과적으로 종양을 억제하는 방법은 VEGF-유도성 혈관형성 경로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처음으로 복분자 온수추출물의 혈관형성 억제효과를 in vitro와 ex vivo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복분자 온수추출물은 VEGF-유도성 혈관신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ERK와 p38의 인산화, MMP의 활성화를 억제하였다. 또한, 복분자 온수추출물은 VEGF에 의해서 유도된 VEGFR2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이 결과들은 복분자 온수추출물이 VEGFR2의 인산화를 저해함으로써 혈관신생을 억제하고 이것은 혈관신생과 관련된 질병을 치료하는데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 (Stem Rot of Disporum sessile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심창기;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1호
    • /
    • pp.50-52
    • /
    • 2007
  • 2004과 2005년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함양 약초 전시포장에 재배중인 윤판나물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와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하면서 암갈색으로 되고 시들어 말라 죽는다. 병반부와 지제부위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생기고 감자한천 배지에서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으며 크기는 1$\sim$3mm였다. 균사의 폭은 $3{\sim}10{\mu}m$이며 균사생육 적온은 30$^{\circ}C$였으며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윤판나물에서 발생한 병징과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윤판나물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 (Anthracnose of Salvia plebeia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 권진혁;남명현;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9-121
    • /
    • 2007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약초재배 포장에 재배중인 배암차즈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 잎자루, 줄기 등 식물체 전부위에서 발생하였다. 식물체가 서서히 시들기 시작하면서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색되어 결국 말라 죽는다. 균총의 색깔은 감자한천배지에서 회색이며 배지표면에 분홍색의 분생포자퇴를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단세포, 방추형이며, 크기는 $8{\sim}17{\times}3{\sim}4\;{\mu}m$이었다. 부착기는 연한 암갈색이고 곤봉상이며 크기는 $8{\sim}11{\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 병원균을 Colletotrichum acutatum J. H. Simmonds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재식밀도와 시비량이 야생약초 까마중(Solanum njgrum L.)의 주요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Fertilizer Level on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olanum njgrum L.)

  • 최성규;이종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0-344
    • /
    • 1991
  • 남부지방에서 까마중의 직파재배시 재식밀도와 시비량이 주요생육 형질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초장은 밀식일수록 크고 소식일수록 짧아서 재식주수와 초장은 고도의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2. 경직경과 분지수는 소식일수록 적었다 3. 수량 구성요소인 주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재식주수가 많을수록 감소되어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10a당 전초의 생산량은 재식주수가 많은 밀식구에서 증가되는 경향으로 10$\times$20cm(50주/$m^2$)와 20$\times$20cm(25주/$m^2$)가 $m^2$당 재식주수가 많아 전초의 생산량이 증가되어 알맞는 재식거리로 판단된다. 4. 3요소 시용(N: P$_2$O$_{5}$ $K_2$O=6:6:6)은 무시용에 비하여 초장이 크고 분지수가 많아 생육이 양호하고 생체량이 증가되었다.다.

  • PDF

옥상텃밭을 이용한 약초재배 시험 (Investigation on the Growth of Several Medicinal Plants in a Rooftop Vegetable Garden)

  • 하유미;김동엽;황동규;민광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3-63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responses of medicinal plants such as Glehnia littoralis, Cryptotaenia japonica, Angelica gigas, Reynoutria japonica, Saururus chinensis, Houttuynia cordata, Ligularia fischeri, and Aralia cordata under 70%-shading and full sunlight conditions on a rooftop condition using artificial soil as a growth media. Glehnia littoralis, Cryptotaenia japonica, Ligularia fischeri, Saururus chinensis, and Houttuynia cordata showed better growth on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petiole length and leaf number under full sunlight conditions on a rooftop condition. Cryptotaenia japonica and Houttuynia cordata had high value of Hunter's a (red-green) under full sunlight, while had lower value of L(lightness) and b(blue-yellow) than those of 70% shading condition. As an index of plant stress response, Glehnia littoralis, Reynoutria japonica, Houttuynia cordata, Ligularia fischeri showed Fv/Fm values 0.79~0.84 under full sunlight in August, indicating low stress on plant growth. Therefore they seemed to be suitable medicinal plats for rooftop conditions. Ligularia fischeri and Reynoutria japonica showed better growth under 70% shading treatment in August, while showed high growth response under full sunlight conditions in September. The 70% shading treatment was effective for the growth of Angelica gigas, Reynoutria japonica, and Aralia cordata. Angelica gigas and Reynoutria japonica, however, showed better plant growth under full sunlight during summer. The results showed that Glehnia littoralis, Cryptotaenia japonica, Ligularia fischeri, Saururus chinensis, and Houttuynia cordat seemed to be suitable medicinal plants for rooftop garden where there is a full sunlight condition.

약초 복용 후 Ochrobactrum anthropi에 감염 1예 (A Case of Ochrobactrum anthropi Infection after Using Medicinal Plants)

  • 조성식;천재우;전춘배;박상묵;장숙진;문대수;박영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2-25
    • /
    • 2006
  • Ochrobactrum anthropi, previously known as Achromobacter species biotypes 1 and 2 (CDC groups Vd-1, Vd-2), belong to the groups of non-Enterobacteriaceae- nonfermentative Gram negative bacilli. Achromobacter is not presently a recognized genus. Achromobacter xylosoxidans has been transferred to genus Alcaligenes as A. xylosoxidans subsp. xylosoxidans, and "Achromobacter" sp. group Vd has been named Ochrobactrum anthropi. O. anthropi was isolated from a blood culture. Organisms were identified as O. anthropi by use of the biochemical test and the VITEK 2(bioMerieux, USA). The Organism was susceptible only to colistin, imipenem, meropenem, and tetracycline, but were resistant to amikacin, aztreonam, cefepime, ceftazidime, cefpirome, ciprofloxacin, gentamicin, isepamcin, netilmicin, pefloxacin, piperacillin, piperacillin/tazobactam, ticarcillin, ticarcillin/clavulanic acid, tobramycin, and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We report the clinical and microbiologic characteristics of O. anthropi infection in the patient. This is the first case of O. anthropi infection after using a plant as medicine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 PDF

둥굴레에 흰비단병을 일으키는 Sclerotium rolfsii에 관하여 (Sclerotium rolfsii Causing Collar Rot on Doonggulle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 권진혁;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1-122
    • /
    • 2000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함양약초시험장 포장에 발생한 병든 둥굴레로부터 병원균을 분리하여 병원균의 특성과 병징을 토대로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둥굴레 흰비단병을 동정하였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반부위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PDA 배지 상에서 왕성하게 생장하였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고 균사가 가장 잘 자랄수 있는 온도는 $30^{\circ}C$이였다. PDA 배지에서 시간이 경과되면 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는데 균핵의 크기는 $0.9{\sim}6.8{\times}0.6{\sim}5.2\;mm$ (평균 $2.7{\sim}2.3\;mm$) 이었다.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은방울꽃 흰비단병 (Stem Rot of Convallaria keiskei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이흥수;강동완;곽용범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5-147
    • /
    • 2011
  • 경남농업기술원 함양군 약초전시 포장에 재배중인 은방울꽃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원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지제부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고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은방울꽃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은방울꽃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작약근(芍藥根)의 기계박피(機械剝皮) 시간(時間)에 따른 품질(品質) 차이(差異) (Effect of Mechanical Peeling Time on Yield and Quality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Root)

  • 김기재;박준홍;신종희;김세종;박소득;최부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7-30
    • /
    • 1999
  • 작약 수확후 건조과정중 양질의 약재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뿌리약초 박피기를 이용하여 껍질제거시 박피시간을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작약근의 기계박피시 표피 부분만 제거하고 피층부분의 수량손실과 paeoniflirin 함량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적정 기계박피시간은 1회에 $10{\sim}30$분이 었다. 작약근 부위별 paeoniflorin 함량은 박피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상위부>하위부>중위부 순으로 노두부분과 인접한 상위부가 가장 높았다. 건조 작약 절단 전에 수처리시 박피 및 수침시간이 길어질수록 paeoniflorin의 유실량이 많았고, 색도 변화는 박피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적갈색의 표피 부분이 제거되어 명도가 증가하고 총 색도가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