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제내성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2초

부산지역의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Salmonella sp. 및 Shigella sp.의 약제내성 유형에 관한 연구 (Drug Resistance Profiles of Salmonella sp. and Shigella sp. Isolated from Diarrheal Patients in Pusan, Korea)

  • 차인호;김용환;빈재훈;김경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27-932
    • /
    • 1994
  • 병원을 찾은 설사환자의 분변으로 부터 Salmonella sp.와 Shigella sp.을 분리하고 혈청형, 월별, 연령별분포 및 약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311명의 설사환자로 부터 34주(10.9%)의 Salmonella sp.와 25주(8%)의 Shigella sp.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Salmonella sp.의 혈청형은 group D(50%)가 가장 많았고, Shigella sp.은 대부분(96%)이 group D에 속하였다. 분리된 Salmonella sp.의 월별 및 연령별 분포는 계절과 연령에 크게 관계없이 분리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와는 달리 Shigella sp.은 7월(64%)과 10대(76%)에서 높은 분리율을 나타내었다. 분리균주에 대하여 약제내성을 조사한 결과 Shlmonella sp.는 streptomycin에 공시한 전 분리균이 내성을 나타내었고, erythromycin과 novobiocin(90.6%), penicillin G(65.6%) 및 cephalexin(46.9%)에, Shigella sp.는 erythromycin(95.8%), novobiocin(91.7%) 및 streptomycin(87.5%)에 각각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Salmonella sp.와 Shigella sp.의 내성양상은 각각 18종류 및 4종류의 내성형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 PDF

Myxococcus stipitatus JW117이 생산하는 Polyene계 세포독성 물질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Properties of Cytotoxic Polyene Antibiotics Produced by Myxococcus stipitatus JW117.)

  • 안종웅;최상운;권호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7-161
    • /
    • 2002
  • 암세포가 특정 항암제에 의해 내성을 획득하면 구조가 상이한 타 항암제에도 교차내성을 나타내는 이른바 암세포의 다약제 내성(MDR)이 암 화학요법에 있어서 가장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약제 내성 암세포주인 CL02 세포를 이용하여 점액세균의 대사산물을 대상으로 다약재 내성 암세포에 유효한 항암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Myxococcus stipitatus로 동정된 JW117 균주의 대사산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발견하고 그 활성본체로서 polyene계 화합물인 phenalamides $A_1$, $A_2$, $A_3$를 분리하였다. Phenalamides $A_1$, $A_2$, $A_3$는 인체기원의 암세포에 대해 모두 강한 세포독성($IC_{50}$/ : 0.23~0.57 $\mu\textrm{g}$/ml)을 나타낼 뿐 아니라 다약제내성 세포주인 CL02와 cisplatin내성 세포주인 CP70에 대해서도 감수성 세포주와 동일한 활성을 나타내어 다약제 내성을 극복하는 우수한 활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호남지역 농경지 토양에 분포된 농약내성균의 밀도와 살균제 Chlorothalonil의 분해 (Population of Pesticide Resistant Strains in Cultivated Soils of Honam Area and Degradation of Chlorothalonil in soil)

  • 이상복;최윤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5-191
    • /
    • 2001
  • 호남지역 농경지에 수년간 사용되어 온 타로닐, 만코지, 벤타존 및 부타클로르약제에 대한 내성균의 밀도를 조사하고 이들 내성균주를 분리하여 미생물속의 분포 및 타로닐의 분해정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호남지역 농경지에 분포한 타로닐을 비롯한 4개약제 $500{\mu}g\;ml^{-1}$에 생존하는 내성균의 밀도는 $10^3cfu\;g^{-1}$이 상으로 시설재배지> 밭> 논토양 순으로 높았고, 약제별로는 벤타존> 부타클로르> 타로닐> 만코지 순으로 높았으며, 이들4개 약제 $500{\mu}g\;ml^{-1}$에서 분리된 내성균주의균속 분포율은 Acinetobacter속과 Corynebacterium속이 높게 나타났으나 Moraxella속은 낮게 나타났다. 타로닐 연용 밭토양에 $0{\sim}100{\mu}g\;g^{-1}$까지 처리후 20일간 배양시 사상균수는 초기보다 감소하였으나 호기성3, 방선균 및 타로닐내성균수는 크게 증가하였고, 멸균 토양중에서 다코닐약제 분해균주의 밀도는 $10{\mu}g\;g^{-1}$처리시 접종후 5일경에 가장 높았고, TD-25균주는 TC-23균주보다 높은 밀도로 나타났다. 다코닐 약제처리후 20일째의 약제잔류농도는 고농도처리에서 높았고 약제분해는 TD-25균주> 무멸균토양 함유균주> TC-23균주 순으로 나타났다.

  • PDF

콩 주요 노린재류의 약제감수성 (Susceptibility of Stink Bugs Collected in Soybean Fields in Milyang to Some Insecticides)

  • 배순도;김현주;이건휘;박성태;이시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3-419
    • /
    • 2008
  • 밀양의 콩 포장에서 채집한 5종 노린재류의 7종 약제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하였다. 7종 약제에 대한 노린재의 반수치사농도($LC_{50}$)는 노린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deltamethrin에서 0.4${\sim}$2.3 ppm으로 가장 낮았으며,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fenthion을 제외하면 가로줄노린재,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및 썩덩나무노린재는 phenthoate에서 가장 높았다. 7종 약제에 대한 노린재류의 평균 반수치사농도는 톱다리 개미허리노린재에서 7.5 ppm으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썩덩나무노린재(16.6 ppm)>알락수염노린재 (17.6 ppm)>풀색노린재(19.1 ppm)>가로줄노린재(28.4 ppm)의 순으로 낮았다. 또한 약제별 추천농도에 대한 노린재의 90% 치사농도의 비로 나타낸 상대적 약제내성비 (상대적 약제내성비=$LC_{90}$/약제별 추천농도)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로줄노린재 및 알락수염노린재는 fipronil에서, 풀색노린재는 fenitrothion에서 썩덩나무노린재는 fenthion에서 가장 낮았다. 노린재류의 7종 약제에 대한 평균 약제내성비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서 0.09로 가장 낮았으며, 다음은 알락수염노린재(0.26)>풀색노린재(0.30)>가로줄노린재(0.37)>썩덩나무노린재(0.39)의 순으로 낮았다. 그리하여 노린재류의 약제감수성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서 가장 높았으며, 가로줄노린재에서 가장 낮았고, 상대적 약제내성비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에서 가장 낮았으며, 썩덩나무노린재에서 가장 높았다. 따라서 공시약제에 대한 노린재류의 상대적 내성비가 1.0 미만으로 약제감수성이 매우 높아 콩 포장에서 약제살포에 의한 노린재류의 방제효과는 매우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질균(痢疾菌) 및 살모내라의 약제내성(藥劑耐性), 내성화방지(耐性化防止) 및 제거(除去) (Drug resistance of Shigella and Salmonella and the inhibition and elimination of drug resistance)

  • 전도기;설성용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7
    • /
    • 1979
  • 1978년(年)에 분리(分離)한 9주(株)의 Shigella, 70주(株)의 Salmonella paratyphi A 및 230주(株)의 S. typhi의 약제내성(藥劑耐性), 내성화방지(耐性化防止) 및 제거(除去)에 대(對)하여 실험(實驗)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Shigella는 79주(株)가 Sh. flexneri, 16주(株)가 Sh. sonnei였는데 1주(株)를 제외(除外)한 94주(株)가 chloramphenicol tetracycline, streptomycin, sulfisomidine에 다약제내성(多藥劑耐性)이었으며 그중(中) 70주(株)는 ampicillin과 carbenicillin에, 80주(株)는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22주(株)는 nalidixic acid에, 1주(株)는kanamycin에도 내성(耐性)이었다. Gentamicin, amikacin, cephaloridine, rifampin에 내성(耐性)인 균주(菌株)를 없었다. S. paratyphi A와 S. typhi는 공시약제(供試藥劑)에 감수성(感受性)이었으나 다만 rifampin, 또는 sulfisomidine에 약(弱)한 내성(耐性)을 가진 것이 있었다. 다약제내성(多藥劑耐性)인 shigella의 약(約) 80%가 전달성(傳達性) R plasmid를 가지고 있어서 그 내성(耐性)을 E. coli에 전달(傳達)시킬 수 있었다. 내성전달빈도(耐性傳達頻度)는 공시균주(供試菌株) 및 피전달균(被傳達菌)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다. 보존(保存)한 내성균주(耐性菌株)는 그 비율(比率)은 균주(菌株)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으나 내성균(耐性菌)과 감수성균(感受性菌)으로 구성(構成)되어 있었으며 계대배양(繼代培養)에 의하여 내성(耐性)이 쉽게 탈락(脫落)되지는 안하였다. Acriflavine은 내성(耐性)을 탈락(脫落)시키는 효과(效果)는 있었으며 균주(菌株)에 따라 그 차이(差異)가 심(甚)하였고 atabrine은 효과(效果)가 없었다. 약제(藥劑)의 병용(倂用)은 Shigella에 대(對)한 작용(作用)을 증강(增强)시키는 경우(境遇)가 많으며 대체(大體)로 상승작용(相乘作用)을 나타냈고 상가작용(相加作用)을 나타내는 경우(境遇)가 있었으나 길항작용(拮抗作用)은 볼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