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약제내성

검색결과 342건 처리시간 0.026초

다제내성 폐결핵 환자에서 폐절제술 후 일차 항결핵제 치료 (Pulmonary Resection Combined with Isoniazid-and Rifampin-based Drug Therapy for Patients with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 박승규;김진희;박준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79-185
    • /
    • 2005
  • 배 경 : 다제내성 폐결핵환자에서 폐병소의 근치절제술 후 일차 항결핵제로 구성된 처방으로 치료하였을 때의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향적 연구로 국립마산결핵병원에서 1998년 2월부터 2004년 12월 사이에 다제내성 폐결핵으로 수술전 HRCT에서 공동을 포함하는 국소적 병소인 것과 수술 중에 절제부위 이외에 잔존병소가 없다고 판단 된 환자 17명에게 수술 후 3HERZS/3HERS/6HER로 투약하고 그 임상적 경과를 살펴보았다. 결 과 : 대상환자들은 약제감수성검사에서 INH, RFP이외에 평균 4가지 항결핵제에 내성을 보였으며, 술 후 균음전은 평균 2일째 이루어졌다. 평균 39개월의 추구관찰 기간 동안 치료를 중단한 1명을 제외한 94%(15/16) 환자에서 치유되었으며 균음전에 실패한 1명과 치료종결하고 약 7년 후에 재발된 1명은 본원의 처방지침에 따라 이차 항결핵제로 처방을 변경 투약하여 모두 균음전에 성공하였다. 결 론 : 국소적 병변을 가진 다제내성결핵 환자에서 병소의 근치절제후 일차 항결핵제로 구성된 처방으로도 양호한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경험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경험과 병소별 결핵균 주의 특성에 관한 연구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결핵 재치료의 Prothionamide, Cycloserine, Para-Aminosalicylic Acid, Streptomycin (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4제 요법 임상 효과 (A Clinical Effect of Retreatment by Prothionamide, Cycloserine, Para-Aminosalicylic Acid, Streptomycin (Kanamycin or Tuberactinomycin) on Pulmonary Tuberculosis)

  • 신철식;임영재;김영준;고석신;김문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2호
    • /
    • pp.167-171
    • /
    • 1992
  • PTA, CS, PAS, SM (KM 또는 TUM) 4제 요법의 임상효과를 알고자 지난 5년동안 국립 공주 병원에 입원하였던 도말양성 환자중 추적 가능한 112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균 도말검사상 64%가 음전을 나타내었고 그 시기는 85%가 3개월 이내에 이루어졌다. 방사선 소견은 반응이 없는 경우가 약 반 정도이었으며, 세균학적 검사를 함께 고려하여 판단할 때 62% 정도만이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양호한 결과는 병력이 짧고 내성정도가 적을수록 좋았다. 그리고 병력이 오래된 환자의 재치료 처방은 적어도 3제 이상의 감수성을 가진 약제를 선택해야 되며, 두가지 이하의 감수성이 있는 경우는 INH 단독 요법등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과 일본의 담수어에서 분리되는 운동성 aeromonads의 표현형적 특성과 약제감수성 (Phenotypic characteristic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motile aeromonads isolated from freshwater fish in Korea and Japan)

  • 한현자;고빈다사미비빅카난한;히로노이쿠오;아오키타카하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49-25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담수어에서 분리된 운동성 aeromonads 7균주와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에서 분양받은Aeromonas hydrophila 4균주의 표현형적 특성을 API20E와 APIZYM 방법으로 평가하고, 7종류의 항생제에 대한 최소 성장 억제 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를 측정하였다. API20E 시험 결과 시험한 모든 균주는 (n=7) 운동성 aeromonads로 동정되었다. API20E시험에서lysine decarboxylase와mannitol, rhamnose, amygdalin, arabinose를 포함한 4종류의 carbohydrates의 산 생성은 균주에 따라 다른 반응을 나타내었다. APIZYM 시험을 이용한 효소 활성능을 평가한 결과, 모든 시험된 균주가valine arylamidase, cystine arylamidase, α-chymotrypsin, α-galactosidase, β-glucuronidase, α-glucosidase, α-mannosidase, α-fucosidase반응에서 음성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비록 그 효소 활성의 강도에서 차이는 있었으나alkaline phosphatase, esterase-lipase, leucine arylamidase, β-galactosidase, N-acetyl-β-glucosaminidase 모든 균주에서 양성 반응이 나타났다. 최소 성장 억제농도를 시험한 결과, 시험된 모든 균주는 ampicillin sodium (MIC>100㎍/ml) 에 내성을 가지며 chloramphenicol (MIC≤1.6㎍/ml)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1998년 이후에 분리된 3균주 (AC9804, AC0202, GMA0361)는 tetracycline (MIC=50㎍/ml) 모두 저항성이 있었으며, AC9804는 oxolinic acid (MIC=12.5㎍/ml), GMA0361는 kanamycin sulfate (MIC>100㎍/ml)와 streptomycin sulfate (MIC>100㎍/ml)에도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양식(養殖) 넙치의 연쇄구균증(連鎖球菌症) (A streptococcal Disease of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창훈;하동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1-77
    • /
    • 1991
  • 1. 1991년(年) 8월(月)부터 10일(日)까지 제주도내(濟州道內) 넙치양식장 4개소(個所)의 병어에서 연쇄구균을 분리하였다. 2. 분리균(分離菌)은 $10^{\circ}C$, $45^{\circ}C$, 6.5% Nacl, pH 9.6 및 0.1% methylene blue milk 에서는 발육(發育)되지 않았고 또한 Indole 및 $H_2S$도 생성하지 못하였으며 $\beta$ 용혈성(溶血性)을 나타내었다. 3. 이상(以上)의 성상(性狀)에서 분리균(分離菌)은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및 Bergey's Manual os Systematic Bacteriology I 및 II에 근거(根據)를 두어 검색(檢索)한 결과(結果) Streptococcus pyogenes 및 Streptococcus epuisimilis와 유사하지만 약간의 차이(差異)가 있으므로 Streptococcus sp.로 하였다. 4. 분리균(分離菌)의 약제(藥劑) 감수성(感受性) 시험결과(試驗結果) Spiramycin 및 Erythromycin에 높은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으나 Penicillin에는 내성(耐性)을 나타냈다. 5. 분리균(分離菌)의 병원성(病原性) 시험결과(試驗結果) $1.1{\times}10^3cells$/100g 어체중 이상(以上) 접종(接種)하였을 때는 폐사(斃死) 미수(尾數)가 발생(發生)하였으나 그 이하(以下)의 접종(接種) 농도(濃度)에서는 폐사(斃死)가 발생(發生)하지 않았다.

  • PDF

양식 넙치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parauberis의 동정방법에 따른 지역적 비교 (Geographical comparison on different methods for identification of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조미영;오윤경;이덕찬;김재훈;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9-60
    • /
    • 2007
  • 우리 나라 남해안의 병든 넙치로부터 분리한 non-hemolytic Streptococcus parauberis의 지역적 특성을 구명하고자 균의 생리적, 생화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catalase-negative Gram-positive cocci를 대상으로 multiplex PCR을 실시하여 S. parauberis 12 균주를 선정하였으며, 표현형적 동정을 위해 시판되고 있는 API 20 Strep 및 API ZYM kit를 사용하였다. 분리 균주의 API porfile을 분석한 결과, Lactococcus lactis, S. constellatus 및 S. uberis 등으로 동정되었다. 또한, 터봇에서 분리된 S. parauberis와 비교해 볼 때 Voges-Proskauer, arginine, hippurate, alkiline phosphatase 및 pyrroidonyl arylamidase의 반응 결과는 동일하였으나, β-glucuronidase 활성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제 감수성 시험 결과에서는 florfenicol, ampicillin, ofloxacin 및 vancomycin에 대해 감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oxolinic acid, flumequine, nalidixic acid 및 sulfisoxazol에 대해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리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참조균주인 S. parauberis KCTC 3651 (AY584477)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넙치 분리 균주들이 유전적으로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종(數種) 결합제형(結合劑型으)로부터 Oxyfluorfen의 방출제어연구(放出制御硏究) - I. 논 조건(條件)에서의 방출속도(放出速度) 모형연구(模型硏究) (Controlled Release of Oxyfluorfen from the Variously Complexed Formulations - I. Model Study of Releasing Rate in Paddy Field)

  • 구자옥;국용인;천상욱;김동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02-206
    • /
    • 1990
  • 고도(高度)의 선택활성물질(選擇活性物質)로 알려진 oxyfluorfen (2-chloro-4-trifluoromethyl-3-ethoxy-4-nitrophenylether)을 수도용(水稻用P 제초제(除草劑)로서 약해(藥骸)없이 사용(使用)할 수 있도록 개발(開發)하기 위하여 방출제어모형(放出制御模型)을 가정(假定)하였으며, 이를 탐색(探索)하기 위한 여러 방식(方式)의 분시모형(分施模型)을 벼와 여러 잡초중(雜草重)에 적용(適用)하여 포장(圃場)에서 비교검토(比較檢討)하였다. 분시모형(分施模型)은 이앙전(移秧前) 3일(日), 이앙후(移秧後) 4일(日)과 11일(日)의 3시기(時期)로 나누어 oxyfluorfen을 10-10-0, 10-10-10, 20-20-0, 20-10-10, 20-20-20, 0-40-0, 0-0-0 g ai/Hark 되도록 달리하였다. 시험(試驗)을 통(通)하여, 벼의 약해(藥害)는 엽초하부의 갈반(褐班)으로 20g ai/Ha이상 처리(處理)된 경우(境遇), 처리후(處理後) 11일(日)경부터 잠시 나타나났다가 수일만에 사라졌으며 동량(同量)이라도 분시(分施)함으로써 경감(輕減)되었으며 이앙 30일 이후의 벼 생육에는 어떤 처리도 유의적(有意的)으로 영향하지 않는 경향(傾向)이었다. 잡초(雜草)가운데, 일년생(一年生)의 피와 물달개비 및 다년생(多年生)의 올미는 oxyfluorfen에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였으나 일년생의 올챙고랭이와 대부분의 다년생(多年生) 초종(草種)들은 일시적인 생육저해(生育沮害)를 경과한후 즉기 재생(再生)하는 내성반응(耐性反應)을 보였다. 따라서 수도용(水稻用) oxyfluorfen의 개발을 위하여서는 벼의 약해경감(藥害輕減)을 위하여 가급적(可及的) 묘령(苗令)을 크게 하거나 약량(藥量)을 줄이는 동시에 이앙전처리(移秧前處理)를 병행(竝行)한 분시체계화(分施體系化), 또는 이앙전(移秧前)에 처리될 수 있는 완효성(緩效性) 방출제어형(放出制御型)의 제형개발(製型開發)이 바람직하며, 살초(殺草) spectrum을 넓히기 위한 다년생(多年生) 전문약제(專門藥劑)와의 혼합재개발(混合再開發) 및 혼용연구(混用硏究)가 기대된다.

  • PDF

금잔디에 잡초성 버뮤다그래스 방제 (Control of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Causing Weedy in Zoysiagrass matrella Merr)

  • 태현숙;김용선;허영두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4호
    • /
    • pp.402-407
    • /
    • 2013
  • 버뮤다그래스는 다양한 환경과 관리작업에 대한 내성이 높기 초종으로 잔디밭에 침입할 경우 가장 방제하기 어려운 잡초성 초종 중 하나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금잔디에 발생된 버뮤다그래스을 제거하기 위해 관리 방법의 개선이 포함된 종합적인 제초 방법을 찾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Fluazifop-P-butyl 0.05 ml $m^{-2}$+ triclopyr-TEA 0.5 ml $m^{-2}$ 및 fenoxaprop-P-ethyl 0.1 ml $m^{-2}$+ triclopyr-TEA 0.5 ml $m^{-2}$ 을 20일 간격으로 2회 처리한 시험구의 버뮤다그래스의 방제 효과가 높았으며 약해 발생도 양호하였다. 두 처리구에서 잔디의 약해는 1차 처리 후부터 약 30일 동안 지속되었으며 40일에는 회복되었다. 이 때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 혼용 처리에서 잔디 엽색의 황화가 발생되었으나 심각한 생육 억제 등은 발생되지 않았다. 제초제 살포 1주일 전 실시한 버티컷 작업은 약효를 유의하게 상승시키지 못하였으나 버티컷 작업만 실시할 경우 버뮤다그래스의 밀도를 12-14%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버티컷 작업 후 한국잔디가 회복된 이후 잔디에 고시된 약제인 fenoxaprop-P-ethyl 0.1 ml $m^{-2}$ + triclopyr-TEA 0.5 ml $m^{-2}$을 처리하는 것은 한국잔디 약해를 최소화하면서 버뮤다그래스를 서서히 줄여나가 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것이다.

국내 연근해 및 환자로부터 분리된 vibrio vulnificus의 세균학적 특징

  • 신광훈;신영학;이종삼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9
    • /
    • 1992
  • 국내 연안의 어패류, 해구 및 환자 등으로부터 Vibrio vulnificus를 분리동정하여 생화학적 성상, 생장조건, 혈천형, 약제 감수성 시험 등 세균학적 특성을 밝혔다. V. vulnificus 균의 생화학적 성상은 유당을 발효(95%)하고 서당은 발효 (4%)않은 균주가 대부분이었으며, ornithine 발효능, gelatine 액화능, mannitol 분해능 등이 다른 연구자들과 동일한 결롸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들 성상이 V. vulnivicus 동정에 그리 유용하지 않다. o 혈청형은 자연계 분리균주의 경우 o2 혈청형이 제일 많았고 (24%) 환자 분리균주의 경우 04 균(42%)이 제일 많았다. V. vulnificus 의 최적 생상조건은 염농도는 306%였고, 온도는 25-35.deg.C, pH는 8로 나타났다. V. vulnificus균은 chloramphenicol, erythromycin, tetracycline, ampicilin 에 높은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고 gentamycin 에 대하여는 내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계 분리균주가 환자 분리균주보다 이들 항생제에 더 높은 감수성을 지니고 있었다. chelating agent EDTA가 V. vulnificus에 대하여 생장억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치사적으로 작용치는 않았다.

  • PDF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동정된 결핵균 균주의 RFLP 양상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 김우진;임재준;이재호;이춘택;정희순;한성구;심영수;김영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3호
    • /
    • pp.308-314
    • /
    • 2000
  • 연구배경 : RFLP를 이용한 결핵균의 유전자 분석은 결핵의 분자 역학적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Pvu-II 효소를 이용한 RFLP 방법의 표준화로 RFLP 양상의 국제적인 비교가 가능해졌고, 극동아시아에서 RFLP 양상이 유사한 결핵균주의 군이 발견되었다. 저자들은 서울대병원에서 수집된 결핵균의 RFLP 양상을 분석하고 다른 극동아시아의 균주들과 비교하였다. 방 법 : 1998년 서울대병원에 입원했거나 외래 방문한 환자의 객담에서 분리하여 배양된 50개의 결핵균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핵균주에서 DNA를 추출한 뒤, Pvu-II로 소화시키고, IS6110에 대한 DNA probe를 이용하여 Southern blot을 시행하였다. 이들의 RFLP 양상을 비교하여 유사성이 있는 균주들을 같은 군으로 분류하였고, RFLP의 다양성의 정도와 각 군 간의 임상적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 50개의 결핵균 균주 중에서 6예의 Beijing family를 확인하였고, 다른 9개의 균주가 한 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균주 군간에 나이, 성별, 지역, 약제 내성, 기관지 결핵 동반 여부, 기저질환 유무 등의 임상상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서울대병원에서 분리된 결핵균주의 RFLP 양상에서 서로 유사한 군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이 임상적으로는 큰 의미를 갖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차전초(Plantago asiatica L.)의 항톡소포자충증 효과 (Anti-Toxoplasmosis Effect of the Herbal Extracts Plantago asiatica L.)

  • 홍선화;김옥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6-31
    • /
    • 2016
  • 임상적으로 감염 시 치명적인 뇌염이나 유산을 일으키는 병원체인 톡소포자충의 치료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설파디아진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약물들은 부작용과 약물 내성에 의한 치료 실패 사례들이 자주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톡소포자충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합성 화학약물들에 비교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들을 원료로 한 톡소포자충의 치료가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약용 작물로서 보존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차전초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톡소포자충 대한 항원충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 있다. 본 연구 결과, 차전초 에탄올 추출물은 톡소포자충의 치료제로 임상에서 실제 톡소포자충의 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설파디아진의 선택성 0.4 보다 차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선택성이 4.5으로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차전초 에탄올 추출물이 용량 의존적으로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HeLa 세포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톡소포자충에 감염된 세포에 차전초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감염 세포들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차전초 에탄올 추출물의 적용 농도가 높아질수록 톡소포자충 감염에 의한 세포의 형태적 변화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차전초는 정상 세포에 독성이 적고 톡소포자충의 억제 능력이 우수하여 항톡소토자충 선택성이 높은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차전초 추출물 소재는 현재 톡소포자충 치료에 사용되는 합성 약제의 부작용이 문제를 해결하고 효능과 안전성이 높은 천연물 소재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