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야외교육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7초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u-러닝을 위한 교실 프레임워크 설계 (Design of Classroom Framework for u-Learning on Ubiquitous Environment)

  • 엄남경;오병진;이상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3
    • /
    • 2006
  • 향후 도래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모든 전자기기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특히, u-러닝(Ubiquitous-Learning)은 교육학적인 측면뿐 아니라 어디서나 접근할 수 있다는 유비쿼터스적인 측면을 통해 학습의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추진된 u-러닝의 연구로는, PDA를 이용하여 학습 컨텐츠를 야외에서 학습하거나 원격지 모바일 환경의 학생들을 교실 수업에 참여시키는 스마트교실 등을 들 수가 있는데,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학습자의 상호작용이나 협동학습 등의 교육학적인 속성과 유비쿼터스의 환경적 속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 등을 대상으로 어디서나 교실 환경에 참여하는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하면서도 교육학적인 면을 만족시키는 모바일 교실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특이 지역 환경에 대한 야외 학습 연구 -초등과학 지질 영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Field Trip of Specific-Region Environment -Focus on 'Geological Unit' of Elementary Science-)

  • 홍승호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1권3호
    • /
    • pp.1-12
    • /
    • 2008
  •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ways to develop field trip or learning materials focusing on environment of Jeju seashore in order to make an effective field trip. To perform these purposes, the contents and concepts were analyzed from environment-related 'geological unit'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fterwards, the places having the geological features in coincidence with them are chosen, and investigated, and these regions can develop into geological teaming places for field trip. Each teaming spot focuses on understanding and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 geological environment of rock shore, gravel shore, sand shore, shellfish shore, and tideland shore among Jeju shores. When field trip is conducted at the preparatory stage, students can get advance knowledge on geological concepts from textbook. The activity record paper is presented at the field trip stage where students observe geological phenomena on their own. After field trip is finished, the summary stage is given to solve some problems on the basis of the observed contents. The developed data from this research have its regional limits, but is surely useful for teachers who try to plan field trip when they especially choose the right field trip spots, or plan to make the process for field trip prepara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urthermore, with this survey and activities, students can take the chanc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on environment of Jeju seashore.

  • PDF

직업군인(하사관이상)을 위한 교화적인 산업체 위탁교육모델 개발연구 (A study for on Effective Educational Model for Entrusted Professional Soldiers.)

  • 김경복;남궁랑
    • 정보학연구
    • /
    • 제1권2호
    • /
    • pp.143-162
    • /
    • 1998
  • 직장인의 평생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1994학년도부터 산업체 위탁생 교육제도가 운영되도록 법제화 되었다. 최근 군 내부에서도 장기 직업군인인 하사관과 준사관들의 사기진전과 전력증강 차원에서 고등교육의 기회를 증대하고 있다. 반면, 이들 하사관 직업군인들은 직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잦은 훈련과 비상대기 그리고 장기간의 야외훈련등으로 인하여 수업의 결손이 많고, 현직무와 연계가 없는 설치학과와 교육과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부대 근무지 이동으로 통학거리에 제약이 있어 불가피하게 중도 탈락자가 발생되기도 하여 형행 교육방법과 체계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군인 군위탁생에게 권장할 수 있는 현행 학과연구 및 교육과정과 군내부에 영내분교 설치운영시 첨단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한 원격지 교육시스템 구축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참탐구를 위한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설계 원리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Principles for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Authentic Inquiry)

  • 최동열;안유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52-769
    • /
    • 2021
  • 천체 관측은 다양한 교육적 효과와 가치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구과학 교육의 맥락에서 수행되었던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또한 실제적인 천체 관측 교육의 현장 적용을 위해 교사들을 안내해 줄 체계적인 설계 원리 개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 학생들의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설계 원리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초기 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2차례에 걸쳐 전문가 8인의 검토와 타당화 과정을 거친 후, 고등학교 교사 2명의 사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천체 관측 단계별 11개의 설계 원리와 27개의 세부 지침을 최종 개발하였다. 또한 최종 설계 원리를 적용하여 8차시로 구성된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에 적용하여 참여 학생들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 결과 개발된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설계 원리는 야외 관측을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관측 활동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체계적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는 준거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분석 (Realiti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Program Oriented Social Studies)

  • 박순호;윤성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7-262
    • /
    • 2005
  • 지난 20여년에 걸친 우리나라 학교 환경교육은 기대만큼의 친환경적 행위 함양에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7차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교사용 지도서 및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환경교육의 수업목표는 인지적 목표 중심이고, 시수도 학년별로 매우 불규칙하다. 환경교육의 내용은 환경보전 및 대책, 자연 환경, 환경오염에 편중되어 있고,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심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지속성도 결여되어 있다. 그런데 사회과는 타 교과보다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의 비중이 높고 타 교과에서 다루어지지 않는 인공환경, 인구, 산업화와 도시화, 자원영역 등이 교수 학습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친환경적 행위를 함양시키기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사회과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타 교과의 환경관련 내용과 시간을 통합하여 거주지역 중심의 체험학습을 실시해야 할 것을 제안한다.

  • PDF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어린이 감성지능교육의 콘텐츠 방향성 탐색 (Exploring the Content Direction of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황백민;정정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78-91
    • /
    • 2022
  • 어린이 증강현실 교육 콘텐츠 개발에서 감성지능교육의 중요성은 간과되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 감성지능의 발달을 위해서는 심층적인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과 사례 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제안은 2~7세 어린이용 증강현실 유형은 마킹 인식 기술을 갖춘 실내 활동에 적합하다. 정서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기 위해 대형 스크린을 선택하고, 학습내용은 이모티콘 인형 또는 이모티콘 도서를 권장한다. 7~11세 어린이는 비 마커 인식 기술 실내 활동에 적합하며 적극적인 조작으로 정서조절과 정서 인식을 유도할 수 있다. 학습 내용은 '입체미술 교수 콘텐츠' '온라인 클래식 뮤지컬'을 권장한다. 11세 이후 아동은 비마커 인식 기술 야외 활동에 적합하고 자연과 사회에 대한 상호작용을 통해 감성지능의 각 요소를 향상시킨다. 학습 내용은 '미술을 통한 숲 놀이 활동' 'EQ 연극놀이'를 권장한다. 본 논문을 통해 어린이 증강현실 감성지능 교육의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Cogn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The Material and Change of the Earth's Crust')

  • 황지현;김정빈;조규성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28-134
    • /
    • 2003
  •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의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을 공부한 중학생들이 학습한 지질개념을 자연환경과 생활주변에 얼마나 연계시켜 인식하고 있는가를 조사하여 학교교육과 생활환경과의 연계성을 논의하고 주변 자연환경의 차이가 개념 이해와 과학적 태도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시, 부안군, 진안군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광물과 암석의 경우, 학교학습에서 그 표본관찰 등으로 개념은 정립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생활주변의 암석을 관심있게 관찰한 학생은 16%에 불과하며 대부분은 관심이 없다. 전라북도 내 소읍지역 부안과 진안지역에는 주변에 특별한 지층과 지질구조를 가진 채석강과 마이산 등이 있어 암석 및 지질구조의 야외관찰 학습에 연계 지도가 용이한 지역이나 전주지역 학생보다 관찰경험이 조금 많을 뿐, 전 지역 학생들 모두 야외관찰 학습을 거의 하지 않고 있다.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의 학습 시, 주변의 야외 관찰 학습장을 찾아서 광물과 암석을 채집해 관찰하고 크고 작은 지질구조를 입체적으로 관찰함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이도록 해야 한다.

숲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 강영식;김정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34-342
    • /
    • 2019
  • 본 연구는 자녀의 숲체험 활동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체험 운영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의 차이에 있어 숲체험 교육에 참여한 기간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숲체험을 지원하는 교사의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어린이집이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날씨가 안좋은 날을 제외하고 매일 숲체험에 참여에대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숲체험 장소에 따라 교육효과의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루동안 숲체험 활동하는 시간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숲체험 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소통의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의 숲체험 활동 전반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따라서 교육효과와 소통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실외야외활동에 따른 인솔 교사의 수와 미세먼지에 따른 날씨와의 연관성 및 숲체험 장소와 교육소요시간 등에서 교육적 효과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다름은 이들의 공통된 관심사항으로 유아들의 안전한 교육활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일본의 지구과학교육 연구 동향: 학회지 "지학교육(地學敎育)"을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f Japanese Earth Science Education: An Analysis of Chigakukyouiku published by Jap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이면우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47-158
    • /
    • 2007
  • 이 연구는 일본지학교육학회가 발간한 $\ulcorner$지학교육(地學敎育)$\lrcorner$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서 일본의 지구과학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1998년부터 2003년까지 6년 동안 발간한 총 129편의 논문이다. 일본의 $\ulcorner$지학교육(地學敎育)$\lrcorner$은 1년에 6회 발간되고 있으며, 매 학회지마다 평균 4편 내외의 논문이 게재되고 있다. 연평균 20편 내외로 꾸준하게 발간되고 있지만, 발행 횟수에 비하여 논문의 수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이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당 연구자의 수는 단독인 경우가 눈에 띄게 많다(약 60%). 내용별로 살펴보면, 지질학 관련 교육 논문이 가장 많으며(41.1%), 해양학 관련 교육 논문(1.6%)과 과학교육학적 논의를 한 논문(1.6%)이 가장 적다. 일본의 지구과학교육 연구의 특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 재해인 화산, 지진, 쓰나미 등을 다룬 논문이 많다. 둘째, 지역을 기반으로 한 야외 지질조사나 화석에 관한 논문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셋째, 환경교육을 지구과학교육에 접목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넷째, '컴퓨터와 지구과학교육' 같은 새로운 교육 방법을 받아들이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위성 영상을 이용한 고등학교 지역학습방안 - 전북 군산 지역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Regional Learning Methods in High School Using GIS and Satellite Images : A Case of the Gunsan Region)

  • 김남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36-545
    • /
    • 2005
  •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사회과와 관련하여 Landsat ETM 및 IKONOS 위성영상을 이용한 지역학습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현재 10학년 사회과에서는 원격탐사 등과 관련하여 교육내용이 개념학습의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응용사례 및 학생들의 활동은 포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주변 지역이해와 정체성 확립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지역학습은 학생들의 야외답사 및 조사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지만, 현(現) 교육과정 내에서 실천이 어려운 부분이 많으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위성영상을 이용하는 학습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해상도 즉 스케일에 따른 지역이해를 위한 지역학습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IS, RS 관련 기술을 일부 활용함으로서 학생들의 지리에 대한 관심과 학습효과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