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2초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제공성이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빈도를 조절효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hopping Application Information Offering on Application Preference and Repurchase Intention : mediating effect of frequency of utilization)

  • 곽동성;임기흥;권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113-121
    • /
    • 2014
  • 최근 주요 기업들은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마케팅 전략으로 개발하고, 이러한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성 중 주요한 요인을 정보제공성으로 설정하고 애플리케이션 선호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용빈도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 결과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제공성은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는 재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이 재구매의도에 직접 영향을 미칠 때와, 선호도를 매개로 하여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본 결과 선호도를 매개로 하여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용빈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한 결과 이용빈도가 낮은 경우 보다 이용빈도가 높은 경우가 더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이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가격민감도를 조절효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n Customer Preference : Focusing on Price Sensitivity)

  • 곽동성;임기흥;권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171-180
    • /
    • 2014
  • 최근 주요 기업들은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마케팅 전략으로 개발하여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무게를 두고 있다. 이러한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대표적인 요소들은 상호작용성 그리고 정보제공성, 이용편리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이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가격민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효과적인 쇼핑애플리케이션의 활용전략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호작용과 정보제공성, 이용편리성은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특징이 선호에 영향을 미칠 때, 가격민감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가격민감도가 높은 집단에서는 정보제공성이 가장 유의한 영향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상호작용성과 이용편리성이 유의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가격민감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정보제공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기업의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딥러닝 기반 베트남 호텔 맞춤 추천 모바일 시스템 개발 (A Mobile System Development which has Function of Vietnam Hotel Recommendation based on Deep Learning)

  • 오종현;서영수;강현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0년도 제3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08-413
    • /
    • 2020
  • 본 논문은 아고다 사이트의 호텔 정보를 크롤링하여 사용자의 선호 호텔을 구글에서 제공하는 Tensorflow로 인공신경망 딥러닝 학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호텔을 맞춤 추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해외(베트남) 호텔을 취향에 맞게 추천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필터링 방식으로 추천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들과 달리 사용자의 취향을 딥러닝 학습을 통해 파악하고 최적의 호텔 정보를 추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 선호 호텔 예측 모델은 약 84%의 정확도를 보이며 추천 별점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각 호텔에 대해 얼마만큼 선호도를 갖는지 알 수 있다.

  • PDF

MBTI 성격 유형별 음악 애플리케이션 UI 디자인 및 기능 요구 선호도 연구 (Research on Music Application UI Design and Feature Preferences by MBTI Personality Types)

  • 우위항;남인용;바오원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437-449
    • /
    • 2024
  • 본 연구는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 유형이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 취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설문을 통해 535명의 응답을 수집하고, Python을 사용한 ANOVA 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분석 결과, 어떤 MBTI 유형은 따뜻한 색조와 중성 색조의 조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그들의 예술적 감각과 조화를 중시하는 성향과 일치한다. 반면에 어떤 MBTI 유형은 주로 차가운 색조나 차가운 색조와 중성 색조의 조합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그들의 실용적이고 체계적인 성향을 반영한다. 또한, 우리는 UI 레이아웃 선호도 또한 성격 유형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발견했다. 어떤 MBTI 유형은 'Mostly Fluid' 모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그들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성격을 반영한다. 이러한 발견은 음악 애플리케이션의 UI 디자인 시 사용자의 개인적인 성격 유형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딥러닝 기반 영화 흥행 예측 및 영화 추천 모바일 시스템 개발 (A mobile system development which has function of movie success prediction and recommendation based on deep learning)

  • 김경석;장재준;강현규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43-448
    • /
    • 2019
  • 본 논문은 공공 데이터 Open API와 TMDB(The Movie Database)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 영화를 Google에서 제공해주는 Tensoflow로 인공신경망 딥러닝 학습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영화를 맞춤 추천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쉽게 영화를 추천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존의 필터링 방식으로 추천하는 방식의 애플리케이션들과 달리 사용자의 취향을 딥러닝 학습을 통해 최적의 영화 Contents를 추천함과 아울러 기존 영화의 특성을 학습하여 흥행할 신규 영화를 예측하는 기능 또한 제공한다. 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 신규 영화 흥행 예측 모델은 약 85%의 정확도를 보이며 사용자 맞춤추천의 경우 기존 장르 추천이나 협업 필터링 추천보다 딥러닝을 통한 장르, 감독, 배우 등의 보다 세밀한 학습 추천이 가능하다.

  • PDF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경험 비교분석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User Experience with Delivery Applications -Focused on BaeMin, Yogiyo, Baedaltong-)

  • 고은성;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393-399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배달 애플리케이션 3곳을 비교분석 하기 위한 연구이다. 모바일 사용 증가에 따라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빈도는 나날이 늘고 있다. 그런데도 사용성에서는 아직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배달의 민족, 요기요, 배달통 이렇게 세 가지의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에 대한 선호도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하였다. 사용자 경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허니콤에 기반을 둔 7점 척도를 통해 확인하였고, 심층 면접과 7점 척도의 결과가 비슷하게 나옴으로써, 사용자들이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이며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가 있었다. 이 연구는 배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각 업체의 장점을 도출시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하고, 더 나아가 면담을 통해 얻게 된 새로운 기술적 아이디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서비스와 사용성을 높이는 데 의의가 있다.

모바일 쇼핑 앱 리뷰를 이용한 시장 포지셔닝 분석 (A Market Positioning Analysis using Mobile Shopping App Reviews)

  • 김용환;박지훈;이승준;김자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3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1호
    • /
    • pp.157-160
    • /
    • 2016
  • 최근 모바일 쇼핑 시장의 거래액 규모는 해마다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들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어떤 특성들이 자사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하여 사용자들이 많이 쓰는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리뷰에서 자주 쓰는 명사를 추출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평가 항목들을 도출한다. 그리고 도출된 평가항목에 레퍼토리 그리드 기법을 적용하여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평가하고 시장 포지셔닝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의 어떤 특성이 이용자들의 서비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 PDF

개인화된 소셜 서비스를 위한 시공간 그래프 모델링 기법 (A Method for Spatio-temporal Graph Modeling for Personalized Social Service)

  • 홍지혜;박기성;김진승;이영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22-24
    • /
    • 2012
  • 소셜 애플리케이션은 GPS 센서가 내장된 스마트폰의 보급과 더불어 위치 기반 서비스와 융합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기존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물류관제, 교통관제, 주문배달 등의 실시간 서비스 제공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소셜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취미, 선호도 기반의 추천 서비스 등의 개인화 서비스 제공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된 소셜 애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한 시공간 데이터의 그래프 모델링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시공간 데이터 모델링 기법의 유용성을 보인다.

스마트 디지털 TV에서의 제3자 개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보안 요구사항 분석 (A Study on Access Control Mechanism for 3rd Party Applications Process on Smart Digital TV)

  • 박선호;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20-823
    • /
    • 2010
  • 최근 스마트폰의 대중적 확산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증대되고 있으며, 제3자 개발자들이 애플리케이션 및 콘텐츠들을 개발하여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앱스토어와 같은 제3자 애플리케이션 마켓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3자 개발 애플리케이션이 스마트기기에 설치되어 동작할 때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 및 이에 대한 대응 기술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디지털 TV 환경에서 제3자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될 때 발생 가능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 필요한 보안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제3자 개발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생명 주기를 고려한 보안 정책 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고등학생의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와 조리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The Recognition Comparison for the Utilization State of Smart Devices and Culinary Education Application Development of High School Students)

  • 강경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1호
    • /
    • pp.619-6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고와 특성화고의 스마트 기기 활용 실태와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인식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조리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특성화고 학생이 일반고 학생보다 스마트 기기 활용 학습 방법을 더 선호하고, 하루 사용 시간이 더 많았다. 학습 분야는 일반고는 어학, 특성화고는 자격증에서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 기기 활용 학습의 장점은 자투리시간 활용이었고, 인프라를 가장 필요로 하였다. 가장 기대되는 콘텐츠는 일반고는 동영상 강의, 특성화고는 협력학습이었고, 가장 만족하는 것은 이동성이었다. 조리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해 특성화고 학생이 더 많은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고, 더 많이 활용할 계획을 갖고 있었으며, 실습 동영상을 더 선호하였다. 희망 요리 영역은 일반고는 간편 요리, 특성화고는 조리기능사요리를 선호하였고, 애플리케이션은 포털 사이트와 학과 홈페이지에 탑재되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므로, 조리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실습 동영상과 조리 레시피가 포함된 시뮬레이션 학습 위주로 제작하고, 평가 기능을 추가하여 학업 성취 수준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리기능사 요리가 포함된 5분 이내의 콘텐츠가 될 수 있도록 제작하며, 각 차시별 과제 목표를 제시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공한다. 학습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 음악, 텍스트가 포함된 콘텐츠를 첨부한다. 수업의 시작과 전개, 정리의 흐름이 있도록 하며, SNS 협력학습 서비스를 활용하여 학습 주체간의 소통이 증진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