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애착이론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2초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아동의 애착안정성 형성 발달경로 (A Developmental Pathway of Child Attachment Security through Maternal Characteristics)

  • 이경혜
    • 아동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3-171
    • /
    • 2002
  • 영아기의 애착형성이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해 안정애착 혹은 불안정 애착으로 발달된다는 이론이 널리 알려지면서 불안정 애착에 대한 예방과 치료중재의 필요성이 고취되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결정적인 문제인 어머니의 어떤 특성들이 아동의 불안정애착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어머니와 아동간의 세대간 애착순환을 재검증함과 동시에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아동 불안정 애착전이를 예방 및 중재시킬 수 있는 매개변인이 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영아기 이후의 애착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기 위한 시도에서, 30개월에 달한 아동과 어머니 53쌍이 조사 관찰되어졌고, 이는 아동발달의 관점에서 이 아동들이 49개월에 달했을 때 다시 조사 관찰되어졌다. 아동양육과 관련된 어머니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Attachment Style Questionnaire와 the Parental Stress Inventory를 사용하였고, 아동애착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the Separation-Reunion Classifications (1차)와 the Attachment Q-set (2차)이 사용되어졌으며, 이를 분석하기 위해 Amos structural equation 통계분석법이 사용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결과는, 아동애착안정성은 어머니 애착유형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고, 단 이러한 관계는 어머니 스트레스 형태를 통하여 전달 형성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더욱이 본 연구는 어머니-아동 애착 형성의 순환에 있어서 직접적인 경로가 없다는 것을 밝혀 줌으로서, 세대간 불안정애착 유형 순환 붕괴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학생의 애착관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ttachment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elinquency)

  • 신재헌;김상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227-235
    • /
    • 2015
  • 이 연구는 초등학생 고학년인 5 6학년이 가지는 애착관계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서 사회유대를 구성하는 요소인 애착관계에 따라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애착관계를 부모에 대한 애착, 교사에 대한 애착, 친구에 대한 애착으로 나누었고, 비행을 지위비행, 도피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으로 분류하여 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지위비행의 경우 부모에 대한 애착과 교사에 대한 애착이 지위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피비행은 부모에 대한 애착이 도피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력비행은 교사에 대한 애착이 폭력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산비행의 경우 부모에 대한 애착이 재산비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5 6학년의 비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애착대상은 부모로서 부모와의 관계가 결국 10대 초반의 청소년의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용 부모애착척도의 구성 (Construction of Parent attachment Scale for Children)

  • 이현숙;홍상황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143-162
    • /
    • 2010
  • 본 연구는 Fraley, Waller 및 Brennan(2000)이 개발한 개정판 친밀관계경험 질문지(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의 문항 제작과정을 근거로 하여 아동의 애착유형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기 위한 아동용 부모애착척도를 구성하고 기본적인 신뢰도와 문항반응이론에 근거한 몇가지 문항특성정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CR-R의 원래 문항과 기존의 애착검사들에서 사용하고 있는 문항들을 수집하여 1차 예비문항을 도출하고, 이를 4~6학년 아동이 이해하기 쉽고 근거한 원문항의 의미와 최대한 같도록 수정하고 보완하여 2차 예비문항을 작성한 후, 초등학교 4~6학년 학생(N=576명)에게 실시하였다. 수거한 자료를 사용해서 2모수 등급반응모형을 적용하여 30문항으로 된 애착척도를 구성하였다. 그 결과 아동용 부모애착검사의 내적 합치도는 회피척도의 경우 .94~.95, 불안척도의 경우 .85~.86의 범위이었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회피척도의 경우 .71~.77, 불안척도의 경우 .53~.68의 범위이었다. 또한 문항반응이론(IRT)을 적용하여 문항변별도와 문항정보값을 살펴본 결과 문항변별도는 적절한 범위에 있었고 문항정보값 역시 높았다. 위계적 군집분석인 K-means방법을 적용한 결과 안정형, 거부형, 몰두형, 두려움형의 4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애착유형에 따른 애착척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ANOVA)한 결과 회피와 불안척도는 안정형, 몰두형, 거부형, 두려움형 애착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타당도와 관련한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PDF

청소년의 경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Variables Associated with Adolescent Deviant Behaviors)

  • 강희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45-63
    • /
    • 2010
  • 본 연구는 부모애착, 자아통제력이 청소년의 경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경비행 친구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통제이론과 일반이론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등학교 4학년 5차년도 자료 2,448사례였다. 분석 결과 구조방정식모형의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모두 자료에 적절한 모형적합도를 보여주었으며, 구조모형의 모든 경로들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자아통제력, 경비행친구는 청소년 경비행에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부모애착과 자아통제력은 경비행친구의 매개 과정을 통하여 간접효과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비행 예방 및 실천적 개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애착유형과 창의성을 높이는 인지적 경로 간의 상호작용 연구 (Cognitive Flexibility Promotes Creativity for Securely (but not Fearfully) Attached People)

  • 김예강;심소현;서성지;김태현;이수진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4호
    • /
    • pp.159-175
    • /
    • 2022
  • 창의성이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하다는 점에서, 많은 기업들이 조직원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Dual pathway to creativity model 에 관련된 기존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두 가지 경로(인지적 유연성 혹은 인지적 지속성)를 통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 경로가 어떻게 활성화 되는지 이해하는데 있어서 조직원의 개인적 특질이 고려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유연성과 지속성 중 어느 경로가 특정 성격에 더 효과적 인지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된 바가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애착 이론에 근거하여, 개인이 가진 애착 유형이 두 가지 인지적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안정 애착을 가진 개인이 (인지적 지속성이 아닌) 인지적 유연성 경로를 사용했을 때, 창의성이 향상된다고 예측하였다. 미국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실험은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내 창의성 향상에 있어서 안정 애착이 (인지적 지속성이 아닌) 인지적 유연성과 더 적합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가상관광체험이 현장여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행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Virtual Tour Experience on Actual Travel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appiness)

  • 이위가;왕악준;유자양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1호
    • /
    • pp.65-78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 애착 이론을 기반으로 가상 애착을 통해 관광객의 가상 관광 경험을 현장 관광 의지로 전환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행복의 조절 역할을 탐구한다. 관광 능력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현장 관광 의향 모델을 구축했다. SPSS 24.0 와 AMOS 24.0 등의 분석 도구를 통해 분석한다. 우리는 가상 경험이 지상 여행에 대한 의지로 전환될 수 있는지, 행복이 가상 관광 경험에 대한 가상 애착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탐구하기를 희망합니다. 그 결과 가상여행경험과 가상 애착의 관계는 행복감에 의해 조절되고, 가상 애착은 장소 애착(장소의존성 및 장소정체성)과 양(+)의 관계가 있으며, 장소 애착은 실제 여행의도와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관광객과 관광지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관광의 발전을 위한 참고 자료와 제언을 제시한다.

반려동물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 효과 (Pet Attach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Mediation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우수아;김민희
    • 감성과학
    • /
    • 제26권1호
    • /
    • pp.17-3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반려인들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기본 심리 욕구가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중 반려동물과 생활하는 35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 중 사용할 수 없는 자료를 제외하고 31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의 2차원 모델과(Zilcha-Mano et al., 2011) 자기 결정성 이론(Deci & Ryan, 2012)에 근거하여,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이들 관계의 심층 기제로서 기본 심리 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애착 회피와 반려동물 애착 불안은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기본 심리 욕구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반려동물과의 애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는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특히, 애착 회피와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를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애착 불안과 주관적 안녕감 간 관계에서는 자율성만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려동물과의 애착 회피 또는 애착 불안이 직접적으로 개인의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기보다 기본 심리 욕구 충족에 관여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려동물과의 관계가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데 있어 기본 심리 욕구의 충족이 심층 기제가 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애착의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OF ATTACHMENT)

  • 홍현주;오태성;신의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15-122
    • /
    • 2004
  • 섭생, 수면, 활동과 같이 생존에 필수 요소 뿐 아니라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타인과의 애착관계 역시 몹시 중요하다. 사회적 애착(social attachment)은 인간에게 중요하기도 하지만 연구하기가 힘든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분야의 선도적 연구자인 Harry Harlow는 부모-자녀, 친구, 부부관계의 세 가지의 다른 애착 행동체계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행동 패턴에는 여러 가지 감각 기관, 복잡한 운동반응, 그리고 기억, 사회적 인지, 동기 등의 인지과정이 포함된다. 또한 John Bowlby는 부모-자녀간의 초기 애착관계의 중요성을 정신과 영역에서 강조하였다. 사회적 애착에 관련된 신경학적 구조, 기능에 대한 연구는 주로 포유류가 아닌 동물들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나, 최근에는 원숭이에 대한 약리학적 연구와 인간의 뇌영상 연구 결과들이 이 분야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첨가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이론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자 하며, 크게 1) 유아-부모 애착, 부모-유아 애착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연구 분야, 2) 애착에 대한 동물 실험 연구, 3) 애착관계의 심각한 단절이 발생하는 maltreatment/deprivation 상태에서 인간에게 어떠한 행동적, 신경생물학적 변화가 초래되는지에 대한 세 분야로 나누어 기술하고자 한다. 아직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임상적 측면과 직접적 관련을 짓기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 사회적 애착관계의 문제가 심각한 정신병리를 연구하고 치료하는 분야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Adults: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 김창래;김현진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7권3호
    • /
    • pp.81-107
    • /
    • 2023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특히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신의 내적 경험을 명료화할 수 있는 능력인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능력이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모바일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한 중년기 성인 317명(남자 117명, 여자 200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Jamovi 2.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단순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중년기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단순 매개효과는 불안애착에서만 유의미하였다. 셋째, 중년기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불안애착은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한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보였으나, 회피애착은 부분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애착장애의 치료 (ATTACHMENT-BASED INTERVENTION)

  • 노경선;이소희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5권2호
    • /
    • pp.123-131
    • /
    • 2004
  • 주 양육자와 어린자녀사이에 발생한 여러 애착의 문제들을 애착이론에 근거하여 치료한 네가지의 방법을 검토하였다. 첫째, 부모의 민감도를 증진시키는 방안. 둘째, 부모의 내적표상 및 작동모델(Parent's Representation과 Internal Working Model)을 변화시키는 방법. 셋째, 사회적인 지지를 증진시키는 방법. 넷째, 어머니의 정신건강과 Well-being을 도와주는 방법과 Project STEEP(Steps Toward Effective and Enjoyable Parenting)를 기술하였다. 이러한 리뷰를 통하여 주 양육자의 정서적 반응에 민감성과 반응성이 애착의 발달과 치료의 중요한 요인임을 알게 되었다. 향후 애착문제의 치료시 하기 사항을 특별히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첫째, 참가자의 요구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유연성. 둘째, 참가자 주위의 중요한 사람들을 참여 시킬 것. 셋째, 각 개인의 장점을 충분히 살릴 것. 넷째, 가능한 어렸을때 빨리 치료할 것. 다섯째, 장시간에 걸쳐 집중적으로 철저히 치료할 것.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