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Adults: Mediating Effects of Mentaliza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 Changrae Kim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Seoul Cyber University) ;
  • Hyunjin Kim (Department of Counseling Psychology, Seoul Cyber University)
  • 김창래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 김현진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23.12.07
  • Accepted : 2023.12.21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dults(40-65 years old). In particular,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mentalization, the ability to clarify one's internal experiences,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have a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voida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dult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using Jamovi 2.2.5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survey responses from 317 middle-aged adults (117 males and 200 female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through mobile and offline 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nd avoida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adults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significant only for anxious attach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ully mediated by mentalization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for anxious attachment, but partially mediated for avoidant attachment. These findings help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developing programs to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aged adults, a growing segment of society.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특히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신의 내적 경험을 명료화할 수 있는 능력인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능력이 이중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모바일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발적으로 참여한 중년기 성인 317명(남자 117명, 여자 200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Jamovi 2.2.5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구조방정식 모델에서 중년기 성인의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신화의 단순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중년기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단순 매개효과는 불안애착에서만 유의미하였다. 셋째, 중년기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불안애착은 정신화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한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보였으나, 회피애착은 부분 이중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수진 (2021). 성인애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정서경험의 매개효과. 수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경은, 정남운 (2018). 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정신화와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3), 739-764.
  3. 김근이솜 (2023). 중년기의 생활스트레스, 회복탄력성, 가족건강성 및 심리적안녕감 간의 구조관계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나경, 양난미 (2016).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7(2), 217-238.
  5. 김미선 (2016).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년기 여성 위기 극복에 미치는 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7. 김소희 (2004).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성현 (2004). 친밀 관계 경험 검사 개정판 타당화 연구: 확증적 요인분석과 문항 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병직, 오경자. (2013). 성인 애착 불안/회피차원과 우울 사이를 매개하는 변인의 탐색: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대한 정서조절의 차별적 경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519-548.
  10. 김이화, 조용주 (2022).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용서 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6), 407-425.
  11. 김찬양, 최한나 (2018).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의 관계: 마음챙김과 정신화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1), 47-74.
  12. 김흥주 (2020). 청소년의 성찰기능에 관한 종단연구: 애착, 우울 및 품행문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김혜원, 오인수 (2016). 청소년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문제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4(1), 151-171.
  14. 남승미 (2019). 중년기의 여가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류수정 (2010). 애착에 따른 정서경험, 정서표현, 정서조절의 관계.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문도선 (2017). 중년기 노후준비가 심리적 안녕감과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대 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은주 (2013). 성인애착과 대인관계적 외상 후 성장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정하 (2021). 중년의 감사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 있어서 긍정정서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현숙 (2022). 신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양옥지, 이수림 (2020). 중년의 노화불안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인지적 유연성과 주관적 경제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7), 491-502.
  21. 양지선, 홍혜영 (2022). 초기 성인기 불안정 애착과 우울의 관계: 정신화와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23(2), 147-166.
  22. 양정윤 (2022).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어영란, 김영희 (2020). 중년기 여성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고통감내력과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27(2), 95-118.
  24. 염정의 (2017).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반추, 정서억제의 매개 효과. 카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염정의, 정남운 (2019).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반추, 정서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1), 81-103.
  26. 우종필 (2022).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27. 윤성민 (2019)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기본 심리적 욕구만족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1(4), 1139-1164.
  28. 이문희, 이수림 (2020). 안정애착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에서 정신화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6), 598-608.
  29. 이수림, 이문희 (2014). 상담 및 심리치료 성과의 효과적 핵심요인: 정신화의 이해와 적용. 인간연구, 27, 95-139.
  30. 이수림, 이문희 (2018). 한국판 정신화 척도의 타당화. 상담학 연구, 19(5), 117-135.
  31. 이우경 (2008).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이인숙, 신희천 (2021). 성인애착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3(1), 479-505.
  33. 이지영 (2023). 중년기 은퇴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적응과정.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이정화 (2021). 성인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호섭 (2019). 정신화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심리적수용의 매개효과: 아동기 정서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정성훈, 심운경, 천성문 (2016). 중년 남성의 심리적 위기감과 자기성찰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41, 81-105.
  37. 정은경 (2020). 코칭심리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8. 정주희 (2020). 대학생의 성인애착, 자기자비, 탈중심화, 반추,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최희숙, 주영아 (2020). 여대생의 경계선 성격특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정신화와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3), 585-610.
  40. 통계청 (2021). 국민 삶의 질 2021.
  41. 태진우, 남종호 (2019). 중년남성의 성인애착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35, 105-131.
  42. 홍은선, 민경화 (2016). 중년 여성의 성인애착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탈중심화, 수용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4), 587-611.
  43.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44. Aldaoa, A., Nolen-Hoeksemaa, S., & Schweizer, S. (2010).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across psycho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2), 217-237.
  45. Allen, J. G. (2013). 애착정신화하기 [Restoring mentalizing in attachment relationships: Treating trauma with plain old therapy]. 최희철 역. 2019. 서울: 학지사.
  46. Bateman, A., & Fonagy, P. (2006). Mentalizationbased treatment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practical guide. Oxford University Press.
  47. Bowlby, J. (2019). 애착 [Attachment]. 김창대 역. 경기: 연암서가.
  48. Brennan, K. A., Clark, L., & Shaver, P. R. (1998). Self- 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An Integrated Interview. In J. A. Simpson & W. W.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pp. 46-76). New York: Guilford Press.
  49. Coffey, K. A., Hartman, M., & Fredrickson, B. L. (2010). Deconstructing mindfulness and constructing mental health: Understanding mindfulness and its mechanisms of action. Mindfulness, 1, 235-253.
  50.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
  51. Dimitrijevic, A., Hanak, N., Altaras, & Jolic Marjanovic, Z. (2018). The Mentalization Scale (MentS): A self-report measure for the assessment of mentalizing capac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00(3), 268-280.
  52. Erikson, E. (1980).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Norton.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3, 542-577.
  53. Farrell, M. P., & Rosenberg, S. D. (1981). Men in midlife. Dover. MA: Auburn House.
  54. Fonagy, P. (1991). Thinking about thinking: some clinical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the treatment of a borderline pati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72(4), 639-656.
  55. Fonagy, P., & Target, M. (1997). Attachment and reflective function: Their role in self-organiz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9(4), 679-700.
  56. Fonagy, P., Gergely, G., Jurist, E. & Target, M. (2002). Affect regulation, ment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New York: Other Press.
  57.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58. Garnefski, N., Legerstee, J., Kraaij, V., Van Den Kommer, T., & Teerds, J. A. N. (2002).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 comparison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Journal of Adolescence, 25(6), 603-611.
  59. Goodall, K. (2015).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regulation of positive emotion: The role of attachment and self estee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74, 208-213.
  60. Jaques. E. (1965). Death and Mid-life cri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6, 502-514.
  61. Levinson, D. J. (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Ballantine.
  62.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22). The Middle Crisis. Working Papers 30442, http://www.nber.org/papers/w30442.
  63.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64. Slade A., Grienenberger J., Bernbach E. (2005). Maternal reflective functioning, attachment, and the transmission gap: a preliminary study.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7(3), 283-293.
  65. Thompson, R. A. (1991). Emotional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4, 269-307.
  66. Wallin, D. J. (2010). 애착과 심리치료 [Attachment in psychotherapy]. 김진숙, 이지연, 윤숙경 공역. 서울: 학지사.
  67. Wei, M., Vogel, D. L., Ku, T.-Y., &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negative mood, and inter 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1), 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