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압록강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동북 조선족 인구 분포 특성에 관한 역사 지리적 고찰

  • 심혜숙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2.07a
    • /
    • pp.40-41
    • /
    • 1992
  • 본문은 동북 3성의 지리, 역사, 연구 상황을 개술하고 착중하여 조선족이 동북 3성에 이주한 시기를 4개기로 나누어 그 분포 특징을 밝혔다. 4개의 시기는 (1) 함풍-동치년 시기 (2) 광서년 시기 (3) 선통-민국년 (4) 위만 시기이다. 매시기마다 조선족이 동북 3성에 이주한 역사 지리적 배경을 천명했고 당시 조선족의 이주 노선과 분포특징을 귀납하였다. (1) 조선족이 동북에 이주하여 온 노선은 모두 20개 노선이 있었다. 그중 이주 수량이 많은 노선으로는 종성-개산툰-용정 노선, 남양-도문 노선, 만포-집안 노선이다. (2) 압록강 유역의 중간진에서 중국 림강에 들어온 이주민이 가장 일찍 했다면 두만강 유역은 10-20년 더 높다. (3) 동북 3성 조선족 인구밀도는 두만강과 압록강에 가까울수록 크고, 멀수록 작다. (4) 압록강, 두만강 유역에는 평안도와 함경도의 이주민이 많고, 두 유역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조선 남부의 이주민이 많다. (5) 동복 3성 조선족은 산지보다 평원에 많이 분포되었는데 동북의 수전개발에 커다란 공헌이 있다. (6) 중국 조선족에 97.1%가 동북에 집중되나, 그중에서도 길림성에 1,811,946명으로서 전국 조선족 총수의 65.8%를 차지하고, 흑룡강성에 452,398명으로서 25.2%를 차지하며, 요넝성은 230,378명으로서 9.0%를 차지하고 있다.(1990년 통계) (7) 도시에 있는 조선족은 모두가 잡거하고 농촌에서는 잡거구도 있지만 대부분은 순 조선족 부락을 이루었다.

  • PDF

한국 서해산 웅어, Coilia nasus 생식소의 성숙과 산란

  • 이봉우;정의영;최기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45-346
    • /
    • 2003
  • 웅어 Coilia nasus는 청어 목 (Clupeifarmes), 멸치 과 (Engraulidae)에 속하는 어류로 우리나라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압록강, 대동강, 임진강, 한강, 금강, 동진강)의 기수역에 서식하는 황해 특산 식용어 중 하나이다 (김ㆍ강, 1993). 최근 금강 하구댐이 완성되어 농업용수를 위해 수문이 폐쇄되어 기수와 차단되어 본 종의 산란시기에 담수역으로 이주할 수 없게 되었고, 인근지역인 동진강 유역도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막히게 되어 산란장을 잃게 되었다. (중략)

  • PDF

Landform and Environment in Border Region of N. Korea and China (북중 접경 지역의 지형과 환경)

  • Lee, Min-Boo;Kim, Nam-Shin;Cho, Yong-Chan;Cha, Jin-Y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6
    • /
    • pp.761-777
    • /
    • 2016
  • This study is to suggest landform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border region of N. Korea and China by analyzing results of field work for the Dumangang and the Amnokgang from year 2000 up to year 2016. By the social system in North korea, access of study material is possible with satellite image and published statistical data, but impossible direct data collection. We gathered field work data on landform and environment in border Region of N. Korea and China. Before field survey, we analysed geometrical landform and geology using DEM and digital geology map. We analyzed landform and environmental problems occurring in upper, midstream, and downstream region of the Dumangang and the Amnokgang using field work data. Resultingly,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support as basic data for resonable management on natural resources and empirical research activities on North Korea.

  • PDF

Redescription of a Freshwater Gadid Fish, Burbot (Lota lota) in the Amnokgang River, North Korea (북한 압록강에서 채집된 대구과(Gadidae) 모오캐(Lota lota)의 재기재)

  • Jeong-Ho Park;Hyuck Joon Kwun;Jin-Koo Kim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5 no.3
    • /
    • pp.207-210
    • /
    • 2023
  • While an investigation on the old samples kept at collection room i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IFS), we found a unique single specimen of burbot, Lota lota (54.7 cm in standard length) from Amnokgang River, North Korea on 14 April 1935. Burbot is the only stream dweller among members of the Gadiformes and found in the northern parts of Eurasia and North America. There was a little information in Korea, because it inhabits only the northern part of North Korea. This species is easily distinguished by having two dorsal fins, one anal fin, a barbel, and posterior of caudal fin rounded. This study provides detail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pares it with those of previous literatures on the North Korean L. lota.

우리 문화유산속의 과학(11) - 고분벽화 "천연 광물성 재료 쓴 정상의 고구려 예술"

  • Lee, Jong-Ho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2 s.403
    • /
    • pp.30-31
    • /
    • 2002
  • 우리나라의 고분벽화는 주로 고구려 무덤에서 많이 발굴되었는데 압록강 유역과 평양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지방에서 90여기가 발굴되었다. 삼국시대 이후 고려와 조선조에 이르기까지 명맥만 유지해 왔다. 이 고분벽화는 종교적 내용에서 비롯하여 고구려인의 전투적 모습과 수호신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재료는 물에 녹지 않는 천연 광물성 재료들을 많이 이용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