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암 생존율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42초

한방이화주 주박 추출물에 의한 암세포 항성장 및 세포사멸 기전 연구 (Anti-proliferative and Pro-apoptotic Effects by Lees Extracts of Ehwa Makgeolli Containing Oriental Herbs)

  • 권민정;이승훈;정정욱;손호용;신우창;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1-24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막걸리 중 하나인 한방 이화주의 주박으로부터 에탄올 추출물과 그것의 순차적인 유기용매 분획물을 획득하고, 이들 시료들이 인간 대장암 세포인 HCT116 세포주의 cell viability와 pro-apoptotic 유전자인 ATF-3와 NAG-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처리된 유기용매 시료 가운데 KSD-E3-2 분획물 (hexane 분획물)과 KSD-E3-3 분획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세포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두 분획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두 분획물의 처리에 의해 pro-apoptotic 유전자인 NAG-1과 ATF-3의 유전자와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KSD-E3-3 분획물 0.1 mg/ml의 처리에 의해 NAG-1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apoptosis의 지표인 PARP cleavage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KSD-E3-3 분획물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는 NAG-1 siRNA transfection에 의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KSD-E3-3 분획물에 의한 NAG-1 단백질의 발현증가와 apoptosis 간의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한방이화주 주박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암세포 항 성장 활성 및 apoptosis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Benzo[a]pyrene으로 유발한 Mouse Forestomach Tumor 생성에 대한 Astaxanthin 함유 난황의 효과 (Inhibition of Benzo[a]pyrene-Induced Mouse Forestomach Neoplasia by Astaxanthin-Containing Egg Yolks)

  • 이상호;박철우;박원석;이영춘;최의성;하영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6호
    • /
    • pp.490-494
    • /
    • 1997
  • Benzo[a]pyrene (BP)으로 유발한 mouse의 전위암 형성에 대한 astaxanthin 함유 난황 (astaxanthin-containing egg yolk : AEY)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Female ICR mouse (6-7 주령, 5 mice/cage, 20 mice/treatment)에게 물과 사료를 자유로이 공급하면서 일주일간 적응시킨 후 다음과 같이 처리를 하였다. BP (2 mg/0.2 ml corn oil)를 각 mouse에 경구투여하기 4 일과 2 일 전에 50 mg AEY, 100 mg AEY, 150 mg AEY, 또는 150 mg control egg yolk (CEY)을 함유하는 phosphate-buffered saline (PBS) 0.2 ml를 경구투여하였다. Control mouse는 0.2 ml PBS와 BP 만 경구투여하였다. 이 과정을 4회 반복하였다. BP를 경구투여 한 일주일 후부터 몸무게와 사료섭취량을 매주 기록하였으며 24주 후에 생존한 모든 mouse에 대해 전위암 생성을 조사하였다. AEY를 처리한 mouse에서는 control mouse나 CEY 처리 mouse에 비해 mouse 당 암의 수가 1/3 정도로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AEY의 항암효과는 AEY의 처리량에 비례하였다. AEY 처리에 따른 암발생율은 control이나 CEY 처리에 비해 감소되었으나 150 mg AEY 처리에서만 유의성이 있는 감소를 보였다. AEY 처리에 따른 몸무게나 사료 소비량의 감소현상은 볼 수 없었다. 따라서 이 결과는 AEY가 BP로 유발한 mouse의 전위암 발생을 억제함을 암시한다.

  • PDF

비소세포 폐암 환자의 수술 후 예후 (Prognosis of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after Surgery)

  • 강민종;박계영;유철규;정희순;김영환;한성구;심영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31-338
    • /
    • 1996
  • 배경 : 비소세포 폐암은 미국에서 암 사망율 원인 중의 1위를 차지하고, 또한 한국에서도 위암, 간암에 이어 3위를 차지할 만큼 흔하고 중요한 질병이다. 이러한 비소세포 폐암의 완치를 위한 많은 치료적 접근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아직도 근치적 절제술만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수술 전의 정확한 병기 판정 및 이에 다른 근치적 절제술은 환자의 장기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비소세포 폐암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병기 판정을 비교하여 그 일치율을 평가하고 수술 후의 재발율 및 재발 부위등을 알아 보았고 병기에 따른 장기 예후를 생존 곡선을 그려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서울 대학교 병원에서 완치를 목적으로 개흉술을 시행받았던 217명의 비소세포 폐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열람, 분석하는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특히 완전 절제가 가능하였던 17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발율 및 재발부위, 장기 생존곡선을 분석하였다. 결과 : 217명의 대상환자들 중 남자가 157명, 여자가 30명으로 그 성비는 5:1 이었고 나이의 분포는 23세에서 74세까지 다양했으며, 그 중앙값은 58세로 남, 여 간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수술 선후의 병기가 차이가 나는 경우가 약 40%에 달했으며 특히 T 병기 보다 N 병기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병기 및 조직형에 따른 재발율이나 재발 부위의 차이 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병기에 따른 생존곡선을 그렸을때, 그 relapse-free survival rate는 병기 I, II, IIIa에서 각각 73%, 53%, 48%로 나타났다. 결론 : 수술 후의 조직학적 병기 (pathologic staging) 가 비소세포 폐암의 예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정한 병기 결정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수술 전의 임상적 병기가 이를 정확히 예측해 주지는 못하므로 술전 병기가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으로는 작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수술 전후의 병기의 차이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진단적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 PDF

A일개 군지역 암등록자료의 국민건강보험 보장유무에 따른 암 생존율 차이 (Cancer Survival and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in a Community)

  • 권순석;최진수;신민호;김혜연;최성우;이영훈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7-134
    • /
    • 2009
  • It is known that socioeconomic status(SES) of the cancer patient is associated with survival in recent studies, performed in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association between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survival is also present in a community in Jeonnam province, South Korea. The Gwangju-Jeonnam Cancer Registry, a population-based cancer registry, provided information to identify the cancer cases of study community diagnosed from 1998 to 2007. Total of 2,046 cas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statu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survival for total cancer after adjusted by age, geographic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and stage at diagnosis. However, this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analysis using only stomach and colorectal cancer cases. Despite of some limitations,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policy for reduc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S is required in national cancer management program.

국립암센터에서 치료한 설암 환자의 생존율 분석을 통한 예후인자 분석 (Clinical Outcome of th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gue: Experience of National Cancer Center)

  • 김태운;조세형;민승기;이종호;김명진;박주용;최성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6호
    • /
    • pp.537-543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and influencing factors. Patients and Methods: We studied 104 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gue and received curative treatment in oral oncology clinic of National Cancer Center from June 2001 to December 2009. Results: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tongue cancer was 67.0%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2. A lower survival rate was shown in patients under 40 years (42.2%) than over 40 years (75.5%)(P < 0.05). 3. 5-year survival rates of patients with tongue cancer classified by pTNM classification were 87.4% in early stage and 43.3% (P < 0.05). 4. A higher survival rate was seen in patients without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82.0% > 44.1%)(P < 0.05). 5. A higher survival rate was seen in patients of tongue cancer with higher differenciation grade (P < 0.05). 6. It is well known that drinking and smoking have great influence on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ongue. But thes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overall 5-year survival rate of tongue cancer was 67.0% and it was mostly influenced by factors like age, pTNM stage,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differentiation of cancer cell etc.

자궁 경부진 핵 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ucleus Extraction of Uterine Cervical Pap-Smears)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699-1704
    • /
    • 2009
  •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 달리 전암(前癌) 단계가 존재하므로 조기 발견할 경우에 생존율이 높다. 그러나 의사나 병리학자가 하루에 검진할 수 있는 양은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세포 도말 검사에 사용되는 자궁 경부진 세포에서 핵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조기 자궁 경부 세포진 영상에서 핵의 추출은 영상의 배경 그리고 핵과 세포질 영역의 구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Lighting Compensation을 적용하여 영상을 보정하고, 명암도의 분포가 가장 작은 B채널에서 $3{\times}3$ 마스크를 이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잡음이 제거된 영상을 이진화하고 Grassfire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세포 객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세포 객체 중에서 군집화된 세포 영역에 대해서는 R 채널의 명암도 값을 반복 이진화에 적용하여 핵 영역을 추출한다. 실제 진단 세포학에서 사용하는 자금경부 세포진 400 배율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45개의 세포 영역 중에서 40개의 핵이 추출되었다.

흉선종의 수술적 치료 및 예후인자의 평가 (Surgical Treatment and Assessment of Prognostic Factors of Thymoma)

  • 정경영;김길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7호
    • /
    • pp.734-740
    • /
    • 1996
  • 1981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흉선종으로 세브란스병원에서 수술한 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중 28명(43.1%)이 중증근무력증을 동반하고 있었으며 마사오카 병기에 의하면 1기 28명(43. 11%), 2기 13명 (20.0%), 3기 22명 (33.8%), 4기a와 4기b가 각각 1명 (1.5%) 이었다. 수술사망은 없었고 완전절제가 48명 (73.8%)에서 가능했으며 수술 후 보조치료는 10명에서 시 행하여졌다. 병리학적분류로 24.6%가 상피세포형, 27.7%가 림파구형, )3.9%가 혼합형이 었다. 5년과 10년 생존율은 각각 87%, 82% 이었으며 흉선종의 수술 후 예후인자는 종양의 국소침윤여부, 종양의 완전절제여부, 흉선암, 병기, 중증 근무력증의 동반 여부였다. 1기 흉선종 환자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 PDF

구강암 마우스모델에서 림프관형성 인자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ymphangiogenic Factors on Survival in a Murine Model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박영욱;조주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1호
    • /
    • pp.1-12
    • /
    • 2013
  • Purpos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C and its tyrosine kinase receptor, VEGF receptor (VEGFR)-3 are recently known to have lymphangiogenic activities in various tumor type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whether the expression of lymphangiogenic factors correlate with nodal metastasis or survival in a nude mouse model of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Methods: Three OSCC cells (KB, SCC4, SCC9) were xenografted into the right mandibular gland of athymic nude mice. The mice were followed for tumor development and growth, and the mice were sacrificed when they had lost more than 20% of their initial body weight, or the diameter of the induced tumor exceeds 20 mm. After necropsy, the murine tumors were examined histologically and radiologically (micro-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omputed tomography) for regional or distant metastasis.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assays with anti-VEGF-C, VEGFR-3, CD105, and D2-40 antibodies. Immunofluorescence double staining for LYVE-1/CD31 was also performed. To quantify the VEGF-C and VEGFR-3 level in the cancer tissue, Western blotting was performed. Finally, we deter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expression of VEGF-C/VEGFR-3 and the mean survival time. Results: OSCC tumor cells into the mandibular gland of the nude mice successfully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recapitulating orthotopic tumor. Tumor cells of the induced tumor did not express VEGF-C. VEGF-C/VEGFR-3 expression was mainly distributed in the endothelial cells of the stromal area. There were no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expression of VEGF-C/VEGFR-3 and the mean survival time of mice injected with different OSCC cell lines. Conclusion: An recapitulating orthotopic model of OSCC in nude mice was established, which copies the cervical nodal metastasis of human OSCC. Overexpression of lymphangiogenic factors seems to have no effect on survival of hosts in this in vivo experiment.

2000-2001년도 제주도민 주요 5대 암 생존율 (Survival Rates of the 5 Major Cancers in Jeju Island Residents, 2000-2001)

  • 양영자;배종면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3호
    • /
    • pp.213-217
    • /
    • 2007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survival rates of cancer patients in Jeju Island residents from 2000 to 2001, based on their major primary sites of occurrence. Methods :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of the Jejudo Cancer Registry (JCR). The eligible population comprised 2,382 cancer cases, whose cancers were diagnosed from 1 January 2000 through 31 December 2001. Of the eligible population, 1,438 patients with 5 major cancers defined by the level of incidence rates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The period of survival for each case was calculated from the date of first diagnosis to the date of death, or the end of follow-up, i.e., 31 December 2003. The observed survival rates (OSR) and relative survival rates (RSR)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sex, age-group, and primary sites of occurrence. Results : The 3-year OSR and RSR in 5 major cancers wer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except 75 year-old over group. The 3-year RSR of stomach, colorectum, liver, and lung in both sexes were 61.0%, 62.6%, 24.7%, and 22.8%, respectively. The respective rates in JCR showed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ose in th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KCCR). Conclusions : These results would suggest some clues about prognostic factors of major cancers in Korean, and could apply to planning and evaluating of cancer control strategies in Jeju Island.

전통 메주에서 분리된 단독균으로 제조한 메주추출물의 혈액암세포에 대한 저해효과 (Inhibitive Effects of Meju Extracts Made with a Single Inoculum of the Fungi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Meju on the Human Leukemia Cell Line)

  • 한정;김현정;이상선;이인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312-317
    • /
    • 1999
  • 우리나라 중요한 식품 원료인 전통 매주로부터 분리한 단독균의 접종 메주의 암세포 저해효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민간유래의 혈액암 세포주에 대한 저해활성을 MTT assay로 분석하였다. 먼저 전통 메주로부터 21종의 단독균을 분리한 후 각각 접종하여 발효된 단독균의 메주시료를 조제한 다음 80% methanol로 추출하였다. 메주 메탄올추출물은 혈액암세포중 HL60에서는 다소 낮은 성장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U937과 Jurkat cell에서는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ucor속과 Absidia속 Aspergillus속으로 제조된 메주들에서 이들 혈액암세포에 대해 저해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메주 메탄올추출물들은 인간의 정상 lymphocyte에서 대해서는 90%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정상 세포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가 거의 없음을 보며주었다. 이는 단독균의 메주시료가 가지는 세포독성이 암세포에 대한 특이적인 작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