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코올 사용장애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 (The Factor Affecting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n women)

  • 김지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367-374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및 알코올사용장애 여부를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유병률은 14.7%였으며 알코올사용장애군과 정상군은 연령, 결혼 여부, 교육수준, 경제활동 여부, 흡연 여부, 스트레스 인지 정도, 우울증상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사용장애 유병 위험은 연령이 낮을 경우 4.0배, 미혼일 경우 1.6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1.6배, 흡연을 하는 경우 4.3배, 우울증상이 있는 경우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경제활동을 하는 미혼 여성의 음주와 흡연 여부, 우울증상을 파악하고 함께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며, 추후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경제활동을 하는 미혼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알코올 사용 장애 대학생의 슬픔 처리에 관련된 뇌 기능: fMRI 연구Brain (Substrates Associated with Sadness Processing in Subjects with Alcohol Use Disorders)

  • 박미숙;박지은;엄진섭;석지아;손진훈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국제감성 심포지엄
    • /
    • pp.19-2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 장애 대학생과 정상인을 대상으로 부적정서(슬픔)를 유발하고 슬픔 관련 뇌 기능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참가자로 11명의 알코올 사용 장애 대학생과 7명의 정상인을 선정하였다. 슬픔 정서 유발을 위해 예비 실험을 거친 슬픔 유발 시청각 동영상 자극을 1분 30초 동안 제시하였다(통제자극 30초). 슬픔 정서를 경험하는 동안, 알코올 사용 장애 대학생 집단은 좌측 Insula, 우측 Medial Fron-tal Gyrus, 좌측 Cingulate Gyrus, 좌측 Inferior Parietal Lobule이 활성화 되었다. 정상인 집단은 우측 Cuneus, 우측 Middle Occipital Gyrus, 우측 Precuneus, 좌측 Inferior Parietal Lobule이 활성화되었다. 결론적으로, 알코올 사용 장애 대학생과 정상인의 슬픔 자극을 처리할 때 관련된 뇌 기능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노인의 알코올 사용장애에 따른 우울, 삶의 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Alcohol Use Disorders and Depression, Qualty of Life in the Eldery)

  • 오청욱;김선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96-201
    • /
    • 2014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제가노인의 알코올 사용장애 정도와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제가노인의 알코올 사용장애 개선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자료는 SPSS 19.0 Version으로 기술적 통계, chi-square tes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농촌지역 제가노인의 사용장애는 성별, 연령, 동거인 존재여부, 학력, 종교, 직업, 흡연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제가노인의 알코올 사용장애는 우울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가노인의 알코올 사용장애를 보건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들의 참여에 지역사회와 정부가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는 고령화사회를 맞이하는 기초작업이 될 것이다.

자문 조정의학에서의 알코올 사용 장애 (Alcohol Use Disorder in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 서정석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15-19
    • /
    • 2011
  • 알코올은 생물학적으로 피부부터 위장, 간장과 같은 장기와 말초 및 중추 신경계의 기능과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며 그로 인하여 심리적, 생리적 의존과 함께 다양한 정신 장애를 일으킨다. 그리고 실직, 자살, 가정 내 폭력, 범죄 등의 사회적인 문제와 관련이 깊다. 이런 다양한 이유로 알코올 사용 장애는 타과로부터 흔하게 자문이 의뢰되어 조정되는 대표적인 정신신체 질환이다. 이에, 자문 조정 정신의학에서의 알코올 사용 장애의 유병률, 자문률 등의 현황을 살펴보고 알코올 상용장애 환자를 자문 조정하는 의사로서의 역할과 일반적인 원칙, 그리고 초기 치료 계획을 세울 때 고려해야 할 사항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치료를 받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Patients Receiving Treatment for Alcohol Use Disorders)

  • 김미영;김윤아;최숙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3-21
    • /
    • 2019
  •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삶의 만족도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와 G시에 소재한 알코올 전문병원에서 알코올 사용장애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는 152명으로, 2016년 10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만족도, 자족지지, 금주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삶의 만족도는 3.24점으로 직업이 있는 경우, 알코올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없는 경우, 금주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에 만족할수록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을 계획할 때, 직업재활과 금주 자기효능감을 고려한 전력이 도움이 될 것임을 시사한다.

알코올 사용이 자살시도의 심각성과 치명도에 미치는 영향-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Alcohol Use on Intent and Lethality of Suicidal Attempts)

  • 이진희;민성호;안정숙;박기창;김민혁;김흥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2호
    • /
    • pp.236-243
    • /
    • 2016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살시도에서 알코올이 자살시도의 심각성 및 치명도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총 1,152명의 자살시도자(남성 487명, 여성 742명)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음주 양상에 따라 알코올사용 장애군, 급성알코올사용군, 비알코올사용군으로 나누었다. 자살시도의 심각성과 치명도는 자살의도척도및 위험-구조평가척도로 평가하였다. 결 과 남성에서는 급성알코올사용군에 비해 알코올사용장애군에서 자살의도척도의 총점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여성에서는 각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험-구조평가척도에서 남성은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은 알코올사용장애군에서 가장 높은 구조도와 가장 낮은 위험도 점수를 보였다. 결 론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여성 자살시도자는 구조가 쉬운 상황에서 충동적인 자살 시도를 하는 경향이 있다면, 남성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보다 급성 알코올 중독상태일 때 자살의도가 더 강했다. 자살시도자의 알코올의 사용이 성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여성에서 중요한 위험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국내외 알코올사용장애 선혈도구의 비교를 통한 한국성인의 알코올사용장애에 관한 역학조사 (A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Disorders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7권
    • /
    • pp.67-88
    • /
    • 1999
  • 본 연구조사는 사회복지학계에서는 최초로 국내외에서 개발된 다양한 알코올사용장애 선별도구를 이용하여 신뢰성이 높은 알코올사용장애율을 밝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으로 충화표집을 이용하여 추출되었고 총 614명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Brief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한국형 알코올 중독선별 도구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음주문제를 측정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음주빈도, 음주 양, 폭음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조사의 주요결과로는 한국성인의 32.2%가 음주와 관련된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성인의 4.2% (한국성인의 134만명)가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것으로 선별되어 우리 나라 성인의 음주문제가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와 있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우리 나라 성인의 음주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초기면접시 AUDIT나 NAST 같은 선별도구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음주문제를 항상 파악하여야 할 것이고 알코올 및 약물사용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개인들과 그들의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과 자원을 개발하는데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세 가지 제안점을 언급하고 있다.

  • PDF

주정중독환자의 혈소판막과 $^{125}I-LSD$ 결합에 관한 연구 (The Binding Study of $^{125}I-LSD$ to Platelet Membrane in Alcoholism)

  • 정영철;은홍배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45-250
    • /
    • 1996
  • 본 연구는 알코올사용장애 환자의 혈소판막에 있는 serotonin수용체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_{125}I-LSD$를 radioligand로 사용하여 포화반응을 해 봄으로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환자군과 대조군간은 $B_{max}$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7). 2) Type 1군과 type 2군 사이 역시 $B_{max}$에 있어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96). 3) 알코올남용군과 알코올의존군 사이의 $B_{max}$$K_d$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위 결과들은 알코올사용장애의 serotonin 결핍가설을 지지해주며 혈소판의 serotonin 수용체 수의 증가가 알코올사용장애의 trait marker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단주기간에 따른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gree of Alcoholism Recovery, Quality of Life, Empowerment and Self-esteem Based on Different Abstinence Periods of Alcohol use Disorder)

  • 박경은;장혜량;김나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81-995
    • /
    • 2021
  • 본 연구는 단주를 유지하고 있는 알코올 사용장애자의 단주기간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7개 지역을 중심으로 알코올 사용장애로 진단받은 후 단주 중인 알코올 사용장애자 207명이었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7명을 단주 1년 미만, 1년-5년 미만, 5년 이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집단 간 차이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나이, 결혼 여부, 경제활동 여부였고, 1년 미만의 단주자들보다 1년 이상 단주를 유지하는 단주자들의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 모든 요인에서 높은 점수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단주기간을 불문하고 모든 단주자들에게서 알코올의존 회복, 삶의 질, 임파워먼트, 자아존중감이 서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장기적인 단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단주의 효과를 알 수 있었고 이런 요인들을 고려한 알코올의존 회복 프로그램이나 치료적 중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알코올 사용 장애자의 알코올 단서에 의해 유발된 갈망 특성 (Alcohol Craving in Subjects with Alcohol Use Disorders in Response to Alcohol Cues)

  • 박미숙;손선주;박지은;김숙희;유인규;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603-611
    • /
    • 2007
  • 남용 약물에 대한 갈망은 중독적인 행동을 지속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갈망은 강화적이거나 보상적인 약물을 복용하고자 하는 강한 욕구와 관련된 다차원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 장애자와 정상인이 알코올 관련 자극(소량의 술을 마시기,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에 노출되었을 때 갈망에 대한 심리적인 반응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알코올 관련 시각 자극을 개발하기 위하여 Normative Appetitive Picture System(NAPS)과 1차 집단 심리 실험을 통하여 알코올 자극을 선정하고 자극의 적합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여 자극을 최종 개발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알코올 사용 장애를 가진 9명의 남녀 대학생(남:8명)과 9명의 비의존 남녀 대학생(남:8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참여자는 5cc 정도의 알코올을 복용하고, 알코올 자극, 음료 자극, 통제 자극(흐릿하게 변형된 알코올 자극)과 고정점 자극(십자가 기호)에 무선적으로 노출되었으며, 각 종류의 자극이 제시되고 나면 마우스를 이용하여 심리적 갈망 수준을 보고하였다. 심리반응 결과, 강박음주갈망척도, 음주 전, 음주 후 알코올 갈망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알코올 사용 장애 집단은 알코올 자극을 포함한 모든 자극에서 정상인 집단보다 높은 알코올 갈망 수준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알코올 사용 장애자는 알코올 자극에 의해 유발된 심리적 갈망이 정상인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