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pidemiological Study on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Disorders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국내외 알코올사용장애 선혈도구의 비교를 통한 한국성인의 알코올사용장애에 관한 역학조사

  • 김용석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d : 1999.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with the alcohol use disorder among the Korean adults. To the author's knowledge, this study was the first social work article to survey the prevalence of the alcohol use disorder using the randomly selected sample. The survey instrument included the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the Brief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and the Korean Alcoholism Screening Test to identify the rates of problem drinkers and alcoholics. The instrument also included items to ask the respondents' drinking frequencies, drinking amounts, and heavy drink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Koreans had severe alcohol problems. 322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identified as those who have experienced drinking-related problems in the past year. This study found 4.2 percent of the respondents as alcoholics and estimated that 1.34 million of the Korean adult population were alcoholics. This study concludes that social workers should use screening tools to early identify clients with alcohol problems and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assist those clients and their families. Finally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조사는 사회복지학계에서는 최초로 국내외에서 개발된 다양한 알코올사용장애 선별도구를 이용하여 신뢰성이 높은 알코올사용장애율을 밝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으로 충화표집을 이용하여 추출되었고 총 614명이 본 조사에 참여하였다.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 Brief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한국형 알코올 중독선별 도구를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음주문제를 측정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음주빈도, 음주 양, 폭음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조사의 주요결과로는 한국성인의 32.2%가 음주와 관련된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성인의 4.2% (한국성인의 134만명)가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것으로 선별되어 우리 나라 성인의 음주문제가 상당히 심각한 수준에 와 있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사회복지사는 우리 나라 성인의 음주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초기면접시 AUDIT나 NAST 같은 선별도구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의 음주문제를 항상 파악하여야 할 것이고 알코올 및 약물사용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개인들과 그들의 가족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과 자원을 개발하는데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세 가지 제안점을 언급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