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카인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1초

알카라인 연료전지 가스확산층 내구성 향상을 위한 초발수 코팅 최적화 연구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Superhydrophobic Coating for the Durability of Gas Diffusion Layer in Alkaline Fuel Cells)

  • 김숭연;서민혜;엄성현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91-69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알카라인 연료전지 환원극 가스확산층에 내열화학성이 우수한 초발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PDMS 코팅 공정을 최적화하였다. 성격이 상이한 두 개의 상용 가스확산층을 선택하였으며, 소재의 열적 안정성을 검토하여 코팅 온도를 최적화하고, PDMS 점도를 제어하여 코팅 균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PDMS 전구체의 점도와 관계없이 $200^{\circ}C$ 부근에서 코팅하게 되면 모든 확산층 표면에서 높은 초발수 성능을 나타내었다. 가혹실험 조건에서 초발수 성능변화를 측정한 결과 1000 CS PDMS를 이용하여 28BC 가스확산층에 코팅한 경우가 가장 높은 내구성을 나타내었다.

피니싱 처리 이후 알카자이트 수복재의 표면거칠기와 미생물 부착 (Surface Roughness and Microbial Adhesion After Finishing of Alkasite Restorative Material)

  • 박초아;박호원;이주현;서현우;이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8-195
    • /
    • 2020
  • 이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알카자이트 재료인 Cention N에 finishing처리를 한뒤에 표면 거칠기와 박테리아 부착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함이다. 레진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컴포짓트 레진, 알카자이트 재료를 원통형의 디스크 형태로 제작하였다(n = 48). 이 후 대조군과 3가지 카바이드버, 미세다이아몬드 버, 화이트스톤버의 피니싱 버에 따른 4가지 하위군으로 분류하였다. 표면 거칠기는 atomic force microscope으로 조사하였으며 표면관찰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우식원성 미생물인 streptococcus mutans의 시편 부착을 위하여 CDC biofilm reactor를 사용하여 바이오필름을 배양한후 집락형성단위를 측정하였다. 레진과 Cention N의 아무처리 하지 않은 컨트롤 군의 표면 거칠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피니싱 처리된 시편들보다 거칠었다. 하지만 표면 거칠기와 미생물 부착사이의 상관관계는 매우 약했다(PCC = 0.13). RMGI와 Cention N은 레진시편에 비해 미생물 부착이 적게 일어났다. Cention N은 피니싱만으로도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수준인 0.2 ㎛ 이하의 거칠기를 보였으며 이온 방출 성질로 미생물 부착이 레진과 비교시 적은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PBI 공중합체를 이용한 알카라인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의 합성과 이온전도특성 (Synthesis and Ion Conducting Properties of Anion Exchange Membranes Based on PBI Copolymers for Alkaline Fuel Cells)

  • 이동훈;김세종;남상용;김형준
    • 멤브레인
    • /
    • 제20권3호
    • /
    • pp.217-221
    • /
    • 2010
  • 기존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체전해질 알카라인연료전지(SAMFC)가 근래에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술폰화 폴리벤지이미다졸(PBI) 유도체를 이용하여 SAMFC용 막을 제조하였다. 술폰화 폴리벤지이미다졸 유도체는 KOH에 의해 쉽게 도핑되고 도핑된 막은 높은 $OH^-$의 전도도와 기계적 강도를 보였다. 특히 sPBI-co-PBI (술폰화 PBI : 비술폰화 PBI = 75 : 25)의 경우, $90^{\circ}C$ 100% 상대습도 하에서 $2.98{\times}10^{-2}\;S/cm$의 높은 $OH^-$의 전도도를 보였다.

The Metabolism of (4-$^{14}C$) Cholesterol on Photoperiodism in Solanum andigena

  • Bae, Moo;Mercer, E.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79-183
    • /
    • 1970
  • Solanum andigena의 광주성 주기중의 방사성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연구하였다. 대사산물로서 방사성 솔라닌과 그 가수분해물 솔라니딘을 분리 결정화하였으며, 콜레스테롤은 이 식물체 내에서 형성되는 에스테르화된 형태로 분리하였다. 단일 및 장일식물간의 콜레스테롤을 대사에는 뚜렷한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으나. 괴경중의 스테로이드 알카로이드에 콜레스테롤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 PDF

리튬전지 전용 고속 자동 블리스터 포장기 가상시제품 개발과 동특성에 관한 연구

  • 정상화;이경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20-220
    • /
    • 2004
  • 최근 들어 블리스터 포장방식은 제품을 뜯어보지 않고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여러 가지 상품포장에 이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건전지의 포장 역시 블리스터방식을 이용하여 포장을 하고 있다 그런데 카메라 및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리튬전지의 경우에서는 전지 자체가 가지고 있는 폭발위험성 때문에 블리스터 포장을 할 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를 비롯한 국외에서도 일반 알카라인 전지 포장기계를 구조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고 리튬전지 특성을 고려한 리튬전지 전용 블리스터 포장기는 개발되지 않고 있다.(중략)

  • PDF

저령(Grifola umbellata)균핵의 추출성분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clerotia of Grifola umbellata)

  • 이학주;이경태;박영기;이민웅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16-24
    • /
    • 2002
  • 저령의 균획으로부터 3개의 알카로이드와 2개의 스테로이드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단리된 물질들은 NMR, MS 등의 기기분석에 의해 9-β-D-ribofuranosyladenine (adenosine)을 비롯하여 1-β-D-ribofuranosyluracil (uridine), 그리고 2, 4-pyrimidinedione (uracil)과 ergosta-4, 6, 8 (14), 22-tetraen-3-one, ergosta-5, 7, 22-tritene-3β-ol (ergosterol)으로 각각 동정하였다.

  • PDF

산조인 알카로이드의 가용화 및 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biliz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Sanjoinine-A)

  • 서광교;이치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4호
    • /
    • pp.257-261
    • /
    • 1996
  • The seeds of Zizyphus Jujuba have been used as an antianxiety agent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from the earliest times. Sanjoinine-A, isolated from the seeds of Zizyphus Jujuba, have been found to have a minor tranquilizer activity. However this drug is poorly soluble in w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dissolution rate of sanjoinine-A, solid dispersions with PVP-MC and inclusion complex with ${\beta}-cyclodextrin$ were prepared and evaluated. All of these systems increased the dissolution rate of sanjoinine A comparing with sanjoinine-A free base. From pH-rate profile of sanjoinine-A at $60^{\circ}C$, it was found that sanjoinine A was relatively stable in acidic solution, but unstable in basic sol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