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알레르기비염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9초

어린이의 수면 호흡 장애 관련 위험인자 (A Study on Factors Related to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 김나운;이대우;김재곤;이창근;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80-18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수면 설문지(PSQ)를 활용하여, 구강 내 소견, 체질량 지수(BMI) 및 병력과 비교함으로써 수면 호흡 장애(SDB)와 관련된 잠재적 위험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만 7세에서 11세 사이의 787명의 어린이가 포함되었으며, 어린이의 보호자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Angle의 분류, 수평피개 및 Brodsky 편도 등급을 포함한 구강 증상을 조사하였다. 이중 PSQ 점수가 0.33점 이상인 대상은 SDB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787명 중 34명(4.3%)이 SDB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었다.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과도한 수평피개, 편도 비대를 가진 어린이는 그렇지 않은 어린이보다 SDB 위험이 훨씬 더 높았다. 또한 BMI 상태에 따라 SDB 위험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 재태 연령, 모유 수유 및 Angle의 분류는 SDB와 관련이 없었다. 이 연구에서 SDB 고위험군의 어린이는 4.3%로 나타났으며, 예측인자로는 편도 비대, 알레르기성 비염, 비만 및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었다. 이러한 예측인자를 가진 어린이는 SDB가 발생할 위험이 높고 조기개입이 필요한 대상이 될 수 있다.

알레르기 비염을 포함하는 과민성 비염 환자 580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sdf (A Clinical Study of 580 Cases on Hypersensitive Rhiniti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 신상호;김자혜;김미보;고우신;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0권1호통권32호
    • /
    • pp.218-227
    • /
    • 2007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utpatients of hypersensitive rhinitis including allergic rhinitis who had visited to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Method : We analyzed statistics study in 580 patients, who had visited to the Dept. of dermatology, ophthalmology & otorhinolayngology Hospital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from March, 1998 to December, 2006.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is more male(53.28%) than femal(46.72%). The age distributions of patients showed highest in 20-29 years, followed by 10-19 years, 30-39 years in order. 2. The yearly distributions of patients showed highest in 2004, followed by 2001, 2005 in order. The seasonal distributions of patients showed highest in fall, followed by winter, summer, spring in order. The monthly distributions of patients showed highest in September, followed by August, October in order. 3. The distributions of number of times in treatment showed highest in 1-5 times. The distributions of duration of treatment showed highest in 1 week. In the treatment method, a major portion of treatment methods was acupuncture, followed by herbal medicine treatment, aroma therapy in order. 4. The Frequency of use of Prescriptions showed highest in Bojungikgi-Tanggami. The Frequency of use of Extract showed highest in Sochungryong-Tang. 5. The distribution of past history showed highest in Atopic dermatitis. The distribution of Rhinologic Complication showed highest in Paranasal sinusitis.

  • PDF

알레르기성 비염 흰쥐모델에서 理中湯合敗毒散이 비염치료에 미치는 영향 (Therapeutic Effects of Lizhongtang plus Baidusan Extract in Rats with Allergic Rhinitis)

  • 이상문;최인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2-80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s: Recently the incidence of allergic rhinitis has increased but treatment in most cases has only dealt with the symptoms. Medicine has been developed that shows fewer side effects. However, some side effects and the psychological stress over taking medicine have remained. There have been no studies so far performed on the effect of Lizhongtang plus Baidusan Extract.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therapeutic effects of its exclusive use in rats with Allergic Rhinitis. Materials and Methods : Thirty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the cetirizine HCI group and the sample group. To induce allergic rhinitis in the control group, the cetirizine HCI group and the sample group, rats were sensitized intraperitoneally with 0.1$\%$ ovalumin solution 3 times at an interval of I week. Then intranasal sensitization was performed by diffusing 0.1$\%$ ovalumin solution 3 times at an interval of 2 days. After that time, rats of the cetirizine HCI group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cetirizine HCI. Rats of the sample group were treated with Lizhongtang plus Baidusan Ex. for 28 days. We observed changes in nasal mucosa and submucosa. Also we found changes in the segment of neutrophil and lympocyte in Leukocyte. We used the statistical methods of ANOVA test(p 〈0.05). Results: The loss of the cilium and the secretion of mucus in the treated group was rare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Effects of Lizhongtang plus Baidusan Ex. on the liver function were also studied in rats. Treatment of Lizhongtang plus Baidusan Ex. did not affect AST and ALT. The segment of neutrophi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reated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cetirizine HCI group(p 〈0.05). The segment of lympocyt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ed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cetirizine HCI group(p 〈0.05).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Lizhongtang plus Baidusan Ex. decreases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rats with Allergic Rhinitis.

  • PDF

알레르기 림프구에서 집먼지진드기 알러젠의 PAR2/PKCδ/p38 MAPK 경로를 통한 사이토카인 증가는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억제시킨다 (House Dust Mite Allergen Inhibits Constitutive Neutrophil Apoptosis by Cytokine Secretion via PAR2/PKCδ/p38 MAPK Pathway in Allergic Lymphocytes)

  • 이나래;이지숙;김인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8-19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집먼지 진드기 추출물은 호중구에 단독으로 작용하는 것보다, 림프구와 호중구의 공동배양에서 호중구의 세포고사를 더 억제시켰다.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 질환의 림프구에서 IL-6, IL-8, MCP-1, GM-CSF의 분비를 증가시켰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은 protein kinase C ${\delta}$의 억제제인 rottlerin과 p38 MAPK의 억제제인 SB202190에 의해서 감소하였다.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활성화된 p38 MAPK은 protease-activated receptor (PAR2)의 억제제, rottlerin, SB202190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Serine protease 억제제인 aprotinin과 cysteine protease 억제제인 E64은 림프구의 사이토카인의 증가와 관련이 없었다. 또한 집먼지 진드기에 의해 증가된 사이토카인의 변화는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서 차이가 없었다. 림프구에서 집먼지진드기에 의해서 분비되는 분자들은 호중구의 유주운동을 억제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집먼지진드기에 의해 유발되는 알레르기 질환의 병인기전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결과가 될 것이다.

일별 꽃가루농도에 대한 기상영향 (Meteorological Impact on Daily Concentration of Pollens in Korea)

  • 이혜림;김규랑;최영진;오재원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9-107
    • /
    • 2012
  •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의한 온난화 현상과 대기오염증가와 아울러 알레르기 유발성 꽃가루의 증가로 천식, 비염, 결막염 등 알레르기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꽃가루 농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체계적으로 표준화하기 위하여 한국의 꽃가루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측된 꽃가루는 1998~2010년(단, 2006년은 제외)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소나무, 수목류(소나무 제외), 잡초류를 서울, 부산, 대구, 광주, 강릉,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꽃가루는 지난 12년간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지역에서는 장기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장기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꽃가루 농도와 기상요소는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지역별로는 꽃가루 농도와 기상요소는 서로 다른 상관관계를 가진다. 꽃가루농도에 영향을 주는 기상요소 중저온누적도와의 관계를 이용하여 꽃가루 개화기간의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수목류의 경우, 충분히 낮은 기온이 만족되면, 개화기간이 줄어드는 결론을 얻었다. 이 모형에 의한 결과로부터 알레르기 유발 꽃가루의 유행시기변화를 생물계절모형으로 예측 가능함을 판단할 수 있다.

식물추출 복합물(PEM381)의 제I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Phyto Extract Mixture (PEM381) on Type I Allergic Reaction)

  • 김경범;이유진;채옥희;송창호;정종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5-16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녹차(Camellia sinensis)잎 추출물, 구아바(Psidium guajava)잎 추출물 그리고 장미(Rosa hybrida)꽃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식물추출 복합물(PEM381)에 대하여 제I형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능 및 생화학적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COX 억제 활성, LO 억제 활성, compound 48/80에 의한 랫드 복강 비만세포의 탈과립과 히스타민 유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반응 억제효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PEM381은 5-LO $IC_{50}$ 값이 $14.11{\pm}0.51ppm$으로 나타났고, COX-1에 비해 COX-2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M381은 compound 48/80에 의한 비만세포의 탈과립과 히스타민 유리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뿐만 아니라 수동피부아나필락시스 반응도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PEM381은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및 기관지천식 같은 제I형 알레르기 질환에 대하여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BL-2H3 세포에 있어서 꾸지뽕 당단백질에 의한 히스타민 방출 및 COX-2 활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Glycoprotein Isolated from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on Histamine Release and COX-2 Activity in RBL-2H3 Cells)

  • 오필선;이혜진;임계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05-412
    • /
    • 2009
  • 본 연구는 꾸지뽕 나무 열매로부터 75 kDa의 당단백질(꾸지뽕 당단백질)을 추출한 후 꾸지뽕 당단백질의 첨가에 따른 알레르기성 염증 인자인 histamine 유리 억제능력 및 COX-2의 활성 억제 효과를 평가하였다. RBL-2H3세포를 22시간 동안 IgE로 감작시킨 후, HSA를 처리하여 histamine의 유리양을 측정한 결과 꾸지뽕 당단백질을 처리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histamine의 유리와 COX-2의 활성 억제율은 증가하였다. 또한 꾸지뽕 당단백질의 처리는 HSA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ROS 생성량을 농도에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한편 꾸지뽕 당단백질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세포내 단백질을 추출하여 western blot을 실시한 결과 100 ${\mu}g$/mL 농도의 꾸지뽕 당단백질을 처리한 그룹에서 ERK1/2, AP-1과 COX-2의 활성 수준은 현저히 억제 되었다(p<0.05). 따라서 이러 한 결과에 미루어볼 때, 꾸지뽕 당단백질은 세포내 해독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ROS 수준을 감소시켰으므로 꾸지뽕 당단백질의 역할이 다른 천연물 유래의 당단백질과 마찬가지로 특이적인 항산화 능력을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며 histamine의 유리 억제와 COX-2의 활성이 억제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꾸지뽕 당단백질이 항 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물질로써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등과 같은 알레르기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 사료된다.

가미보중익기탕(加味補中益氣湯) 투여(投與)와 피내침(皮內針) 시술(施術)을 병용(幷用)한 소아(小兒)(10-11세) 알레르기비염 환자(患者)의 치료효과(治療效果)에 관한 임상연구(臨床硏究) (The Clinical Study of the Kamibojungikgi-tang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Allergic Rhinitis in 10-11 Years Old Children)

  • 김광록;박동일;감철우;이승연;박성하;이영준;남우진;이승연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3호
    • /
    • pp.221-231
    • /
    • 2011
  • Objectives : Kamibojungikgi-tang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medical treatment for the allergic rhinitis. The main symptoms of the allergic rhinitis are nasal obstruction, watery rhinorrhea, and sneez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medical effect of the Kamibojungikgi -tang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on the allergic rhinitis in 10-11 years old children. Methods : For 8 weeks, we administered Kamibojungikgi-tang to 84 patients and treated them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We checked their serum IgE and examined 10 symptoms of the allergic rhinitis (nasal obstruction, watery rhiorrhea, sneezing, nasal pruritus, hyposmia, quality of life, color of nasal mucosa, edema of nasal mucosa, postnasal drip, and complication). Results : 1. Serum IgE decreased 2.62 point. which showed no significance. 2. Nasal obstruction, watery rhiorrhea, sneezing, nasal pruritus, hyposmia, quality of life, color of nasal mucosa, edema of nasal mucosa, and postnasal drip were improved. (p<0.005) 3. Complication showed no significance. Conclusions : After treatment, we had a lower symptom index scores. Kamibojungikgi-tang with intradermal acupuncture treatment had an effect on the allergic rhinitis.

세로무늬 먼지진드기의 실험실적 배양에서 나프탈렌의 효과 (Naphthalene effects on in vitro culture of house dust mit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 이선화;남해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49-752
    • /
    • 2006
  • 집먼지진드기는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 즉, 소아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 피부염 등의 가장 중요한 기인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일반 살충제로 알려진 나프탈렌이 먼지진드기에 대해서도 유의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페트리디쉬에 5 g의 혼합배지를 넣고 나프탈렌 농도를 달리한 6개의 그룹을 설정한 후 살아있는 세로무늬 먼지진드기 20마리씩을 분주하여 $25^{\circ}C$, 상대습도 75% 조건에서 4 주간 배양하였다. 그룹별 나프탈렌 농도에 따른 회수 된 먼지진드기의 개체수는 0 mg에서 (대조군) 191.5, 1 mg에서 24.3, 2 mg에서 1.3, 3 mg에서 1.3 이었고, 5 mg 및 10 mg 그룹에서는 살아있는 먼지진드기가 회수되지 않았다. 이상으로 나프탈렌은 실험실적 조건에서 세로무늬 먼지진드기에 대한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모유 수유아에서 발생한 계란 흰자 피부접촉에 의한 아나필락시스 쇽 1례 (Anaphylactic Shock in a Breast Milk-Fed Infant due to Skin Contact with Egg White)

  • 김어진;윤영란;염정숙;김점수;서지현;임재영;최명범;박찬후;우향옥;윤희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7권1호
    • /
    • pp.83-86
    • /
    • 2004
  • 저자들은 모유 수유를 하고 알레르기의 기왕력과 가족력이 없는 4개월 된 영아에서 계란 흰자의 피부 접촉 후 아나필락시스 쇽이 발생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이 환아는 계란에 대한 엄격한 회피 요법과 함께 안전한 예방 접종 스케줄에 대한 관리, 아토피나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발생에 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