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혈관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초

당뇨인을 위한 병원 탐방 - 치주질환 치료로 혈당도 잡아보세요! - 당뇨전문치과 강남 이롬치과 -

  • 홍지영
    • 월간당뇨
    • /
    • 통권210호
    • /
    • pp.64-66
    • /
    • 2007
  • 많은 당뇨병환자가 눈, 혈관, 발에 합병증이 생기 않도록 혈당조절을 포함해 많은 신경을 쓰는 반면,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상실이나 염증 등은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방치한다. 나이가 들면 으레 치아가 빠지는 것이려니, 잇몸이 안 좋아지는 것이려니 하고 넘어가는 것이다. 당뇨병환자가 혈당조절을 하기위한 요소 중 식사요법이 중요한데, 치주질환을 방치해 치아가 빠지거나 잇몸 염증이 심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가 없어 혈당관리가 어려워진다. 또한 치주질환으로 치료를 받고자 해도 일반 치과에서 받기에는 '당뇨'가 걸리고, 그렇다고 종합병원으로 가기에는 절차가 다소 복잡하기도 하다. 이에 한 치과에서 당뇨인들이 보다 쉽고 빠르게 치주질환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당뇨치아클리닉을 개설해 찾아가보았다.

  • PDF

Rat에서 Cromakalim에 의해 유발된 혈관이완 및 혈압강하작용에 대한 Glipizide의 억제작용 (Inhibitory Effects of Glipizide on Cromakalim-induced Vasorelaxative and Hypotensive Action in the Rats)

  • 허인회;안형수;윤성훈
    • 약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6-221
    • /
    • 1991
  • The inhibitory effects of glipizide on cromakalim-induced relaxation of aortae and hypotension in the anesthetized rats was examined. In rat thoracic aortic rings pre-contracted with norepinephrine, cromakalim produced a relaxation sustainedly. This relaxation was completely inhibited by pre- or post-treatment of glipizide. In the anesthetized rat, cromakalim produced a rapid and sustained fall in the arterial blood pressure. This hypotensive action of cromakalim was abolished by pre- or post-treatment of glipizide. It is suggested that glipizide is the potent inhibitor of cromakalim, $K^{+}$ channel opener, in the rats.

  • PDF

재발성 고립성 섬유성 종양의 외과적 치험 (Recurrent Solitary Fibrous Tumor of the Mediastinum)

  • 권영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368-372
    • /
    • 2001
  • 장막내의 고립성 섬유성 종양은 드물며 대부분 장측 또는 벽측 흉막에서 발생하지만 종격동, 심막, 복막, 폐실질 , 안과 그리고 뇌척수막에서도 발생하기도 한다. 이 종양은 다양성으로 인하여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종격동이나 흉부 외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하다. 이 종양의 임상적 양상을 예측하기 어려우며 조직학적으로 양성의 소견을 보이면서, 임상적으로는 악성의 양상을 띠기도 한다. 악성의 임상양상을 보이는 경우는 약 13∼23% 정도로 보고되고 있다. 저자는 53세의 여자 환자에서 종격동의 고립성 섬유성 조양을 수술한 후, 4차례 재발한 드문 증례를 수술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다발성 손상에 의한 중증외상환자의 경피적 동맥색전술의 유용성 (The Usefullness of Percutaneous Transarterial Embolization in Patients with Severe Multiple Traumas)

  • 유인규;임청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07-114
    • /
    • 2012
  • 사고로 인해 응급실을 내원한 중증외상환자로 등록된 환자 중 혈관조영술을 시행 받고, 동맥 출혈이 진단되어 동맥색전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생존군과 사망군을 비교하여 생존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치료방법으로 혈관조영술 및 색전술의 유용성과 적절한 시행 시점을 연구하였다. 2006년 7월부터 2010년 12월에 경기도에 위치한 H병원 응급실에 중증외상환자로 분류된 환자 중 혈관조영술과 동맥색전술을 시행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지표로 ISS(Injury Severity Score)와 RTS(Revised Trauma Score), 적혈구 용적률 (Hematocrit)를 삼았다. 다발성 손상의 의한 중증외상환자의 경피적 동맥색전술은 모두 성공적으로 시술되었고, 환자의 사망률과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RTS, ISS, Hematocrit, 쇼크 등이 사망률 조기 인자로써 예측이 가능하였으며 생체활력증후가 안 좋은 환자는 색전술 시행 시점을 가능한 빠르게 진행시켜야 한다.

폐분획증이 없이 하행 흉부 대동맥에서 분지된 좌측 바닥 구역의 이상 기시 체혈관 - 1예 보고 - (Anomalous Systemic Arterial Supply to the Left Basal Segments without Sequestration from Descending Thoracic Aorta - A case report -)

  • 김혁;정원상;장효준;강정호;김영학;김지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12-515
    • /
    • 2008
  • 폐분획증이 없는 좌측 바닥 구역의 이상 기시 체혈관은 폐분획증의 범주 안에 속하는 매우 드문 선천성 질환이다. 하지만 폐분획증과는 달리 정상적인 기관지 연결 관계를 가지고 있다. 술전에 진단된 폐분획증이 없는 좌측 기저 분엽의 이상 기시 체혈관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치험하였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골신티그라피에 의한 Hydroxyapatite 안구삽입물로의 섬유혈관증식 평가 (Evaluation of Fibrovascular Ingrowth into the Hydroxyapatite Ocular Implant by $^{99m}Tc$-MDP Bone Scintigraphy)

  • 범희승;송호천;김지열;정상기;박영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56-260
    • /
    • 1993
  • Hydroxyapatite 안구삽입물내로의 섬유혈관증식 여부를 진단하는데 $^{99m}Tc$-MDP 골신티그라피가 유용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남대학교병원 안과에서 안구적출술 후 hydoxyaptite 안구삽입물을 삽입하고 골신티그라피 검사를 시행한 13예의 환자의 골신티그라피 17예를 분석하고, 이들에서 의안부착을 위해 안구삽입물에 구멍을 뚫을 때 출혈이 있는지를 관찰하여 섬유혈관증식 여부를 확인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은 21세부터 56세까지 분포하였고(평균연령 38세), 성별로는 남자 10, 여자 3예였다. 이 중 2예에서는 2번씩, 또 1예에서는 3번 검사를 시행하였으므로 시행한 골신티그라피는 17번이었고, 이 17예의 검사소견을 분석하였다. 평면상은 정성적으로 판독하였는 데, 안구삽입물에 섭취가 안면골보다 많은 정도를 4+, 안면골과 같은 정도를 3+, 주변 안면골보다 작은 경우를 2+, 섭취가 정상 안구보다 조금 더 진한 정도를 1+로 정하였다. 단면상의 경우는 정상안과 비교한 섭취율을 구하였으며, 그 공식은 (삽입물의 방사능/반대측 안와의 방사능)으로 하였다. 대상환자 모두의 골신티그라피 평면영상에서 1 이상의 섭취를 보였고, 단면상의 정량분석은 1.18이상의 섭취를 보였다. 골신티그라피를 2번 이상 시행한 3예 중 2예에서는 두번째 시행한 골신티그라피상 $^{99m}Tc$-MDP 섭취의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나머지 1예에서는 3번 시행한 골신티그라피상 전혀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또 대상환자에서의 안부착시 출혈 여부를 관찰하였는 바 모든 환자에서 충분한 출혈이 있어 삽입물내로 섬유혈관증식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골신티그라피상 $^{99m}Tc$-MDP 섭취를 보인 안구삽입물 13예 전예에서 삽입물 내로의 혈관증식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hydroxyaptite 안구삽입물내로 섬유혈관증식은 매우 잘 일어나며, 주변 안면골보다 낮은 정도의 섭취만 보이더라도 섬유혈관증식 일어난 상태임을 의미하고, 이 경우 안심하고 2차 천공을 시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플로레틴(Phloretin)의 혈관내피수축 융합효과와 관련기전 연구 (The Convergence Effect of Phloretin Existent in Plants on Vascular Contractility)

  • 방준석;제현동;민영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143-149
    • /
    • 2020
  • 이 실험에서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등에 대해 치료 활성이 기대되는 플로레틴(phloretin) - 사과나무 잎과 개살구의 주성분 - 에서의 쥐의 대동맥에서 ROCK(Rho연관 인산화효소) 불활성화를 통해 혈관수축을 억제한다는 기전을 확인하고자 한다. 개체에서 분리되고 내피가 유지되거나 손상된 동맥의 고리 조각은 2개의 금속 고리로 근운동기록기(myograph) 수조 안에 현수되었고 아래쪽 고리는 수조바닥에 고정되었고 위쪽 고리는 등장력 변환기에 연결되었고 등장력 변환기의 전기적 신호는 생리측정기에 표시되었다. 재미있게도 플로레틴은 수축약 (fluoride, phorbol ester)에 의한 혈관 수축을 억제하여 ROCK 또는 MEK(마이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키나제) 비활성화 같은 경로가 혈관이완에 관여할 수 있음을 보였다. 따라서 phloretin은 내피가 완전한 혈관에서의 내피에 의존적인 작용 외에 추가적으로 내피에 비의존적으로 평활근에서 ROCK 또는 MEK 활성 감소에 참여하여 결과적으로 평활근에서 액틴-미오신 상호작용을 억제하여 혈관을 이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phloretin은 thromboxane A2 유도수축을 억제하고 ROCK 및 MEK 억제를 포함하는 기전있음을 주장합니다.

Lycopene의 새로운 혈관내피세포 생리활성 (Novel Function of Lycopene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 조진구;김성현;서정화;안선영;정은실;박헌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93-1099
    • /
    • 2010
  • 항암 효과와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lycopene은 심혈관에서의 기능이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ycopene의 심혈관 기능을 알기 위해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해 다양한 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ycopene은 내피세포의 성장 및 이동을 촉진하였으나 세포사멸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한, 백혈구의 혈관내피세포 부착을 억제하였고 내피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인 MAPK들의 활성을 촉발하였다. MAPK의 활성 억제제를 이용한 신호전달기전 연구실험 결과, ERK와 p38 MAPK의 활성은 세포성장에 관여하고, JNK의 활성은 세포이동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lycopene은 혈관내피세포의 신호전달 물질인 MAPK들를 통해 세포성장 및 이동을 촉진시키며, LPS에 의한 THP-1의 내피세포 부착을 억제 하는 등 혈관내피세포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절한다. Lycopene의 이러한 혈관내피세포 기능들은 lycopene이 혈관질환 치료제로 응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흰쥐 수지동맥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 (Eine Structure of Digital Arteries in Rat)

  • 김백윤;신근남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1호
    • /
    • pp.83-94
    • /
    • 1999
  • 미세혈관 수술의 발달로 수지동맥의 재접합술이 성행함에 따라 혈관벽의 구조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하지만 수지의 미세동맥과 모세혈관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저자는 흰쥐 수지의 충양근 안에 있는 미세동맥과 모세혈관의 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1. 흰쥐 충양근 내의 미세동맥 (small arterioles)은 그 직경이 $12\sim20{\mu}m$로 중막이 한 층의 평활근세포로 구성된 종말소동맥 (terminal arteriole) 형태였는데 인체의 종말소동맥$(30\sim35{\mu}m)$에 비해 직경이 작았으며, 모세혈관은 직경이 $5\sim8{\mu}m$로 비슷하였다. 2. 모든 미세동맥 및 모세혈관의 내막을 구성하는 내피세포는 연속형 (continuous type)이었고, 따라서 전체 세포질내에 포음소포(pinocytic vesicles)가 많이 관찰되었다. 3. 모세혈관 주위에서 자주 혈관주위세포(pericytes)가 관찰되었는데 철관주위세포의 긴 들기가 내피세포의 일부를 싸는 경우도 많았으며 이들은 기저판에 의해 둘러싸여 있었다. 4. 내피세포들 사이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접촉이 있었으나 특히 폐쇄띠 (tight junction)를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다. 미세동맥의 내피하층은 기저판 아래에서 매우 불규칙한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곳곳에 내피세포와 중막을 구성하는 평활근세포의 막이 꽉 붙어 관찰되었다. 5. 미세동맥의 중막을 구성하는 한 층의 평활근세포의 세포질은 많은 filaments가 있어 균질성으로 보이는 균질성 영역 (homogeneous area)과 mitochondria, 조면내형질망, 골지복합체, polyribosome 등이 관찰되는 핵 주위의 비균질성 영역 (non-homogeneous area)으로 구분되었다. 6. 미세동맥의 외막은 섬유모세포의 아주 가느다란 돌기들로 형성되어 있었으며 군데군데 교원섬유들이 관찰되었다.

  • PDF

양측성 망막분지정맥폐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Observation of the Bilateral Branch Vein Occlusion)

  • 박영훈;한덕기;이상범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77-81
    • /
    • 1993
  • 1984년 12월부터 1992년 1월까지 망막분지정맥폐쇄환자 4명 8안을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하였다. 발병연령은 36세에서 65세까지였고, 반대쪽 눈에 발병하기까지는 3년 이하가 3명이였으며 여자가 3명이였다. 동반질환은 고혈압이 3명으로 가장 많았다. 합병증으로 망막신생혈관이 6안(75%)에서 발생하였으며 초자체 출혈을 갖는 5안중 3안에서 초자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고혈압이 있는 60대 까지의 여성에서 발생한 망막분지정맥폐쇄는 반대쪽 눈에 대한 주의 깊은 추적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