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정성 변수

검색결과 1,341건 처리시간 0.126초

음향 및 기화반응 모델을 이용한 고주파 연소불안정 예측 (Acoustic and Vaporization Responses due to High-Frequency Combustion Instabilities)

  • 이길용;황용석;윤웅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1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1-1
    • /
    • 1998
  • 로켓엔진 추력발생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액체추진제는 고성능, 대용량의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에서는 필연적으로 고주파 연소불안정의 문제를 수반하며, 이 연소불안정의 정도는 연소성능과 더불어 엔진개발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여건이 된다. 따라서 안정한 로켓의 비행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연소불안정의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연소불안정의 기본 메커니즘은 연소기에서 발생하는 압력섭동에 반응하여 불안정한 음향에너지를 되먹임하는 연소과정으로 설명된다. 연소불안정 현상이 발견된 이후 실험 및 이론적 접근에 의해 이와 같은 연소불안정 메커니즘 및 예측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현재까지의 다양한 고주파 연소불안정 예측방법 중에서 음향 및 기화 응답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은 직관적 고찰에 의존하는 단순한 연소모델을 적용하며 주로 음향적 섭동에 의한 연소의 반응을 연소안정성 평가의 파라메터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음향적인 예측방법은 연소불안정 현상을 이론적으로 전개하므로 경제적으로 각종 설계변수에 대한 연소불안정의 변화를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성능 및 호환설계와 병행하여 로켓엔진 연소실의 초기 안정성 설계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 PDF

축 방향 왕복운동을 하는 외팔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모델링 및 검증 (Modeling and Verification for Stability Analysis of Axially Oscillating Cantilever Beams)

  • 김성도;유홍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76-182
    • /
    • 2006
  • Modeling and verification for stability analysis of axially oscillating cantilever beams a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Equations of motion for the axially oscillating beams are derived and transformed into dimensionless forms. The equations include harmonically oscillating parameters which are related to the motion-induced stiffness variation. stability diagram is obtained by using the multiple scale perturbation metho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modeling method, several points in the plane of the stability diagram are presented and solved. The present modeling method proves to be as accurate as a nonlinear finite element modeling method.

매개변수 가진력을 받아 비행하는 구조물의 동적 모델링 및 안정성 해석 (Dynamic Modeling and Stability Analysis of a Flying Structure undertaking Parametric Excitation Forces)

  • 현상학;유홍희
    • 소음진동
    • /
    • 제9권6호
    • /
    • pp.1157-1165
    • /
    • 1999
  • Dynamic stability of a flying structure undertaking constnat and pulsating thrust force is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structure, which is idealized as a free-free beam, are derived by using the hybrid variable method and the assumed mode method. The structural system includes a directional control unit to obtain the directional stability. Unstable regions due to periodically pulsating thrust forces are obtained by using the Floquet's theory. Stability diagram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influence of the constant force, the location of gimbal, and the frequency of pulsating force. The validity of the diagrams are confirmed by direct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dynamic system.

  • PDF

축 방향 가속을 받는 보 구조물의 동적 안정성 해석 (Dynamic Stability Analysis of an Axially Accelerating Beam Structure)

  • 은성진;유홍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9호
    • /
    • pp.1053-1059
    • /
    • 2005
  • Dynamic stability of an axially accelerating beam structure is investigated in this paper. The equations of motion of a fixed-free beam are derived using the hybrid deformation variable method and the assumed mode method. Unstable regions due to periodical acceleration are obtained by using the Floquet's theory. Stability diagrams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influence of the dimensionless acceleration, amplitude, and frequency. Also, buckling occurs when the acceleration exceeds a certain value. It is found that relatively large unstable regions exist around the first bending natural frequency, twice the first bending natural frequency, and twice the second bending natural frequency. The validity of the stability diagram is confirmed by direct numerical integration of the equations of motion.

비선형 시스템의 안정한 직접 적응 제어를 위한 웨이브렛 신경회로망 (Wavelet Network for Stable Direct Adaptive Control of Nonlinear Systems)

  • 서승진;연정흠;전홍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317-323
    • /
    • 1998
  • 이 논문에서는 웨이브렛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알려지지 않은 비선형 시스템을 안정하게 적응제어하는 문제를 다룬다. 비선형 시스템의 정확한 제어는 함수를 근사화하는 데 사용된 함수 근사화기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의존한다. 이에 비선형 시스템 제어에 기준 함수의 선택이 자유롭고 함수 근사화 능력이 뛰어난 웨브렛 신경회로망을 사용한다. 초기 웨이브렛 신경회로망 제어기 설정은 웨이브렛 신경회로망 변수인 신축과 이동 값을 제어기 입력의 시-주파수 특성을 분석해서 구하고, 연결강도는 Lyapunov 안정성 이론에 기초한 적응 법칙을 사용하여 조절한다. 이를 비선형 시스템인 역 진자 시스템에 적용한다.

  • PDF

증기발생기 수위제어의 확률론적 안정성 (Nonlinear Stochastic Stability for Steam Generator Water Level Control System)

  • Park, You-Cho;Chung, Chang-Hyun;Oh, Je-K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7권2호
    • /
    • pp.155-164
    • /
    • 1995
  • 증기발생기 수위조절계통의 무작위추출 비선형 제어계통의 경우로 연구되었다. 무작위 변수로는 시간불연속 계통의 추출시간간격 이 고려되었다. Lyapunov 함수를 구하지 않는 확률론적 Lyapunov 방법이 용되었다. 유도된 안정성 요건은 CANDU 형 원자로인 월성 1호기의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 존속 모사로 검증하였다.

  • PDF

축 방향 왕복운동을 하는 외팔보의 안정성 해석을 위한 모델링 및 검증 (Modeling and Verification for Stability Analysis of Axially Oscillating Cantilever Beams)

  • 김성도;유홍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08-713
    • /
    • 2005
  • Modeling and verification for stability analysis of axially oscillating cantilever beams are investigated in this paper. Equations of motion for the axially oscillating beams are derived and transformed into dimensionless forms. The equations include harmonically oscillating parameters which are related to the motion-induced stiffness variation. Stability diagram is obtained by using the multiple scale perturbation method.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modeling method, several points in the plane of the stability diagram are presented and solved. The present modeling method proves to be as accurate as a nonlinear finite element modeling method.

  • PDF

지하공동의 형상과 규모가 공동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Shape and Size Effects on the Stability of Underground Openings)

  • 박상찬;문현구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1호
    • /
    • pp.93-108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동의 형상과 규모가 공동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적 해석법과 수치 해석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지하 공동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소들 중에서 암질, 초기응력의 크기 및 방향 그리고 측압계수가 공동주위에 발생하는 변위, 응력집중 그리고 소성영역의 크기와 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론적 해석법을 이용하여 공동 벽면의 형상변화에 따른 응력집중계수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공동 벽면에서의 응력집중계수는 벽면의 곡률반경에 반비례하여 나타났다. 수치 해석법을 이용한 매개변수연구를 통하여 공동의 형상과 크기 변화에 따라서 제반요소들이 나타내는 특징들을 비교 평가하였다. 위 제반요소들이 나타내는 특징들을 지하비축공동 형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제형 공동에 적용하여 측압계수와 공동단면의 비가 공동주위에 발생하는 최대변위의 변화 및 소성영역의 발달 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 건설되고 있는 국내 지하저장공동의 공동단면의 비는 공동이 위치할 현장의 측압계수조건에 따라서 안정성의 커다란 문제 없이도 공동의 높이 증가에 의한 공동의 단면적 증가가 경제적으로 가능함을 알수 있었다.

  • PDF

방사성 폐기물 유리화를 위한 이송식 아크 플라즈마 전산해석

  • 고주영;최수석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4.1-194.1
    • /
    • 2016
  • 방사성 폐기물의 운반이나 장기 보관 시 방사성 물질의 침출을 차단하기 위한 유리화 기술을 실현하기 위해 이송식 아크 플라즈마에 대해 전산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전류나 아크길이와 같은 운전조건 변화에 따른 열플라즈마의 특성 변화 뿐만 아니라 150 kW급 고출력 이송식 아크 플라즈마의 최적 설계를 위하여 핵심 부품인 파일럿 노즐의 길이와 직경 변화에 따른 예상 용융영역을 전산해석 하여 방사성 폐기물의 유리화 기술을 상업적으로 이끌어내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노즐직경은 4, 5, 6 mm로 변화시켰으며, 길이는 2, 4, 6mm로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설계조건에 대하여 운전변수로는 전류 200 A, 방전 기체인 알곤의 유량 15 L/min, 아크 길이 2 cm로 고정하였다. 전산해석 결과 노즐직경이 작을수록 아크압축 효과에 의해 중심부에서 최고 온도가 높은 열플라즈마 제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나, 반경방향으로 온도구배가 커서 고온 구간이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 예상되었다. 반면 노즐직경이 증가할수록 아크 압축효과는 줄어들지만 반경방향으로 온도가 완만히 감소하여 콘크리트가 대부분인 유리화 대상물질을 충분히 용융시킬 수 있는 $2,600^{\circ}C$ 이상의 고온 면적이 넓어지게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노즐길이가 줄어들 경우 아크방전의 안정성은 다소 떨어 질 수 있으나 수 있으나 고온의 열플라즈마 제트가 반경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넓어 질 수 있음이 예측되었다. 따라서 고온 영역의 확장 관점에서 이송식 아크 플라즈마 토치를 제작할 경우 아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파일럿 노즐의 직경을 크게 하고 길이는 짧게 하는 것이 효과적인 유리화를 위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노동시장의 유연성과 결과변수와의 관계 및 노조 힘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Outcome Variables and Its Moderating Effect on Union Power)

  • 배성현;박세열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475-50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195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노동시장의 유연성 전략 즉 수량적 유연성과 기능적 유연성이 조직의 결과변수인 생산성, 노사협력성, 고용안정 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기업 단위로 분석하였다. 또한 노동시장 유연성(수량적 유연성 및 기능적 유연성)과 노사협력성 및 고용안정간의 관계에서 노조 힘의 조절역할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결과는 수량적 유연성은 생산성, 노사협력성, 고용안정 등과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았으나 기능적 유연성은 생산성, 노사협력성, 고용안정 등에 상당한 정의관계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의 노동시장 전략에서 기능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서구에서는 기능적 유연성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고 수량적 유연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유연성의 긍정적 측면은 확인이 되었으나 수량적 유연성의 부정적 관계가 확인될 수 없었다는 점에서 이들 관계는 앞으로 좀 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는 과제도 남겼다. 노동시장 유연성과 노사협력 및 고용안정과의 관계에서 노조 힘의 조절역할에 대한 분석결과는 수량적 유연성과 노사협력성 관계에서만 노조 힘의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조의 기회주의적 행동에 대한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