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인증제

Search Result 2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through the Typology of the Actual Condition Survey Results (실태조사 결과의 유형화를 통한 안전인증제도 개선방안 연구)

  • Byeon, Junghwan;Kim, Jung-G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2
    • /
    • pp.391-402
    • /
    • 2021
  • Purpose: By categorizing opinions by subject in the safety certification ecosystem, we want to identify weaknesses in system operation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so that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can have quick resilience against future variability. Metho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data analysis, similar domestic and foreign safety certifications and related cas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national standards, etc. were confirmed, and a fact-finding survey was conducted for each stakeholder in the safety certification ecosystem, and problem type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established. Result: We conduct a fact-finding survey of the overall system, such as quality satisfaction with safety certification target products, obstacles in the development, manufacturing and use process, and safety certification-related improvements, targeting workplaces that manufacture, import or use safety certification target machines By discovering and categorizing problems and weaknesses in system operation, detailed implementation tasks were derived to establish improvement directions and improve operability. Conclusion: For the advancement and internationalization of the safety certifi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carry out the detailed promotion tasks derived from this study.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to the variability of the safety certification ecosystem, the operating system of a virtuous cycle structure by improving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each subject construction is considered important.

Authentication and Payment Scheme for 3G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인증 및 지불 기법)

  • Kim, Sun-Hyoung;Kim, Tai-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1027-103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제 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안전한 전자상거래의 구현을 위한 인증 및 지불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제 3세대 이동 통신 환경에서는 GSM이나 DECT와 같은 제 2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지 못했던 공개키 기반 구조를 도입하여 각 이동 단말기 사이에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동 사용자는 TTP(Trusted Third Party)로부터 획득한 공개키 인증서를 사용하여 외부 도메인에서도 종단간의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안전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동 통신 환경에 적합한 소액지불 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이동 사용자와 VASP간의 상호 인증 및 지불에 관한 기법을 제안한다.

  • PDF

기고문 - 시장에서 제품안전시스템이 자발적으로 작동하려면?

  • 한국제품안전협회
    • Product Safety
    • /
    • s.245
    • /
    • pp.18-21
    • /
    • 2014
  • 소비자안전을 위협하는 품목에 대한 시장감시가 강화된다. 사전인증 규제수준도 단계적으로 완화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이러한 정책 방향을 담은 "제2차 제품안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기업의 자율적 책임과 시장의 감시기능을 강화하여 사회 전반에 자발적인 제품안전문화를 정착시킬 방침이다.

  • PDF

Trend of Convergence New Products in Social Disaster Field and Industrial Convergence New Product Suitability Certification (사회재난 분야 융합신제품 동향 및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제도)

  • Kim, Hy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5-12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융합 신제품의 인증기준을 마련하여 시장출시를 지원하는 "산업융합 신제품 적합성 인증제도"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사회재난 분야 융합 신제품들의 시장출시 지원 시 고려해야 하는 두 가지 상반된 측면(혁신성, 안전성)을 기업의 입장과 제도 운영기관 입장에서 고찰하고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Introduction of Levee Accreditation Program (제방 인증제 도입에 관한 연구)

  • Lee, Sang-Ho;Kang, Tae-Uk;Yu, Kwon-Kyu;Lee, Nam-Joo;Lee, Jae-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739-1743
    • /
    • 2009
  • 현재 국내에는 하천시설물의 인증과 관련한 제도와 법령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하천시설물과 관련된 인증 제도는 효율적인 하천시설물의 유지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치수 안전성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국의 제방 인증(levee accreditation) 제도를 분석하여 국내에 적용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미국의 연방 재난 관리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은 국가 홍수 보험 프로그램(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NFIP)을 관리하고 있는데, 그의 일환으로 제방 인증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제방의 인증은 제내지를 보호하는 제방 시스템이 100년 빈도의 홍수에 대한 방어 능력이 있는지를 기술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방 시스템이란, 제방, 홍수벽, 수문 장치, 펌프시설, 암거, 내수 배제 시설 등 홍수로부터 제내지를 보호하기 위한 모든 시설을 포함한다. 미국은 제방 인증을 위한 제도로서 연방 규정 조례(code of federal regulation; CFR)를 두어 제방 시스템의 설계, 운영, 유지관리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제방 인증을 신청하는 기관은 연방 규정 조례에서 정의된 제방 시스템의 운영 및 유지관리에 관한 문서를 갖추어야하고, 공학적인 설계 기준에 대하여 면밀히 검토되어야 한다. 운영 및 유지관리에 관한 사항은 수문과 내수배제 시스템을 포함한 제방 시스템의 홍수 시 운영 지침과 운영실적, 유지보수 지침과 점검 보고서 등이다. 공학적인 설계 기준에 대한 검토사항은 제방의 여유고, 수문, 호안, 제방과 기초의 안정성, 침하, 내수배제에 관한 분석 결과이다. 이러한 제방의 인증에 필요한 기술적인 검토 자료와 관련 문서는 등록된 전문 기술자나 제방의 설계와 시공능력을 갖춘 연방 기관을 통해 보증(certification) 되어야 한다. 현재, 미국에서 제방의 보증을 결정하는 대표적인 기관은 미 공병단(U.S. Army Corps of Engineers; USACE)이다. 제방 보증의 유효기간은 최대 10년이지만 검사와 평가가 지속되고, 유효 기간 만료 전이라도 언제든지 재검토될 수도 있다. 또한, 제방 시스템 전체에 대하여 보증 여부를 결정하고, 개별 시설에 대한 보증이나 조건부 보증은 수행하지 않는다. 국내에 제방 인증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제방 인증에 관한 절차, 수행 기관, 수행 방법 등에 대한 규정과 제도가 마련되어야 하고, 현재 국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하천시설물의 안전도 검사 방법을 포함한 평가 지표와 평가 기술에 대한 인증 표준화가 요구된다.

  • PDF

회원사 탐방 -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458
    • /
    • pp.50-52
    • /
    • 2015
  • '인증'은 '약속'이다. 인증된 제품을 구매할 때 소비자들은 그 제품이 그만큼 안전하고, 신뢰성이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소비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는 그 제품이 제대로 기준에 맞게 만들어졌는지 확인하고 인증해주는 사람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이번에 소개하는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orea Testing Certification)은 국내를 대표하는 선도적인 시험 인증기관이라 할 것이다. 국내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화수분이 되겠다는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을 자세히 들여다 본다.

  • PDF

Improvement for BF (Barrier Free) Certification to Ensure Disaster Safe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 재난 안전확보를 위한 BF(Barrier Free) 인증제도의 개선 방향)

  • 박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30-233
    • /
    • 2023
  • 우리 헌법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편의증진법과 교통약자법을 통해 장애인등이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 등을 비장애인들과 차별 없이 이용하여 이동하고, 도로와 대중교통수단, 공공 건축물과 주거 등 생활 필수시설에 자유롭게 접근하기 위한 접근권을 보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동권의 보장을 편의시설 제도라는 독자적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장애물 없는 환경 인증 제도(BF 인증제도)를 도입하였다. 시행 15년을 맞은 BF 인증제도는 양적으로는 많은 발전을 가져왔지만, 질적으로 특정 건축물 등 일부에 대한 인증 편중 현상이 있으며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재해 안전확보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지 않아 부진정한 이동성과 접근성의 보장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동권 보장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는 그 나라의 사회 안전망이 얼마나 잘 갖추어져 있는지 판단하는 척도라 할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이동권 보장은 위험상태에서의 안전한 피난을 함축하고 있으며 중첩적으로 국가의 기본권 보호 의무의 이행과 관련된다. 이에 따라 이동권과 접근권의 증진을 위한 BF 인증 규정을 안전 규범으로 보완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평등한 인격적 주체로 공동체에 기여하는 안전한 사회적 환경의 조성이 긴절히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Based on Accreditation Experience -Focused on the Second Accreditation Index of Childcare Centers- (보육교사의 평가인증 경험에 따른 평가인증제에 대한 인식비교 -2차 평가인증지표를 중심으로-)

  • Cho, Hyun-Ok;Choi, Inhwa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7 no.4
    • /
    • pp.301-32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accreditation procedures and feasibility of the second accreditation index according their past participation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The objects were 193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that were accredited using the initial accreditation index.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ile, $X^2$, and t-test.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without accreditation experience perceived 'continuing education of child care center directors and teachers' to be the most important for quality maintenance after successful accreditation. In contrast, childcare teachers with accreditation experience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childcare teachers' motivation and continuing enrollment'. Second, childcare teachers with accreditation experience perceived higher feasibility in the subcategories of 'art activity materials' in the category of child care environment, 'providing operation policies and information of child care teachers', 'care for children', and 'employment contract' in the operation & management category, 'sanitary management of food, cooking and feeding', 'care of sick or injured child', 'health management of children and childcare teachers', 'snacks for children' in the category of health and nutrition and 'safe procedures for handing over children' in the category of safety. In general, childcare teachers with accreditation experience perceived higher feasibility of the second accreditation index in all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