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전수준

Search Result 3,38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Safety And Health Level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Selection System of Subcontracto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건설업 적격수급업체 선정을 위한 안전보건평가 인증제도 도입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

  • Jo, Jeong-wo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0-181
    • /
    • 2023
  • 2022년 1월 「중대재해처벌법」시행 후 기업에서 경영책임자로써의 안전보건확보 의무에 대한 책임이 강화되어 건설산업에서는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이행 확인 활동을 통하여 중대산업재해예방에 노력하고 있다. 동법 시행령 제4조 제9호에서 요구하는 안전보건 역량을 평가하여 업체를 선정할 수 있는 기준과 절차 즉'적격수급업체 선정체계'가 중대산업재해 예방에 핵심과제라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안전보건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에 건설업에서 민간기업 스스로 적격수급업체 선정을 위한 안전보건수준평가를 운영하고 있으나 전문성과 신뢰성이 부족하다. 또한 민간 건설업체마다 안전보건수준 평가방법이 명확하지 않고 표준화 되어 있지 않아 하수급업체에서는 입찰마다 평가 수검을 받고 있어 효율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과 공공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건설업 원도급사에 관한 안전 평가제도 실태조사를 통하여 하수급업체 안전보건수준평가 인증제도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건설업의 적격수급업체 선정체계 운영이 필요한 표준화된 안전보건수준 인증제도 도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s for Improving Safety Level in the Laboratory (연구실 안전수준 향상을 위한 평가기준 및 방법 개선 연구)

  • Yang, Yun-Young;Shin,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79-280
    • /
    • 2022
  • 연구실안전법에 따라 모든 연구실은 주기적으로 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고 안전환경 상태에 따라 미흡한 평가등급을 받으면 연구 활동에 제약을 받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점검 및 진단제도는 안전분야별 각 점검항목에 대해 양호, 주의 및 불량 등 이상 3가지로만 평가하고 있으며 각 점검항목에 대해서도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가중치가 고려되지 않아 평가 대상 연구실에 대한 종합적인 안전수준을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실 안전전반에 관한 점검항목을 추가하고 평가기준도 가중치를 고려하여 평가결과가 정량적인 점수로 도출될 수 있도록 개선하여 연구주체자가 평가점수를 향상해감으로써 연구실 안전수준을 향상해 갈 수 있도록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Social Safety Percep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for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중고령 장애인의 사회안전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Si-Eun;Jeon, Ji-Hye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11
    • /
    • pp.218-22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and influence factors of social safety perception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older than 50 with disabilities who responded to the 2018 Social Survey. The results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zes showed that factors such as gender, age, place of residence,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risk response level, compliance level of others, and compliance with public ord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safety perception level. Through this study, we could know the importance of personal requirements and social capital for social safety perception of middle-aged and olde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future, th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by type of disability should be studied too.

An Analysis on the Safety Management Level of Domestic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국내 중견 건설회사의 안전관리수준 분석 및 향상방안)

  • Jeong, Hyunyong;Shin, Wonsang;Son, Changbae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4 no.3
    • /
    • pp.20-30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improve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level of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by identifying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level for domestic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and comparing it with the past safety management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safety management level of domestic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by group has improved more than in the past, compared to group 2 and group 1. The current level of safety management is relatively good, with the first and second groups almost similar, and the level of safety management at the headquarters and the site is also similar. Each group of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analyzed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and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of mid-sized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Connection pla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and KOSHA-MS (공공기관의 중대재해처벌법과 KOSHA-MS 연계 방안)

  • Woo, Sa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03-20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공공기관에서 안전보건경영시스템으로 KOSHA-MS를 구축하여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2년 1월 27일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준비와 대책을 수립하고 있으며,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 등 여러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에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MS) 규정에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법규의 연계와 공공기관 안전활동 수준평가, 공공기관 안전관리등급제까지 연계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of Safety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Construction Site (소규모 건설현장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관리의 문제점에 관한 연구)

  • Lee, Sang-D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41-142
    • /
    • 2023
  •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는 한 사람이 과도하게 많은 관리영역에 대해서 책임을 져야하므로 특정 영역에 대해 집중적인 관리가 불가능하다. 실제로 이와 같은 소규모 프로젝트는 작은 규모로 인해서 정부의 관리 통제에서 면제되고 있는 바, 이는 소규모 건설 사업장에서의 안전관리와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 수준이 낮은 주된 이유 중 하나이다. 정부는 그간 전국적 사고 발생 건수를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매년 백여 명이 넘는 근로자가 건설현장에서 사망하고 있다. 이는 그간의 관리 방법으로는 일정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상당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건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는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며 그 중 대형건설사는 지속적인 안전관리를 통해 안전관리 수준이 향상되었고 상대적으로 소규모 건설 사업장과는 안전수준의 격차는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안전 관리가 미흡하고 전체사고의 반 이상을 차자하는 소규모 건설현장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afety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fety Culture of National Critical Infrastructure Expressway Operating Organizations (국가핵심기반 고속도로 운영기관의 안전문화 수준진단에 관한 소고)

  • Seo, Jeong-soo;Cheung, Chong-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3
    • /
    • pp.636-645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afety culture by measuring/analyzing safety culture targeting employees of national core-based highway operating organizations. Method: Using the 'Safety Awareness Level Diagnosis Tool'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16 sub-factor measurement tools reflecting 4 safety culture areas and 4 safety culture activities were evaluated for a total of 144 items. were surveyed/analyzed by online questionnaire. Result: As for the results by safety culture area, "safe operation" was the highest, and "safe communication" was the lowest. As for the results of each safety culture activity, "safe execution (D)", which evaluates whether the plan was implemented, was high. The lowest level of safety culture is "Safety Improvement (A)" Conclusion: When establishing a company's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measure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management is the level of safety culture. The ultimate goal is to improve the level of safety culture.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afety culture level of the national core-based expressway operating institution. In the future, we intend to conduct a study on how safety culture affects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BCMS).

Development of Safety-Based Evaluation Model for Two-Way Stop Controlled Intersection (무신호 교차로의 안전수준 진단 모델)

  • 이수범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4 no.2
    • /
    • pp.191-222
    • /
    • 1996
  • 현재 쓰이고 있는 무신호 교차로의 서비스수준 측정방법은 지체도에 의해서 판정 되어지고 있으며, 안전도를 기준으로 서비스수준을 측정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교차 로의 안전은 사고의 횟수를 기준으로 하거나, TCT(Traffic Conflict Technique)를 이용하여 측정되어지고 있다. 두 방법 모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요구되는 방법이다. 이에 많은 시간 과 인력투자 없이 교차로의 안전을 진단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무 신호 교차로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교차로의 시거, 운전자의 인지반응시간, 차 두간격, 차량속도, 차중, 노면상태, 날씨 등이 있다. 이 모든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고를 유발한다. 이 연구에서는 위의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무신호 교차로의 안전을 분 석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저 한다. 위의 요소들 중에서 교차로의 시거를 제일 주요한 요소로 보고 나머지 요소들을 첨가시켜서 분석하는 방법을 썼다. 위에 열거한 많은 요소들을 고려 하기 위해서는 Simulation 방법이 채택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Monte carlo Simulationah형 을 썼다. 이 연구에서는 무신호 4지교차로의 횡단차량에 대해서만 고려하였으며 이 연구에 서 개발된 Simulation 모델을 Conflict의 개수와 그때의 소모된 평균 운동에너지를 산출하여 위험도를 측정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모델의 결과에 의하면 교차로 시거가 길수록 안전하 고, 상대적으로 시거가 짧을수록 위험하다고 나왔다. 또한 AASHTO의 교차로 시거 값은 약 간 하향 조정하여도 안전도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아울러 안전 에 의한 서비스수준(LOS. A~F)의 기준이 설정되었다. 모델의 결과에 의하여 교통 공학자들 은 어떤 무신호 교차로의 안전수준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교차로 시거의 개선 후 얻어질 편익을 미리 예상할 수 있다.

  • PDF

Improvement direction of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on construction technology service providers by FGI (FGI에 근거한 건설기술용역사업자 안전관리 수준평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 Seo, Jae Shin;Yoon, Younggeun;Lee, Jaeyun;Oh, Taekeun;Won, Jeongh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3
    • /
    • pp.351-358
    • /
    • 2022
  • Recently, the fatality rat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not decreased any more and is in a stagnant state, and there are efforts by various construction participants such as ordering,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to improve it. In order to reduce serious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higher than in other industries, the government evaluates the safety level of construction participants and announces it to raise awareness. However, in the items, standards, and procedures of the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there are points that do not match the site situa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In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for construction technology service providers who are in the worst situation for safety management, the safety management level evaluation result analysis and Focus-Group-Interview(FGI) were conducted. improvement direction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