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전간호관리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1초

치료적 환경에 대한 문헌적 고찰 및 정신과병동 환경변화에 대한 몇가지 제언 (Literature Review of Therapeutic Milieu of Psychiatric Patient and Suggestion for Changing Environment of Psychiatric Wards in Korea)

  • Lee, So-Woo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0-90
    • /
    • 1976
  • 정신과 영역의 환자를 위해 간호원의 역활을 필요로 한 이래 여러 가지 간호의 개념으로 간호원의 역할이 변화되어오고 있다. 정신과 환자의 안전만이 가장 큰 치료의 중심일 때는 병동열쇠의 위엄에 곁따라 보호관리에만 치중해 왔으며 정신의학에서 약물요법, 전기요법의 치료과정이 생기면서 간호원의 역할 변화 및 지식의 요구를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환경과 개인의 밀접한 관계를 중시해오면서 치료적 환경속으로 환자의 인간적 치료가 강조되었을 때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의 인적 환경으로써 또한 간호원의 역활이 중요시 되어왔다. 이런 관점에서 치료적 환경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간호행위과정의 불완전을 제거하며 보다 활발한 정신과 환자간호에 기여하는 일 일 것이다. DR. Bartom은 병실 환경이 비생산적이고 비 치료적일때 성격의 변화는 물론 행동적 특성의 변화까지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즉 무감동적이고, 무조건적 순종이 있으며 솔선하여 행하는 행위가 줄고 장래 계획에 대한 자극이 줄어들고 될대로 되어 가는 상태 그 자체에 머물러 있어 인간의 특징적 의미와 가치를 상실하게 된다는 것이다. 정신과 병실은 잠정적 체류지로 보아야 하겠고 이 체류지에서의 영향이 환자에게 보다 유익하게 끼칠려면 간호원이 지속적으로 치료적 분위기를 유지해야 할 것이다. 치료적 입장으로서의 간호의 활동 초점은 대인관계에서 환자의 의식수준과 자아관련 수준에서의 취급이 무의식 수준에서의 탐구조사보다 바람직하다. 치료적 가치로써 치료적 환경의 이론적 근거를 DR. Sullivan 은 인간의 상호관련 문제에 두고 있다. 즉 상호작용이 존재하는 환경은 어떠한 곳이든 성격에 영향이 있고 이 성격은 대인관계의 복잡성으로부터 결코 떨어질 수 없다는 얘기다. 자아구성 또한 환경의 영향을 받는데 Cumming은 병동환경과 자아구성 재동기간에 밀접성을 시사한바 있다. Visher와 O'sullivan은 정신과적 치료중에서 일상생활에서 경험되어지는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속에서 학습되어지는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매일의 활동획이 치료적 방향으로 계획되어 져야 한다고 말했다. Maxwell Jones 또한 치료적 환경의 유용한 가동은 전 직원의 기여에 있으며 이는 정신건강을 최적으로 올려 줄 것이다. 라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간호원은 의미 없이 환자의 감정 욕구를 깨닫지 못하고 감정지지를 주지 못하며 정서적 긴장을 예방하지 못한 체 환자와의 관계를 유지한다면 현대간호의 개념에서 이탈되어지고 발달되어지지 못한 미숙아 현상이 유지 될 것이다. 보다 바람직한 치료적 환경 유지는 간호로써 환자에게 기여해 주는 일이다. 간호의 역활과 더불어 전문적 태도는 따뜻하고 포용성 있게 그리고 융통성 있게 대함은 물론 간호인 자신의 "자기이용"을 깊이 그리고 치료적으로 이용할 것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즉 정신과 병실에서의 간호원 존재 자제가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덧붙여 환자를 위한 일주일 병동 행사표를 Model로 제시하였고 그 안에서의 간호원의 역활을 약술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에 관한 연구 (Experience of Aging Simulation Cloth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정혜선;김응종;김정희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41-157
    • /
    • 201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을 파악하고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부양의식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는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노인간호 강의 및 노인체험복 경험이 없는 간호과 학생으로서 실험집단 44명, 비교집단 41명이었다. 실헙집단 학생들은 노인체험복을 착용한 후 시력과 청력기능, 척추 및 관절기능, 손가락기능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체험하는 활동을 하였다. 집단 간의 동질성 검정은 t-test, $X^2$ test,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으며, 태도와 부양의식의 집단간 비교에는 t-test와 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체험소감문은 내용분석을 하였다. 노인체험복 착용경험 후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부양의식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체험소감문의 내용분석에서는 노인의 모습과 행동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노인을 공경하고 배려하겠다는 다짐 등을 보였다. 또한 자신의 노후생활에 대해 슬프고 두려운 느낌을 표현하면서 노후를 위한 자가관리를 생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체험복 착용경험이 실험집단의 노인에 대한 이해, 노인을 대하는 행동, 노인에 대한 간호방법 및 자신의 노후에 대한 준비 등에 대하여 긍정적 사고와 의지를 고취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노인간호학 교과목에 필요한 의미 있는 학습경험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효과의 양적 검정을 위해서는 첫째, 학습경험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고 공유하는 방안, 둘째, 체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의 도입, 셋째, 작은 효과에 민감한 도구를 활용한 반복 연구 등이 필요하며 아울러 체험과정에서의 안전을 위한 철저한 사전교육과 감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성근로자의 작업장 건강안전위험요인 및 관리방안 (Workplace Health and Safety Risk Factors and Management Plan for Female Workers)

  • 김숙영;김영택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35-246
    • /
    • 2020
  • Purpose: In Korea, the proportion of female workers among occupational injury is steadily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workplace risk factors that threaten the safety and health of the female workers. Method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five focus groups of eighteen female workers who were working in the manufacturing, health service, and educational service industries. Results: The seven theme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isks of women workers are as follows: 1) Workplace with various risks; 2) Sliding, falling, burning, and cutting accidents; 3) Chronically las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4) Chemicals that may be harmful to workers; 5) Unprotected infectious disease; 6) Psychological safety accidents(Relationship conflict and emotional labor); 7) Loud, hot, stuffy, scary, and tired. Conclusion: The Occupational Safety & Health (OSH) Act should be rearranged gender sensitively and women's participation in the OSH decision-making process should be guaranteed. OSH education should be properly implemented in the field, a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women workers in small businesses. A 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for marriage, pregnancy and childbirth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working environment should be provided safely,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fferences.

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 (Analysis of Medication Errors of Nurses by Patient Safety Accident Reports)

  • 구미지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109-119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urses' medication errors during three years. Methods: Retrospective survey study design was used to analyze medication errors by nurses among patient safety accidents. Data were collected for three years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𝑥2-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26.0 program. Results: Of a total 677 medication errors, 40.6% were caused by nurses. Among the medication errors, near miss (n=154, 56.0%), intravenous bolus injection (n=170, 61.8%), wrong dose (n=102, 37.1%) and carelessness for repetitive work (n=98, 35.6%) were the most common. Medication errors differed by department, and nurses' career, and patient safety accident type.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actors of adverse events were medication of fluids (OR=3.93, 95% CI: 1.26~12.27), insulin subcutaneous injection (OR=39.06, 95% CI: 4.58~333.18), and occurrence of extravasation/infiltration (OR=7.26, 95% CI: 1.85~28.53). Conclusion: The simplest and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medication errors is to keep 5 right, and a differentiated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department and nurse career is needed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programs. Hospital-level integrated interventions such as a medication barcode system or a team nursing method are also necessary.

요양시설과 재가방문 요양보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관리의식과 응급상황대처능력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Perceived by Nursing Homes and Home Visiting Caregivers)

  • 김수연;김순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7-357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and affecting factors perceived by nursing homes and home visiting caregiver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that conveniently extracts nursing caregivers who care for elderly patients in S and G provinces, Korea. Data collection was done by structural questionnaires from April to May 2018. A total of 204 responses consisting of 103 nursing homes and 101 home visiting caregiver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in SPSS Win 22.0. Results: Patient safety awareness and emergency response ability of nursing homes caregivers with each $4.24{\pm}0.50$, $74.26{\pm}09.57$ was each higher than that of the home visiting caregivers with $3.68{\pm}0.49$, $68.02{\pm}12.12$ (p<.001).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patient safety awareness were working place, safety education, and daily average working hours with 12 or more (F = 27.30, p<.001) and that of emergency response ability were number of patients per personnel with 9 or more and emergency situation experience (F=14.00,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afety education program that can share indirectly experience emergency situations that occur on the job site.

일부 산업장에서의 건강증진 활동 실태 (Frequency of Workplace Health Promotion Activites)

  • 조동란;전경자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권호
    • /
    • pp.71-85
    • /
    • 1993
  • 본 연구는 일부 산업장을 대상으로 근로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제반 활동의 내용과 수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산업안전교육원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등을 임의로 선정하여 648개 산업장에 관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산업장 특성별 빈도와 백분율, 각 활동의 업종 및 규모별 실시율, 평균활동수 등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관련된 써클활동이나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산업장은 전체의 66.2%를 차지하였고,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운수창고업이 높았으며 규모가 클수록 지원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금연, 스트레스관리, 영양지도, 여성건강관리를 위한 각종 활동에 대한 지원은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내용에 있어서는 주로 운영비를 지원하고, 장소 및 시설을 마련해주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작업장내에서는 금연을 하도록 하는 정책을 갖고 있는 산업장이 전체의 24.9%였고, 회사 전체에서 금연한도록 하는 경우는 48.3%를 차지하였다. 업종별로는 작업 장내 금연의 경우 제조업, 광업/건설업, 금융보험/서어비스업에서 비교적 높았고, 회사 전체 금연의 경우는 제조업과 운수창고업에서 높았다. 세째, 산업장 내에 근로자를 위하여 운동시설 및 기구를 마련해 두고 있는 산업장은 전체의 98.6%였고, 운동 시설의 평균 수는 $2.96({\pm}1.85)$개였다. 규모에 따라, 업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p=.0000). 회사가 지원하는 운동모임의 수는 전체 평균 $3.60({\pm}2.09)$개였으며, 규모와 업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p=.0000) 네째, 근로자를 위하여 식사를 제공하는 산업장은 점심식사의 경우 85.8%였고, 저녁식사 37.1%였으며 아침식사, 간식, 야식을 제공하는 산업장의 비율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산업장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정책과 관련된 제언을 할 수 있었다.

  • PDF

노인요양시설에서의 구강위생관리 (Oral Hygiene Care for Elderly in Care Facility)

  • 고석민;임순연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10호
    • /
    • pp.678-687
    • /
    • 2015
  • 흡인성 폐렴의 예방을 위해서는 구강위생관리를 철저하게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적절한 관리요령이 병원과 요양시설에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잘못된 구강위생관리 방법이 행해진다면 그 자체가 흡인성 폐렴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의료 간호의 현장에서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구강위생관리를 위해서는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의 개입이 필수적이다. 노인요양시설의 치과촉탁의 제도의 시행이 가시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 치과계에서는 위험성이 적으면서 구강위생과 구강기능을 지킬 수 있는 올바른 방법을 제안해야 하고, 물을 사용하지 않는 전문적 구강위생관리방법이야말로 오연의 위험을 감소시키면서 보다 안전하고 환자에 부담이 적은 전문적 구강위생관리 방법이라 사료된다.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앞으로 노인요양시설의 치과촉탁의 제도 시행 시 치과위생사, 치과의사에게 진정으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119구급대원의 COVID-19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 (Knowledge and Educational Needs Related to COVID-19 Infection Control among 119 Paramedics)

  • 박정희;이미향;윤병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65-7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COVID-19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요구도를 확인하여 신종감염병 대비 시뮬레이션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186명의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15일~11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COVID-19 감염관리 교육을 받지 않은 경우가 98명(52.7%)이었고 COVID-19감염관리 지식은 25점 만점에 18.21±1.98점이었으며 환경관리 영역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낮았다. COVID-19 감염관리 교육 요구도는 총 평균은 3.81±.28(4점 척도)점으로 나타났으며 전파경로 및 확산 예방과 직원 안전관리 영역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은 성별(t=-1.999, p=.04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 요구도는 경력(t=-1.999, p=.047), 교육수준(t=2.336, p=.02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119구급대원을 대상으로 COVID 감염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전파경로 및 확산 예방, 직원안전, 환경관리를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

모유경구투여가 발뒤꿈치 천자 시 신생아의 통증반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ral breast milk on pain response of the neonates during heel lancing)

  • 김경화;박영임;김태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1호
    • /
    • pp.203-215
    • /
    • 2016
  • 신생아는 통증을 충분히 지각할 수 있는 해부학적 신경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출생초기 통증경험은 이후 통증자극 경험 시 통증에 대한 민감도를 증가시켜 장기적인 신경해부학적, 행동적 후유증을 동반한다. 따라서 신생아기 통증관리는 신생아 간호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진정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모유를 이용하여 통증이 동반되는 발뒤꿈치 천자 시 모유경구투여가 신생아의 통증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신생아 통증관리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모유경구투여는 통증을 수반하는 간단한 처치 시 신생아의 통증을 완화시켜 주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모유의 통증완화 효과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간호 실무에서 통증완화 중재로 널리 활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반복연구를 통한 경험적 근거의 축적과 더불어, 모유경구투여 중재가 독자적 간호중재로서 간호 실무에 적극 활용될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환자안전과 질 향상을 위한 다른 나라의 개선 전략과 전담인력 (Strategies and Experts in Other Countries for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 곽미정;박성희;김철규;박태준;이상일;이순교;최윤경;황정해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4-112
    • /
    • 2020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independent organizations established for patient safety, related policies, and the duties of experts in other countries. Australia established an organization called the Commission in 2006, the United Kingdom established the National Patients Safety Agency in 2001, and the United States assigned its work to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in 2005. This was done by law in all three countries. The experts for patient safety were mainly called the "patent safety and quality coordinator", and although there was no qualification system for carrying out patient safety work, all three countries had licenses in the health care field or required more than 4-5 years of practical experience. The main duties were planning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education, etc. and for this, competencies such as communication, leadership, and teamwork we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