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성천유역

Search Result 8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Flood Inundated Scar of Rural Small Stream Area Using RADARSAT SAR Images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농촌지역 소하천주변의 침수피해지역 추정 연구)

  • 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39-144
    • /
    • 2006
  • 농촌지역 소하천 주변의 홍수범람지역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우와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홍수기간의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RADARSAT 영상을 이용하였다. 대상 지역인 안성천유역의 1998년 9월 홍수시기에 대해서 홍수 전, 직후 그리고 후, 세시기의 RADARSAT 영상을 사용하였다. 5m DEM을 이용하여 정사보정을 한 후 RGB 합성방법과 ratio 방법을 적용하여 성환천과 학성천 합류지점에서 침수지역을 발견하였다. 침수지역은 두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하천의 통수능력을 상실하여 범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Anseongcheon Watershed Using SWAT Model (I) (SWAT 모형을 이용한 미래 기후변화 및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안성천 유역 수문 - 수질 변화 분석 (I))

  • Lee, Yong Jun;Park, Jong Yoon;Park, Min Ji;Kim, Seong Jo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8 no.6B
    • /
    • pp.653-6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database of weather, hydrology, 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servoir release and tillage management for SWAT model evaluation of Anseongcheon watershed ($370.1km^2$, the upstream of Gongdo water level gauging station), and to use them for the following research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streamflow and stream water quality. It is expected that the database can achieve the practical analysis of current watershed hydrolog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 model calibration and valid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constructed database.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the tillage management affected the temporal shift of pollutant loads, and changed the flow pattern of pollutant transport through cultivation area. It was identified that the April and May irrigation water supply from the agricultural reservoir also affected the streamflow of downstream. The data application of pollutants treatment facilities and tillage management of cultivation area showed about 10% difference in the simulation results of stream water quality. The data establish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 operation, the tillage management of cultivated area within the watershed and the attributes inclusion of pollutants treatment facilities were proved to be important in SWAT model evaluation. The results of model setup in this study are expected for more reliable model application in the following research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 on hydrology and stream water quality of the study watershed.

Analysis of runoff by change of impervious surface ratio in Anseong-cheon (안성천 유역의 불투수면적률 변화에 따른 유출량 분석)

  • Lee, Hyunji;Kang, Moon Seong;Kim, Kyeung;Kim, Ji Hye;Kim, Seok 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58-358
    • /
    • 2019
  •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물순환 구조 왜곡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집중 호우시 첨두유량 증가로 인한 도시 침수, 자연적 침투량 감소로 인한 지하수 고갈 및 하천 건천화, 도시 열섬 현상 등 다양한 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건강한 물순환 체계 회복을 위해, 환경부에서는 소권역별 불투수면적률에 대한 중장기 물순환 목표를 포함하여 물환경보전법을 개정하였으며, 2020년부터 시행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소권역별 불투수면적률을 산정하고 불투수면적률 저감에 따른 유출량 등의 유역 물순환 구조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불투수면적률은 연속수치지도, 연속지적도, 용도지역 지구도 3개의 지리정보자료를 중첩하여 최신 불투수면적 정보가 반영되도록 계산하였으며, 물순환 구조는 HSPF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불투수면적과 물순환 요소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Flood Runoff Analysis using TOPMODEL Linked with Muskingum Method - Anseong-cheon Watershed - (TOPMODEL과 Muskingum 기법을 연계한 안성천 유역의 홍수유출 분석)

  • Kwon, Hyung-Joong;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1-11
    • /
    • 2003
  • In this study, TOPMODEL(TOPography based hydrologic MODEL) was tested linked with Muskingum river routing technique for $581.7km^2$ Anseong-cheon watershed. Linear trend surface interpolation was used to give flow direction for flat areas located in downstream watershed. MDF (multiple flow direction) algorithm was adopted to derive the distribution of ln(a/$tan{\beta}$) values of the model. Because the coarser DEM resolution, the greater information loss, the watershed was divided into subwaterhseds to keep DEM resolution, and the simulation result of the upstream watershed was transferred to downstream watershed by Muskingum techniques. Relative error of the simulated result by 500 m DEM resolution showed 27.2 %. On the other hand, the relative error of the simulated result of 300 m DEM resolution by linked 2 subwatersheds with Muskingum method showed 15.8 %.

  • PDF

Assessment of Future Climate and Land Use Change Impacts on Watershed Hydrology and Water Quality (미래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가 유역 수문과 수질에 미치는 영향 평가)

  • Kim, Da Rae;Lee, Ji Wan;Jung, Chung Gil;J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64-164
    • /
    • 2017
  •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는 인간의 활동에 따른 결과를 반영하며 자연환경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문환경의 변화는 수로 건설이나 하천정비, 사진개간, 도시화 등과 같은 인위적인 변화와 지구온난화에 따라 변화하는 기후 패턴에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천 공도수위관측소 상류유역을 대상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의 유역 수문환경조건을 보다 현실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역의 수문환경 조건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CLUE-s 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가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학적 거동(지표유출, 증발산량, 총유출량, 수질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SWAT모형을 이용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안성천의 공도 수위관측소($366.5km^2$)을 대상으로 유역 내 3지점의 기상관측소(이천, 수원, 천안)를 대상으로 40년(1976~2015)동안의 일 기상자료를 수집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였다. 평년 및 가뭄년을 포함하는 선별된 기간에 대하여 다양한 목적함수($R^2$, NSE, RMSE)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전체기간 검보정 방법이 아닌 각각의 조합된 기간의 극단적 유출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검보정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앞서 실시한 연구로 모형의 매개변수들을 해당 유역에 가뭄과 같은 극단적 유출상황에 따라 선행보정 실시하였으며, 이는 이번 연구에서의 모형의 신뢰성 있는 수문 및 수질 거동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선행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이용변화를 고려한 본 연구를 통해 미래의 유역 수문환경조건 변화에 따라 수자원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deling Rainfall - Runoff Simulation System of JinWie Watershed using GIS based HEC-HMS Model (GIS 기반의 HEC - HMS를 이용한 진위천 유역의 강우-유출모형 구성)

  • Kim, Sang-Ho;Park, Min-Ji;Kang, Soo-Man;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119-12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input data for FIA (flood inundation analysis) and FDA (flood damage assessment) through rainfall-runoff simulation by HEC-HMS model. For Jinwie watershed ($737.7km^2$), HEC-HMS was calibrated using 6 storm events. Geospatial data processors, HEC-GeoHMS is used for HEC-HMS input data. The parameters of rainfall loss rate and unit hydrograph are optimized from the observed data. The results will be used for river routing and inundation propagation analysis for various flood scenarios.

  • PDF

Stream Type Classification and 2-Dimensional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Bed Change in Anseongcheon Streams and Tributaries (안성천 중소하천의 하천분류 및 2차원 수리특성, 하상변동 모의)

  • Lee, Ji-Wan;Lee, Mi-Seon;Jung, In-Kyun;Park, Geun-Ae;Kim, Seo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4
    • /
    • pp.77-91
    • /
    • 2011
  • This study tries to find a streambed scouring an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Rosgen(1994)'s stream classification system while experiencing several flood events. The Jinwee and Osan streams, the tributaries of Anseongcheon were selected. The streams showed type C or type E. By the classification results, two Type C tributaries one Type C stream and one Type E tributary were selected. For the four selected stream reaches, the analysis of streambed change was implemented by using numerical model CCHE2D (Center for Computational Hydroscience and Engineering). To prepare the inlet boundary conditions of each stream, the WMS (Watershed Modeling System) HEC-1 was used and the streamflows of 50, 80, and 100-year return period were generated and the outlet boundary was set to an open boundary conditio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flood pulse periodically the streambed changes also appears regularly. The results can be used to acquire the basic data for stream restoration.

Analysis of Flow Characteristics Using River Morphological Complexity Scenario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를 이용한 흐름특성 모의 분석)

  • Lee, Ji-Wan;Jung, In-Kyun;Park, Jong-Yoon;Jung, Chung-Gill;Lee, Mi-Seo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1-141
    • /
    • 2011
  • 생태적 기능이 담보되는 하안의 조성 및 복원은 필연적으로 하안공간에서 물리적 구조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하안공간의 물리적 구조변화는 장기적으로 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단기적으로 하천의 수리특성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수리특성변화는 복원구간에서의 생태적 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하천복잡도에 따른 수리특성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복원에 영향을 주는 변수이므로 이들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하천복잡도 시나리오의 수립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이용하여 하천유형에 따른 수리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천복잡도 시나리오는 Rosgen (1994)에 의해 제안된 하천분류방법과 유량크기별 모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모델에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안성천유역의 오산천과 진위천으로 하천분류결과 크게 C유형과 E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유형의 수리특성 분석을 위해 C 유형의 구간중 진위천 본류구간과 통삼천의 만곡구간을 선정하여 모형을 구동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인 유한요소망은 하천정비기본계획의 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였으며 모델의 경계입력자료는 WMS HEC-1의 유출량 결과 자료를 사용하였다. 빈도별 강우량 자료를 Huff의 4분위 법을 적용하여 24시간으로 분포화하여 빈도별, 구간별 유출량 자료를 구축하여 모의 하였다. 선정한 하천유형구간에 대하여 유량크기별 수위, 유속, 한계유속, 소류력에 대한 흐름특성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도계수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PDF

Effects of Irrigation Reservoirs and Groundwater Withdrawals on Streamflow for the Anseongcheon Upper Watershed (안성천 상류유역 하천유량에 미치는 농업용 저수지와 지하수 이용 영향 분석)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Moon;Lee, Jeong E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4
    • /
    • pp.835-844
    • /
    • 2015
  • Streamflow responses to irrigation reservoirs and groundwater withdrawals were simulated using the integrated surface-water and groundwater model, SWAT-MODFLOW for the upstream watershed of the Gongdo station located in the Anseong stream. The simula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irrigation water supply from the Gosam and the Geumkwang reservoirs has caused the decrease of 31.2%, 82.5% in drought flows below the reservoirs, respectively, against the natural flow condition. While, at the outlet of the study watershed, the effects of the irrigation reservoirs were insignificant due to the delayed return flows with the decrease of 5.7% in drought flow. Both of the irrigation reservoirs and groundwater withdrawals have reduced the drought flows by 19.2% at the Gongdo s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