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안드로이드 보안 플랫폼

Search Result 47,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안드로이드 환경에서의 모바일 게임 서비스 보안이슈

  • Kim, Huy Kang;Kum, Young Jun
    • Review of KIISC
    • /
    • v.23 no.2
    • /
    • pp.35-42
    • /
    • 2013
  • 최근 모바일 게임서비스의 이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미싱 등 결제부정행위에 악용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동작하는 스마트폰 내 모바일 게임 서비스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게임앱 개발사, 게임서비스 제공사, 유통플랫폼 기업들에 요구되고 있다. 모바일 게임 서비스 보안은 PC 상에서의 게임보안과 어떤 차이점들이 존재하며 모바일 게임 내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의 유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 및 기술적 한계를 살펴보도록 한다.

A survey on Android Security : Hacking and countermeasure (안드로이드 해킹 사례 및 향후 보안 대책)

  • Im, Jeoung-Kwan;Shim, Jae-Hwa;Kang, Seung-Gu;Lee, Hoon-Ja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04a
    • /
    • pp.689-692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그 사용자 역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의 경우 Borderless Application, No limit, 다양한 플랫폼에서의 개발 및 오픈소스 등의 장점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이 급속도로 증가한 반면, 그에 따른 보안이 시스템 개발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각종 보안 취약점 및 해킹 공격 등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의 기본 구조 및 보안, 그리고 여러 가지 보안 위협 사례들을 분석하여 공격 유형을 파악한다. 또한 이를 통해 현재 보안 수준 및 문제점에 대한 향후 보안 대책과 권고사항에 대하여 고찰한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Flexible Application Permission Management Scheme on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유연한 응용프로그램 권한관리 기법 설계 및 구현)

  • Kim, Ik-Hwan;Kim, Tae-Hyoun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8C no.3
    • /
    • pp.151-156
    • /
    • 2011
  • Google Android, which is one of the popular smart phone platforms, employs a security model based on application permissions. This model intends to reduce security threats by protecting inappropriate accesses to system resources from applications, but this model has a few problems. First, permission requested by an application cannot be granted selectively. Second, once the permission has been granted it is maintained until the application is uninstalled. Third, applications may acquire powerful permissions through user ID sharing without any notice to user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flexible application permission management scheme. The goal of our scheme is to enhance security and user convenience while keeping compatibility to original platform. We also verified the operation of our scheme with real applications on Android emulator.

IU_AMDroid : An Integrated User Authority Manager Model for the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위한 통합적인 사용자 인증 관리 모델)

  • Nam, Choon-Sung;Jang, Kyung-Soo;Shin, Dong-Ry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11
    • /
    • pp.533-540
    • /
    • 2013
  • Currently, as the Android platform only supports single-user protection, it needs security solution for multi-users. Specially, it has to protect specific applications which have personal and financial information, and be available to support authority management for contents access. Thus, this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user authority manger model for the Android platform. It helps application authority which is capable to divide into three statuses: installation, execution, deletion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technology.

An analysis of vulnerability and the method to secure on Android SNS applications from alteration of the code segments (안드로이드 기반 SNS 어플리케이션의 코드 변조를 통한 취약점 분석 및 보안 기법 연구)

  • Lee, Sang Ho;Ju, Da 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3 no.2
    • /
    • pp.213-221
    • /
    • 2013
  • According to the rapid growth of the number of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applications based on Android OS, the importance of its security is also raised. Especially, many applications using KaKaoTalk platform has been released in these days, and these are top ranked in the relative markets. However, security issues on SNS applications have not been resolved clearly. Therefore, it is crucial to provide means to cope with the security threats posed by code-segment modification in the development stage of Android OS based SNS applica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ecurity threats by modifying SNS application code segments and suggest effective security techniques.

Android-based monitoring system for Data Loss Prevention (안드로이드 기반의 DLP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 Shim, Won-Bo;Kim, Hee-Yo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c
    • /
    • pp.254-256
    • /
    • 2012
  • 스마트폰의 보급이 증가하게 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이를 활용하고 있지만 스마트폰 활용에 따른 보안에 대한 인식은 낮다. 기업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업무가 증가함에 따라 각 기업의 내부 자료가 외부에 유출될 수 있는 보안 위협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막기 위하여 Data Loss Prevention(DLP)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플랫폼 기반의 DLP를 위한 기반 기술이 되는 데이터의 이동을 모니터링 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Analysis of Usage Patterns and Security Vulnerabilities in Android Permissions and Broadcast Intent Mechanism (안드로이드 권한과 브로드캐스트 인텐트 매커니즘의 사용 현황 및 보안 취약성 분석)

  • Kim, Young-Dong;Kim, Ikhwan;Kim, Taehyo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2 no.5
    • /
    • pp.1145-1157
    • /
    • 2012
  • Google Android employs a security model based on application permissions to control accesses to system resources and components of other applications from a potentially malicious program. But, this model has security vulnerabilities due to lack of user comprehension and excessive permission requests by 3rd party applications. Broadcast intent message is widely used as a primary means of communication among internal application components. However, this mechanism has also potential security problems because it has no security policy related with it. In this paper, we first present security breach scenarios caused by inappropriate use of application permissions and broadcast intent messages. We then analyze and compare usage patterns of application permissions and broadcast intent message for popular applications on Android market and malwares,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s a characteristic set for application permissions and broadcast intent receiver that are requested by typical malwares.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 a scheme to detect applications that are suspected as malicious and notify the result to users at installation time.

A Study on Forensic Investigation for Mobile Virtualization System (모바일 가상화 플랫폼에서 포렌식 조사 방안)

  • Lim, Kyung-Soo;Kim, JeongNyeo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3.11a
    • /
    • pp.857-860
    • /
    • 2013
  • 스마트폰의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은 휴대전화기 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최근에는 3000만 사용자 수를 넘어서고 있지만, 악성코드와 같은 공격으로 인한 보안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개방성을 지향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는 스미싱과 같은 신종 공격으로 인해 보안 사고가 최근 크게 이슈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기존 스마트폰 운영체제와 별도의 도메인을 분리하여 금융거래나 사용자의 중요 정보는 별도의 보안 운영체제에서 처리하는 모바일 가상화 기술이 대두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모바일 가상화 기술이 대중화될 경우, 일반적인 포렌식 조사 절차로는 현장에서 확보한 스마트폰의 보안 영역에서는 사건 조사에 필요한 증거 수집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모바일 가상화 기술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가상화 플랫폼 기반 모바일 장비의 포렌식 조사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A Study on Android Double Code-Signing (안드로이드 이중 코드서명 체계 연구)

  • Park, GyeongYong;Wi, SungGeun;Seo, SeungHyun;Cho, Taenam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11a
    • /
    • pp.869-872
    • /
    • 2012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 악성코드 확산으로 인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많은 플랫폼들 중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는 안드로이드 마켓에는 악성코드 검증 절차가 없기 때문에 악성코드 배포에 용이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발자가 생성한 자가 서명 인증서를 사용하기 때문에 개발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어렵고, 유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변조 유무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등의 취약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취약점들을 고려한 이중 코드서명 기법이 제안되었으나 기존 환경을 유지하려는 제약사항 때문에 취약점들을 보완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는 안드로이드가 기반하고 있는 자바 코드서명 방식을 개선함으로써 기존연구가 해결하지 못한 취약점을 해결하였다.

A Study of Negative App Detection from Active Pattern Anlysis in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플랫폼에서 활성 패턴 분석을 통한 부정 앱 검출에 관한 연구)

  • Lee, Chang-Soo;Hwang,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835-83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폭팔적인 증가와 함께 사용 환경개선도 이루어 지고 있다. 또한 Wi-Fi 존의 증가와 LTE같은 빠른 네트워크 환경은 사용자 중심의 수 많은 앱을 탄생시키고 있다. 안드로이드는 애플의 iOS와는 다른 오픈소스 정책으로 플랫폼 소스가 공개되어 있어 많은 개발자가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그러나 안드로이드는 앱(App) 검증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에 악성코드 등으로 인한 위협요소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파일 시스템은 임의적 접근제어방식으로 공격자가 취약점을 통해 관리자 권한을 얻어 시스템 자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위협요소가 다분하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 앱이 호출하는 시스템 API 및 네트워크 자원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부정 앱을 차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API호출 빈도 및 자원 사용률이 최소 기준치 이하로 검출된 경우를 제외한 평가대상은 모두 검출하여 보안성 강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