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안구자극시험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전정기능 평가를 위한 청현파 회전자극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Sinusoidal Rotatory Chair System for Evaluation of the Vestibular Function)

  • 임승관;정호춘;김규겸;진달복;김민선
    • 감성과학
    • /
    • 제1권1호
    • /
    • pp.181-197
    • /
    • 1998
  • 전정기관은 자세의 조절에 관여하지만, 전정기관의 손상은 현기증 및 자세부조화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기증의 원인을 규명할 목적으로 전정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정현파 회전자극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정현파 회전자극시스템은 회전의자와 구동 및 분석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DC 서보모터로 구동되는 회전의자는 0.01-0.64 Hz의 주파수범위에서 60 ˚/sec의 초고속도로 정현파 회전한다. 현기증 환자에서 전정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정안구반사, 시운동성 전정안구반사 및 시각의 억제에 의한 전정안구반사를 측정하여 안구운동의 이득, 위상, 대칭성 등을 산출하도록 정현파 회전자극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정상 성인에서 시험한 결과 신뢰성있는 성적을 얻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현기증 환자의 진단 및 치료정도를 판정할 수 있으르로 임상적으로 널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약원제 및 제품 간의 자극성 및 감작성 상관성 평가 연구 (Correlation of Active Ingredients and End-use Products Pesticide o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 이제봉;신진섭;박연기;정미혜;홍순성;임건재;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9-85
    • /
    • 2010
  • 2000년 이후 국내에 등록된 농약제품을 대상으로 원제 및 그 원제로 제조된 농약의 자극성 및 감작성에 대한 연관성을 연구하여 농약재등록, 신규등록 및 농약관리시 자극성 예측, 시험성적서 요구 결정 등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고 농약관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농약의 자극성 및 감작성성적은 농약시험성적 정보집 및 농약등록 시 제출된 자료 등을 참고하여 원제 148성분 및 제품 149종의 자극성 및 감작성의 양성반응 빈도, 제형 간 반응차이, 원제와 제품간의 연관성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원제 148성분 중 피부 자극성 133종, 안구 자극성 132종, 피부 감작성 97종의 성적이 이용되었으며, 항목별로 피부자극성 25(18.8%)종, 안구자극성 62(47%)종, 피부감작성 20(20.6%)종이 경도 이상의 양성반응을 보였다. 또한 149 품목 중 피부자극성 148종, 안구자극성 149종, 피부감작성 140종의 성적으로 분석한 결과 피부자극 22(14.9%), 안구자극 58(38.9%), 피부감작성 33(23.6%)품목이 경도 이상의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동일제형 10품목 이상이 조사된 10종을 제형별, 독성반응별로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원제와 제품간의 연관성은 피부자극성 73.1%, 안구자극성 44.7%, 피부감작성 66.2%로 분석되었으며, 성분함량간의 자극성 및 감작성은 아무런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 원제와 제품간의 자극성 및 피부감작성에 관여하는 몇 가지 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 피부자극성 및 피부감작성은 원제와 제품간 각각 73.1%, 66.2%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안구자극성은 제형 의존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추후 더 많은 농약에 대하여 원제의 자극성성적, 제형특성 등을 참고하여 분석하면 자극성시험 수행 여부 결정을 위한 스크리닝 단계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렌즈 보존액 SOLOCARETM에 대한 안점막자극성시험 (Eye Irritation Test of Lens Washing Agents SOLOCARETM on New Zealand White Rabbits)

  • 장우영;박은규;김기홍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9-310
    • /
    • 2006
  • 시판중인 렌즈 보존액 중 가장 흔히 사용 또는 유통되고 있는 $SOLOCARE^{TM}$에 대한 안점막자극성시험을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에 따라 Draize법을 이용하여 그 자극성의 정도를 평가하고, 눈에 가해질 수 있는 잠재적인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배출물에 대한 도말표본 상에서 염증세포 및 비 염증성 유상피세포가 차지하는 비율과 함께 점안 후 안구 중, 각막, 홍채, 망막 및 공막의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 세척군에서는 점안 후1, 2 및 3일에 국한하여, 각막과 결막에 경미한 자극이 관찰되어, 이 기간 동안의 평균 안점막 자극지수(Mean Index of Ocular Irritation; MIOI)가 각각 4.33, 3.33 및 2.00으로 관찰되었으며, 세척군에서는 점안 후 1 및 2일에 국한하여, 결막에서 경미한 자극성이 인정되었고, 이때 MIOI는 각각 3.00과1.33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SOLOCARE^{TM}$는 세척군 및 비세척군 모두에서 MIOI가 모든 관찰기간에서 5.00 이하로 관찰되었으며, 관찰기간 중 MIOI의 최대값인 IAOI(The Index of Acute Ocular Irritation) 역시점안 1일후 4.33로 관찰되어 무자극성 물질로 관찰되었다. 한편 배출물에 대한 염증성 세포의 비율은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점안초기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된 경향을 나타낸 이외 의미있는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안구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각막, 홍채, 망막 및 공막 모두에서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렌즈 보존액 CLlWELLTM에 대한 안점막자극성시험 (EYE IRRITATION TEST OF LENS WASHING AGENTS CLlWELLTM ON NEW ZEALAND WHITE RABBITS)

  • 장우영;이정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78
    • /
    • 2007
  • 시판중인 렌즈 보존액 중 가장 흔히 사용 또는 유통되고 있는 CLIWELL$^{TM}$에 대한 안점막자극성 시험을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에 따라 Draize법을 이용하여 그 자극성의 정도를 평가하고, 눈에 가해질 수 있는 잠재적인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배출물에 대한 도말표본 상에서 염증세포 및 비 염증성 유상피세포가 차지하는 비율과 함께 점안 14일 후 안구 중, 각막, 홍채, 망막 및 공막의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 세척군에서는 점안 후 1, 2 및 3일에 국한하여, 각막과 결막에 경미한 자극이 관찰되어, 이 기간 동안의 평균 안점막 자극지수 MIOI가 각각 4.50, 1.67 및 0.67로 관찰되었으며, 세척군에서는 점안 후 1 및 2일에 국한하여, 결막에서 경미한 자극성이 인정되었고, 이때 MIOI는 각각 0.67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CLIWELL$^{TM}$은 세척군 및 비 세척군 모두에서 MIOI가 모든 관찰 기간에서 4.50이하로 관찰되었으며, IAOI 역시 점안 1일 후 4.50으로 관찰되어 무자극성 물질로 판단되었다. 한편 배출물에 대한 염증성 세포의 비율은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점안 1일 후 유의성 있는 염증세포 비율의 증가가 비세척군에 국한하여 인정된 이외에 의미 있는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안구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각막, 홍채, 망막 및 공막 모두에서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

오존화 올리브오일의 동물 눈 안점막 자극시험 연구 (Study on animal Ocular irritation test of ozonated olive oil)

  • 김덕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407-1412
    • /
    • 2018
  • 본 연구는 오존화 올리브오일이 독성이 적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을 치사시킬 수 있으나 경우투여나 복강투여에도 인체에 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아직 동물에 대한 안정성 실험이 없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오존화 올리브오일을 사용하여 동물의 안구를 통한 안정성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에서는 rabbit에서 오존화오일(고농도)의 동물 눈 안점막 자극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고, 시험물질 처치부위를 관찰한 결과, 비세척군 및 세척군 모두에서 안점막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렌즈 보존액 ReNuTM에 대한 안점막자극시험 (Eye Irritation Test of Lens Washing Agents as ReNuTM)

  • 장우영;이정영;주경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3-304
    • /
    • 2005
  • 렌즈 세척제인 ReNu$^{TM}$의 안자극테스트를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의 고시에 따라서 Draize방법(1959)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부가해서 검사 항목의 잠재성 독성테스트를 위해서 염증세포와 비염증세포의 비율에서 역시 눈 분비물에 대한 세포도말표본사용으로 관찰하였다. 검사에서 각막, 홍채, 망막, 그리고 공막에 대한 조직학적 변화들은 역시 모든 실험동물에서 관찰되었다. 각막과 결막의 약간 자극성은 벼비척그룹에서 점안후 1, 2, 3일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지점에서의 안점막자극지수(MIOI)는 각각 4.17, 3.00, 1.33으로 확인되었다. 세척군에서 각막과 결막의 약간의 자극은 각각 0.67과 1.33으로서 MIOI로서 점안후 1일과 2일에서 관찰되었다. 따라서 ReNu$^{TM}$은 비자극성 물질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MIOI는 세척군과 비세척군 모두에서 전체 실험기간을 통해서 5.00이하로 관찰되었다. 급성안자극계수(IAOI)는 역시 4.17로서 확인되었다(점안후 일일). 일부의 예외들은 비세척군의 점안후 1일에서 분비물에서 염증세포 비율의 경향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유의성은 없었다. 한편 안분비물의 도말세포관찰에서 의미있는 변화들은 본 연구에서 관찰되었다. 부가해서 각막, 홍채, 공막 위에서 비정상조직 변화는 역시 비처리된 대군군 눈과 비교해서 ReNu$^{TM}$, 점안군에서는 탐지되지 않았다.

  • PDF

독립성분 분석기법에 의한 집중 상태 뇌파의 주파수 요소 특성 (Features of EEG Signal during Attentional Status by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n Frequency-Domain)

  • 김병남;유선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170-217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작업수행시의 집중상태 변화를 검출하기 위하여 2011년 1~2월 동안 집중을 유발하는 시각유발자극에 대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한 피험자들 중 한명의 뇌파신호를 분석하였다. 두피에서 측정한 뇌파신호로부터 집중관련 뇌 안에서의 발원 신호와 안구운동잡음 신호를 분리하기 위하여 독립성분 분석기법을 측정뇌파 신호에 적용하였다. 안구운동잡음신호가 제거된 집중관련 신호원을 단시간 푸리에 변환하여 주파수 성분 신호를 연속적으로 축적함으로서 시변 특징 형태를 나타내는 에포크 그래프와 스펙트럴 칼라 맵에서의 도식 표현상 규칙성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추출한 감각운동리듬 (SMR: 12-15Hz)과 세타파 리듬 (4-7Hz)관련 집중 지표는 집중시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단시간 푸리에 변환과 결합한 독립성분 분석기법은 참여자의 집중상태 변화를 분석하는데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양안시기능 검사 값의 오차와 그래프 양식 (The Error and the Graphical Presentation form of the Binocular Vision Findings)

  • 윤석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9-48
    • /
    • 2007
  • 엄밀한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 그리고 프리즘 디옵터는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여 정리 하였다. 양안시기능 검사와 분석의 실무에서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은 어떻게 처리되는지를 고찰하여 정리 했다. 그 결과 실무에서의 처리과정은 근거리를 렌즈면으로부터 40 cm로 하는 경우 평균 P.D가 64 mm일 때 안구의 회선점에서 시험렌즈까지 거리 $l_c$이 26.67 mm인 경우에 가장 적합하였다. 본 논문에서 이 값들을 사용하여 필요한 값들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실무에서 사용되는 (5)식의 조절자극 값이 지니는 오차를 눈의 물측 주점에서 시험렌즈까지 거리 $l_H$를 15.07 mm로 하여 계산했다. 굴절력이 $P_m$인 프리즘 가입에 의한 폭주자극 값의 변화량 P'을 순환 계산법으로 계산하였다. P'는 $P_m$, 회선점에서 프리즘까지의 거리 $p_c$, 프리즘을 가입하기 전의 폭주 값 $C_o$와 프리즘 재질의 굴절률 n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순환 계산법과 필요한 수식들을 자세히 제시했다. P'를 증대시키는 요인에는 두 가지가 있다. 그 첫 번째는 주된 것으로서 폭주 값이 보통의 덧셈법에 따라 더해지지 않는 성질이다. 다른 하나는 영향력이 작은 것으로서 프리즘의 실제 굴절력이 빛의 입사각에 따라 다르게 되는 이유이다. 그리고 $p_c$$C_o$가 커짐에 따라 P'은 괄목할 만큼 작아진다. $P_m=20{\Delta}$, P.D=64 mm 그리고 n=1.7인 경우에 대해 $p_c$$C_o$값들에 따르는 $P^{\prime}/P_m$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냈다. $P^{\prime}/P_m$의 굴절률 n에 대한 의존성은 무시 할만 큼 아주 작다(Fig. 6 참조). 가입 프리즘의 굴절력과 폭주자극 값의 변화량이 같게 되는 프리즘의 위치 값 $p_c$를 구했다(Table 1). 실무에서 약식으로 처리되는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의 참 값을 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약식으로 처리된 조절자극과 폭주자극 값이 참 값의 위치에 표시 되게 하는 두 가지의 그래프 양식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기존의 것과 같은 형태(Fig. 9)이고 다른 하나는 프리즘 가입에 의한 폭주자극 값의 변화량만을 나타내는 형식이다(Fig. 11).

  • PDF